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근대과학혁명시대의 기계론적 철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 형이상학의 위치에 대한 연구: 윌리엄 더햄(16571735)의 Physico-Theology와 Astro-Theology를 중심으로

        유정모 ( Yoo Jeongmo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19 역사신학 논총 Vol.35 No.-

        본 연구의 목표는 영국의 신학자 겸 과학자였던 윌리엄 더햄의 주요 저술인 「자연신학」과 「천체신학」이 근대 기독교 신학과 과학의 발전에 끼친 영향을 밝힘으로써 서양 지성사의 잃어버린 퍼즐조각을 찾아 맞추는 것에 있다. 특별히 본 연구는 기계론적 철학사상을 받아들였음에도 불구하고 세상의 질서와 그 안에서 나타나는 신적인 간섭을 설명하기 위해서 목적인(目的因, final cause)의 존재를 긍정했던 더햄의 사상을 당시 유럽의 지성적 배경 속에서 연구함으로써 먼저는 더햄이 이해한 과학과 종교와의 상관관계를 규명하고 더 나아가 그러한 사상이 근대 사상사에서 가지는 의의가 무엇인지를 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윌리엄 더햄의 「자연신학」과 「천체신학」에 대한 연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우리에게 제시하여 준다. 첫째, 더햄은 하나님의 창조세계를 설명하기 위해서 근대과학을 매우 적극적으로 수용하였다. 하지만 근대과학은 그의 종교적 관심을 저하시키기보다 오히려 세상 속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촉매제의 역할을 하였다. 둘째, 더햄은 과학에서 목적인에 대한 논의를 제거하는 것을 반대하며 하나님의 섭리로 피조세계에 부여된 목적성을 이해하는 것이 종교뿐만 아니라 과학의 올바른 이해에도 필수적이라고 보았다. 셋째, 이러한 더햄의 목적인 사상은 목적인의 제거가 근대 과학혁명의 전형적인 특징이라고 주장하였던 이전의 학계의 주장이 설득력이 없음을 보여주는 실례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illiam Derham’s Physico-Theology and Astro-Theology in order to reveal how he influenced on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theology and modern science in the seventeenth-century England. In particular, this article will focus on studying Derham’s view of final cause as a way to highlight the relation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in his own context. In doing so, this study will specifically permit three conclusions as follows. First, Derham actively employed modern scientific discoveries and theories to explain the natural world. Second, however, he did not lose his interest in traditional Aristotelian metaphysics and Christian religion in his treatment of natural philosophy. In particular, Derham maintained an idea of final causality and it was used for design argument as proof of God’s existence and His providential relationship to the world. Third, therefore, previous schol arship’s argument that final cause was eliminated from natural philosophy during the Scientific Revolution, and it is a hallmark of the demise of Aristotelianism and the growing separation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in the seventeenth century cannot be warranted at all at least by Derham’s Physico-Theology and Astro-Theology. Unlike previous schol arship, in these works, final cause still played an critical role in the scientific explanation of the world and modern science was understood in a way compatible with traditional metaphysics and Christian theology.

      • KCI등재

        일반 : 17세기 화란의 자유의지론 논쟁에 대한 연구: 히스베르투스 푸치우스(1589-1676)의 "De Termino Vitae"를 중심으로

        유정모 ( Jeongmo Yoo ) 한국개혁신학회 2016 한국개혁신학 Vol.49 No.-

        우주 안의 모든 것을 결정하는 신의 주권과 독립적인 자유를 추구하는 인간의 자유의지(liberum arbitrium)에 대한 문제는 근대 유럽 교회 안에서 첨예한 대립과 논쟁을 유발했고, 이러한 논쟁을 통해 근대 기독교는 신적 필연성(신의 예정, 예지, 섭리)과 인간의 자유라는 주제에 대하여 많은 사상적 진보와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신의 결정과 인간의 자유는 여전히 학계의 관심과 연구의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현대 학계는 자료의 보고라 할 수 있는 근대 교회의 논쟁에 충분한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고 있다. 이 주제에 대해 논의했던 근대의 주요 신학자들과 철학자들의 사상과 이들 안에 벌어졌던 논쟁을 다루는 연구는 매우 빈약하며, 있다 하더라도 매우 부분적이고 피상적이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기독 교회사뿐만 아니라 지성사의 발전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었던 17세기 화란 자유의지론 논쟁을 연구하고자 한다. 당시 화란의 우트렉 대학교(Utrecht University)를 중심으로, 개혁파(the Reformed), 예수회, 항론파, 소시니안파 그리고 계몽주의 철학자들이 신의 주권과 인간의 자유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놓고 격렬한 논쟁을 벌였고 그 중심에는 우트렉 대학교의 교수였던 개혁파 정통주의 신학자 히스베르투스 푸치우스(Gisbertus Voetius, 1589-1676)가 있었다. 푸치우스는 여러 다른 신학자 및 철학자들과 논쟁하면서 개혁파 정통주의(Reformed Orthodoxy)의 입장에서 신의 주권과 인간의 자유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를 발전시켰다. 특히, 푸치우스가 1634년에 발표한 라틴어 논문 "De Termino Vitae"는 신의 결정과 인간의 자유에 대한 그의 사상을 집대성하고 있으며, 신적중간지식(divine middle knowledge)의 존재 가능성과 같은 당시 논쟁의 주요 이슈들을 상세하게 다루고 있다. 본 연구는 신적 필연성과 인간의 자유선택이라는 주제에 대한 후대의 논의에 매우 큰 영향을 미친 푸치우스의 "De Termino Vitae" 를 중심으로 근대교회에서 신의 결정(작정, 예정, 섭리)과 인간의 자유라는 주제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논의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Th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 between divine sovereignty and human freedom was a hotly controversial issue among the early modern European churches. However, in spite of its significance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Christian thought, this topic has gained much less attention by modern scholars. Thus, there are few detailed studies of the view of the relation between divine necessity and human freedom. In order to overcome this limitation, this study will examine the debate on free choice in seventeenth-century Netherlands. In particular, it focuses on studying Gisbertus Voetius`(1589-1676) "De Termino Vitae." "De Termino Vitae" is one of the ideal places to study the development of the doctrine of the relation between divine necessity and human freedom in the seventeenth century and to examine the validity of previous scholarship concerning the issue because in this writing Voetius discusses highly provocative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issues such as whether divine decree can be compatible with human free choic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first to contribute to an understanding of the doctrine of the relation between divine sovereignty and human freedom among the early modern churches and second to offer an evaluation regarding the validity of previous scholarship pertaining to the issue in general.

      • KCI등재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자유에 대한 울리히 츠빙글리의 이해

        유정모 ( Yoo Jeongmo ) 한국대학선교학회 2022 대학과 선교 Vol.52 No.-

        본 연구의 목적은 16세기 스위스 종교개혁가였던 츠빙글리의 저작들 속에서 나타난 하나님의 주권과 인간의 자유에 대한 그의 사상을 분석하는 것에 있다. 구체적으로 본 논문은 죄가 인간에게 미친 영향과 하나님의 섭리에 대한 그의 사상이 제이원인에 의한 우발성의 존재와 인간의 순전한 자유의 가능성을 부정하는 결정론적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고자 한다. 츠빙글리에 따르면 모든 인간은 원죄로 말미암아 하나님께서 기쁘게 받으실 영적인 선을 행할 수 있는 자유를 완전히 상실하였다. 즉, 전적으로 타락한 인간이 소유한 자유는 오직 죄만 지을 수 있는 자유이다. 그는 또한 섭리와 관련하여 인간은 자유의지가 없으며 인간과 피조물은 어떤 사건의 원인이 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그의 사상에서는 제이원인에 의한 순전한 우발적 사건은 존재할 수 없다. 더욱이 죄와 섭리의 관계에 대한 논의에서 츠빙글리는 하나님이 죄를 강요하시고 인간을 하나님의 결정과 역사하심에 단지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도구에 불과한 존재로 설명한다. 결과적으로, 제이 원인의 우발성 및 인간의 자유의지를 거절하는 츠빙글리의 신학은 숙명론적이며 결정론적 성격을 강하게 내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uldrich Zwingli’s idea of the relation between divine sovereignty and human freedom as presented in his writings. Specifically, this essay intends to prove that Zwingli’s view of divine providence and the effect of sin on human beings implies deterministic nature which denies the possibility of genuine human freedom and the existence of contingent events in the world. According to Zwingli, due to the effect of sin, human beings completely lost the ability to do spiritual good which truly pleases God. Namely, the freedom that remains in fallen human beings is the freedom to commit only sins. Regarding providence, he argues that human beings do not have free will and they are not properly causes in their roles. Moreover, in his discussion of the relation between providence and human sin, Zwingli insists that God compels humans to sin and they are just instruments of God in their roles. Consequently, his idea of divine providence and the effect of sin is deterministic and necessitarian in its nature.

      • John Calvin’s Interpretation of Micah 4:1-13

        유정모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7 Torch Trinity Journal Vol.20 No.2

        본 논문의 목적은 미가서 4장 1-13절에 대한 요한 칼뱅(1509-1564)의 주석과 설교를 연구함으로써 칼뱅이 구약성경을 어떻게 접근하고 해석했는지를 밝혀주는 것에 있다. 먼저 칼뱅의 미가서 4장 1-13절에 대한 해석은 주석과 설교라는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그런데 주석과 설교에 나타난 칼뱅의 본문 해석은 외적인 스타일과 내적인 강조점에 있어서 양자 사이에 상당한 차이점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차이점들은 그의 성경해석이 문학의 장르에 따라 다른 접근 방법을 취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미가서 4장 1-13절의 해석에서 칼뱅은 철저하게 본문의 문자적 의미를 밝히는 것에 집중한다. 하지만 설교와 본문에 나타난 본문의 최종적 의미는 약속과 성취라는 더 넓은 배경(context) 및 계속되고 있는 하나님의 백성의 역사에 의해서 결정된다. 이는 성경의 문자적 역사적 해석, 약속과 성취의 해석원리, 본문의 현재적 적용 등과 같은 칼뱅의 다양한 성경해석원리들이 서로 통합적으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칼뱅의 구약성경 해석 방법은 그의 성경해석 원리에 대한 기존의 오해들을 극복하도록 도와준다. 즉, 미가서 4장 1-13절에 나타난 칼뱅의 주해 원리들은 현대의 비평적 해석의 특성들보다는 중세 주석 전통과 연속성을 가지고 16세기 선(先)비평적 해석의 특성들을 따르고 있음을 보여준다.

      • The effects of original sin on humanity in the writings of Jacob Arminius and Guillaume Bucanus

        유정모 Torch Trinity Graduate University 2018 Torch Trinity Journal Vol.21 No.2

        본 논문의 목적은 인류에 미친 원죄의 영향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야코부스 아르미니우스의 원죄론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특별히 본 논문은 아르미니우스의 원죄론을 16-17세기 지성사의 배경 속에서 이해하기 위해 아르미니우스와 동시대에 활동했던 개혁파 신학자 기윰 부카누스의 원죄론과 비교하여 연구한다. 이러한 비교 연구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보여준다. 먼저 아르미니우스와 부카누스의 원죄론에는 원죄의 전가 교리와 같이 교리적으로 서로 일치하는 부분들이 존재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죄가 인류에 미친 영향과 이와 관련된 교리들에 대한 양자의 비교는 아르미니우스와 부카누스의 신학에 상당한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자유선택 (liberum arbitrium)에 미친 원죄의 영향, 타락한 인류에 미치는 은혜의 작용 방식, 의지와 지성 사이의 우선권 문제와 같은 논의들은 아르미니우스와 부카누스의 신학 체계가 근본적으로 상이함을 분명하게 드러내준다. 결과적으로 아르미니우스와 부카누스의 원죄론에 대한 비교연구는 아르미니우스와 개혁주의 신학을 화해시켜 양자를 동일한 신학체계로 이해하려는 일련의 학자들의 시도가 입증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원죄가 인류에 미친 영향에 대한 아르미니우스의 교리는 그의 신학이 개혁주의 신학보다는 오히려 로마 가톨릭의 신학과 연속성상에 있음을 강하게 암시한다.

      • 1857년 미국 정오기도회에 관한 연구

        유정모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2023 Torch Trinity Journal Vol.26 No.1

        본 논문의 목적은 1857년 미국 정오기도회의 부흥을 연구함으로써 이 부 흥의 사건이 갖는 특성을 분석하고 더 나아가 이 사건이 당시 교회에 미친 역 사적 파장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특히 기존의 연구에서 상당 부분 간과되었던 제레마이야 란피에르(Jeremiah Calvin Lanphier, 1809-1898)의 삶과 사역을 집중적으로 조명함으로써 정오기도회의 시작과 전개 과정을 더 욱 심도 있게 조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정오기도회의 성격과 그 파급 효과가 무엇이었는지를 상세하게 고찰해 보고자 한다. 무명의 비즈니스맨이었던 제레마이야 란피에르가 1857년 9월 23일 뉴욕 풀턴 가에 자리한 북부 화란 개혁교회에서 시작한 정오기도회는 초교파적 연합 기도운동으로 몇 가지 지켜야 할 원칙을 제외하고는 자율적으로 진행되 었던 평신도 중심의 기도운동이었다. 놀라운 성령의 역사 속에 정오기도회는 풀턴 가를 넘어 삽시간에 뉴욕시를 포함한 미국 전 지역으로 퍼져나가게 되 었고 이 기도운동을 통해 1859년까지 최대 100만 명이 회심하게 되었다. 정오 기도회의 부흥을 통해 미국은 새로운 영적 각성을 경험하였을 뿐만 아니라 경제대공황을 비롯한 여러 사회문제를 극복할 수 있었다. 또한, 정오기도회는 1859년을 전후하여 잉글랜드, 웨일스, 아일랜드, 스코틀랜드에서 일어난 영적 각성과 부흥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Noon Prayer Revival of 1857-1859 and examine its effects on the contemporary church history. In particular, by investigating in detail the life and work of Jeremiah Calvin Lanphier (1809-1898) which have been largely overlooked in previous studies, the study aims to highlight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1857 Noon Prayer Meeting in a more comprehensive manner. Based on this, it seeks to delve deeply into the nature of this revival and its consequences. Initiated by an ordinary businessman Jeremiah Calvin Lanphier, the Noon Prayer Revival began at the North Dutch Reformed Church located on Fulton Street in New York on September 23, 1857. This prayer movement, primarily led by laypeople and conducted spontaneously except for a few guiding principles, was a non-denominational union prayer movement. In just a short while the Noon Prayer Meeting rapidly spread across the entire United States including New York City. Through this prayer movement, as many as one million individuals experienced conversion by 1859. The revival not only brought about a fresh spiritual awakening in the United States but also helped Americans to overcome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economic depression. Moreover, the impact of the Noonday Prayer Revival extended to the spiritual awakenings and revivals that occurred in England, Wales, Ireland, and Scotland around the years before and after 185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