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엎드려 팔들어올리기 운동시 의도적인 어깨뼈 내림 전략이 어깨뼈 근육 활성도 및 근 활성도 비율에 미치는 영향

        유일영,김태규 한국융합과학회 2024 한국융합과학회지 Vol.13 No.10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엎드려 팔 들어 올리기 운동을 수행하는 동안 어깨뼈 내림 전략이 적용된조건과 적용되지 않은 조건에 따라 위 등세모근, 중간 등세모근, 그리고 아래 등세모근의 근 활성도및 근 활성도 비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어깨뼈의 병리적문제가 없는 18명의 성인 남성이 참여하였으며 팔 들어 올리기 운동 수행 시 무작위 순서로 어깨뼈의내림 전략이 적용된 조건과 적용되지 않은 조건에서 위 등세모근, 중간 등세모근, 그리고 아래 등세모근의 근 활성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근 활성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근 활성도 비율을 각각 계산하였으며, 운동 수행시 각 조건 별로 어깨뼈 내림 각도를 동시에 측정하여 어깨뼈 내림 전략이 적용된조건과 적용되지 않은 조건에 따른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어깨뼈 내림 전략이 적용되지 않은조건과 비교하여 내림 전략이 적용된 조건에서 아래 등세모근의 근 활성도와 함께 어깨뼈 내림 각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p < 0.05), 위 등세모근의 근 활성도는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근 활성도 비율의 경우 위 등세모근/중간 등세모근 비율과 위 등세모근/아래 등세모근비율 모두 어깨뼈 내림 전략이 적용된 조건에서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 < 0.05). 결론본 연구 결과 아래 등세모근을 강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임상 현장에서 많이 실시하고 있는 엎드려팔 들어 올리기 운동 시 의도적인 어깨뼈 내림 전략이 어깨뼈 내림 움직임을 촉진 시킴으로써 아래등세모근을 보다 효과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또한, 어깨뼈 주변 근육들의 균형을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urpose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upper trapezius (UT), middle trapezius (MT), and lower trapezius (LT) muscle activity, muscle activity ratios, and scapular depression angle with and without intended scapular depression strategy during prone arm lifting exercise. Methods Eighteen mal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performed the prone arm lifting exercise with and without the intended scapular depression strategy in a randomly assigned order. UT, MT, and LT muscle activity and scapular depression angle were measured simultaneously and compared between exercise conditions. Results The intended scapular depression strategy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T muscle activity (p < 0.05), while the UT muscle activity was lower when using the intended scapular depression strategy compared to without it (p < 0.05). The results of UT/MT and UT/LT muscle activity ratios were lower with the scapular depression strategy compared to without it (p < 0.05).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e intended scapular depression strategy could strengthen the LT muscle effectively and improve the scapular muscle`s balance during prone arm lifting exercise by facilitating the movement of the scapular depression.

      • KCI등재후보

        아토피 피부염 환아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간호 요구

        유일영,김동희 한국아동간호학회 2004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0 No.4

        Purpose: The main purposes of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were to describe parenting stress and needs of mother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111 mothers of children under 6 year-old with atopic dermatitis registered at one university affiliated medical center in Seoul.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a self-report questionnaire, Parenting Stress Index (PSI) Short Form by Abidin, and an open question to identify nursing needs. Descriptive analysis, Pearson correlation and contents analyses were done. Result: The mean score for parenting stress was 77.25 (range: 12-60), for parent domain 31.50 (range: 12-60), parent-child domain 21.02 (range: 11-55) and child domain was 24.72 (range: 11-51).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tress and severity of symptom (r=0.192, p<.005). The maternal stressors included extra housework related to symptom management, treatment related to atopic dermatitis, personality and behavior of child, and financial problems. Conclusion: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have high parenting stress from various stressors and needs. It is recommended that nursing interventions should include stress management and take into consideration the educational needs of mothers.

      • 함평산 점토와 하동산 고령토의 여과성상에 관한 연구

        柳日永,鄭遇喆 전북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1983 工學硏究 Vol.14 No.-

        This study analyzed the value of equilibrium porosity δ, ratio of wet cake mass to dry cake mass m, effective especific surface of cake solid Kso^2, average specific resistance α, Ruth's coefficient of constant pressure filtration K by operating compressed permeability and constant pressure filtration experiments. The results showed that in equilibrium porosity Ha-dong kaoline was larger than Ham-Pyung clay but in change of equilibrium porosity one was lesser than the other. And in average specific resistance Ham-Pyung was larger than Ha-dong kaoline, then results showed than Ham-Pyung clay was difficult in filtration.

      • Alcohol 에 依한 葉綠素 抽出에 미치는 超音波의 影響에 關한 硏究

        柳日永,鄭遇喆 전북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1983 工學硏究 Vol.14 No.-

        Chlorophyll is extracted by acetone. In spite of using many kinds of solvents such as acetone, alcohol, methanol, benzene, ether, hexane, etc., acetone is almost used as solvents in the chlorophyll extraction industry. Because the extraction velocity and efficiency by acetone is better than by other solvents, Ultrasonics, therefore, is applied to extract chlorophyll by alcohol. Then, extraction velocity and efficiency is promoted, and other compounds are not formed by ultra sonics and chlorophyll. It seems that technical difficulties in manufacturing process are removed.

      • 橫型 및 縱型 超音波抽出器의 特性에 關한 硏究

        柳日永,鄭炅樂 전북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1983 工學硏究 Vol.14 No.-

        1. Alcohol(40%)로 미삼에서 인삼 에끼스를 초음파 추출기를 사용하면 미삼을 0.5~2cm로 절단하든 안하든 18~22시간에 추출 완료된다. 2. 횡형 추출기는 추출시간이 18시간까지가 경제적이고 종형 추출기는 15시간까지이다. 3. 양 초음파 추출기는 교반을 하면서 초음파를 조사하여 추출을 하면 용량의 크기에 상관없이 추출하는 시간이 같다. 이것은 추출기의 크기 설계에 중요한 인자이다. 이 점에 대해서는 보다 이론적인 구명이 있어야 한다. ①,②,③ 으로서 양 추출기는 성능에 있어서는 괄목할 차이가 없다.

      • KCI등재

        Change in Pelvic Motion Caused by Visual Biofeedback Influences Trunk and Hip Muscle Activities During Side-Lying Hip Abduction in Asymptomatic Individuals

        유일영,강민혁 국제물리치료연구학회 2019 Journal of International Academy of Physical Ther Vol.10 No.3

        Background: Ipsilateral pelvic elevation has been reported as a common compensatory movement during side-lying hip abduction. It has been reported that pelvic elevation inhibits sufficient contraction of gluteus medius. However, few studies have identified the effects of controlled pelvic elevation on the trunk and hip muscles. Objective: To examine the effects of controlled pelvic elevation using visual biofeedback on the muscle activity of the trunk and hip muscles. Design: Crossover study. Methods: Twelve healthy males performed side-lying hip abduction exercises with and without visual biofeedback for pelvic elevation. Electromyography (EMG) activities of the gluteus medius, quadratus lumborum, and multifidus were analyzed using a wireless EMG system while the ipsilateral pelvic elevation angle was measured using a motion sensor during side-lying hip abduction exercises. Results: EMG activities of the gluteus medius (p = .002), quadratus lumborum (p = .022), and multifidus (p = .020)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ipsilateral pelvic elev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1) during side-lying hip abduction with visual biofeedback compared to without visual biofeedback.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pplication of biofeedback for pelvic motion could improve the trunk and hip muscle activation pattern and decrease compensatory pelvic motion during side-lying hip abduction exercise.

      • KCI등재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가 인지한 아동의 문제행동 관련요인

        유일영,유현정 한국아동간호학회 2010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6 No.2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어머니가 인지하는 아동의 문제행동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의하면 아동의 특성으로는 맏이인 경우, 그리고 어머니의 특성으로는 어머니의 부정적인 양육태도, 낮은 경제수준, 그리고전업 주부인 어머니의 경우에 어머니들이 학령전기 아동의 문제행동이 유의하게 높다고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 포함된 전체 변수가 학령전기 아동의 문제행동을 34.5% 정도만 설명하고 있어 부족한 점이 있다. 아동의 문제행동을 설명하는 다른 요인들로 아동의 기질, 인지능력, 사회적 능력(또래관계), 부모의 결혼만족도, 부모의 훈육방식 등이 선행문헌에서 언급되고 있다. 이러한 부분들을 함께 고려하여 후속연구가 진행된다면 아동의 문제행동의 설명력이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본 연구는 학령전기 아동의 문제행동에 있어서 그동안 많이 언급이 되었던 어머니 양육태도와 경제상태 외에 형제순위를 부각시킨 점이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형제 중 맏이가 문제행동이 많이 발생하며, 이는 부모의 관심분산, 그리고 동생의 존재로 인해 맏이에게 아동으로서의 모습보다 성숙한 많은것을 기대하고, 첫째의 행동을 바라보는 시각과 관련된다고 생각된다. 이에 맏이를 아동 그대로의 모습으로 보며 자존감을 높여주도록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나 상담프로그램의개발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