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유은정 한국스페인어문학회 2024 스페인어문학 Vol.- No.112
Spanish L2 instruction on conditional constructions with the conjunction ‘si’ presents a few limited formal rules. These rules lack explanations for the usage of the verbs used in the protasis and apodosis and the different meanings according to the realization of the condition. Therefore, Spanish L2 learners may misinterpret or make errors in uses not covered by these rules. Furthermore, the differences between CCC-constructions, which are composed of conditional complex connectives, and Si- constructions are often not clearly explained in Spanish L2 teaching. To investigate whether Spanish L2 learners can correctly recognize the semantic interpretation of Si-constructions and CCC-constructions, this study aims to conduct experiments in which learners are presented with example sentences using verbs in different moods and tenses in the protasis and apodosis of both constructions and asked to choose the correct interpretat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we propose to supplement the explanation of the types of conditional sentences where learners commonly make errors and have misunderstandings. Additionally, we suggest presenting Si and CCC constructions in comparison to help learners recognize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교사의 의사소통 방법과 교수방법에 따른 청각장애학생의 국어교과 성취력과 개선방안
유은정,서중현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This study, focusing teacher factor as one of main factors contributed to hearing impaired student’s low achievement reported in the former researches, investigated how teachers for hearing impaired students guessed an academic level of their students, why the low achievement was bought, and what measures for moving up to higher achievement level should be taken. In this study, especially it would be focused on the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their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insufficiency of teaching methods as teacher’s main cause resulted in the low achievement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mentioned in the previous studies. For investigating this factors, questionnaire based on some previous researches was developed. 100 questionnaires sent out to teachers of 3 deaf schools, and 82 of them returned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was more than 3 year-gap between academic achievement level of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that of hearing students. The result also indicated that the gap was supposed to result from the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their hearing impaired students and insufficiency of teaching methods. Most teachers have used Total communication during their class hours, which would make it difficult to communicate each other and to deliver their class to their students. Only one or two teaching methods were applied regardless of distinction of the content area of Korean language such as pronunciation, words, grammar, and reading comprehension. Most teachers have applied the teacher-centered instructional approach rather than the student-centered exploration approach. Therefore, various teaching methods considering hearing impairment characteristic such as a difficulties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their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In addition, it needs that teaching approaches' applied according to each area of Korean language arts. Finally,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applying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 than total communication approach to hearing impaired students in order to help their academic achievement. 본 연구는 청각장애학생의 학업성취의 어려움에 대해 국어교과를 중심으로 교수방법의 실태와 개선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부산, 경남, 충북 3개 지역의 청각장애학교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중 회수된 82부를 빈도분석과 교차분석하여 자료를 처리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청각장애학교 교사들은 청각장애학생의 국어교과 수준이 건청학생에 비교해서 3년 이상 지체되었다고 응답했으며, 교사들은 의사소통 양식으로 주로 토탈 커뮤니케이션을 사용하며, 국어교과 수업에서는 중요한 부분 정도만 상호작용이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그리고 국어교과 내용영역별로 발음, 단어, 문법 영역에서는 주로 교사설명중심 교수방법이 사용되며, 독해력 영역에서는 학생탐색중심과 교사설명중심 교수 방법이 비슷한 비율로 사용된다고 하였다. 개선방안으로 청각장애학생의 국어교과 학업성취의 어려움을 개선하기 위해서 청각장애 학생의 장애 특성, 언어적 특성에 알맞은 교수방법의 개발이 요구되며, 의사소통 방법은 수업내용이나 상호작용 측면에서 토탈 커뮤니케이션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 양식이 요구되었다.
유은정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4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5 No.1
This study intends to treat the multiple focus movement in Spanishsecondary predicate construction. Only one focus element can move to the leftperiphery within a clause in focus construction. Moreover, one wh-element canappear in clause-initial position in Spanish wh-construction. According to thesimilarities between wh-element and focus element, it is argued that wh-elementscould be treated as focus elements. Therefore, in Spanish one focus elementappears in the left periphery of the sentence. However, two focus elements canmove to the left periphery in Spanish secondary predicate construction. Toexplain this phenomenon, I will propose a novel structure of derivation forsecondary predicate construction and I will argue that multiple focus movementis possible under this structure. Concretely, I will apply the parallel merge to thederivation of secondary predicate construction. Based on this structure, twofocus elements derived in different c-command units could be matching goalsfor the same probe. 본고에서는 스페인어 이차술어 구문(secondary predicate construction)에서 나타나는다중 초점(multiple focus) 이동 현상을 다루고자 한다. 스페인어는 초점 구문을 형성할 때, 문장의 좌향 외곽(left periphery)으로 이동하는 초점 요소가 한 문장 내에 하나만 나타나며, wh-의문사 구문에서는 하나의 wh-요소만이 문두에 나타날 수 있는 언어이다. wh-의문사구와 초점 요소 사이의 유사성을 바탕으로 wh-의문사구도 초점 요소로 다루어진다는 일반적인 논의를 통해, 스페인어는 하나의 초점 요소만이 문두에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할 수 있다. 이러한기존의 분석과는 달리, 스페인어 이차술어 구문에서는 다중 초점 요소의 이동이 가능하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이차술어 구문의 도출 구조에 대한 새로운 제안을 하고자 한다. 그리고이 구조를 바탕으로 다중 초점 요소의 이동이 가능함을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스페인어이차술어 구문의 도출에 병렬 병합(parallel merge)을 적용하여 서로 다른 성분 통어 영역에서두 주술관계가 형성된다고 가정하고, 각각의 도출 영역에서 생성된 두 초점 요소는 탐침에게동시에 보일 수 있는 목표(goal)가 됨으로써 다중 초점 이동이 가능하다고 논의하고자 한다.
화용론적 언어중재를 통한 ADHD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 증진 연구
유은정 한국특수아동학회 2006 특수아동교육연구 Vol.8 No.3
The study of the Pragmatic Intervention on the Communicative Skills for the children with ADHD 본 연구의 목적은 ADHD 아동들에게 화용적 언어중재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의사소통 기술과 문제행동의 변화를 보고자 하였다. 대상아동은 초등학교 2학년 남아 3명으로 소아정신과에서 ADHD로 진단 받은 아동들이었다. 주의력 결핍과 과잉 행동이 주된 문제이면서 또래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가진 3명의 아동은 의사사통 기술에서 미숙함이 보고되었고, 이에 대해 사전 사후 평가를 통해 중재의 효과를 설명하였다. 화용적 능력 평가와 부모 평정 척도 그리고 문제 행동 관찰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사전 사후검사와 AB 설계로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적으로 3명의 아동 모두 화용적 능력평가와 부모 평정 척도 결과 의사소통 기술에서 증가를 보였고, 문제행동은 관찰을 통한 결과에서 행동 발생빈도가 감소되어 문제행동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새로운 상황을 직면하거나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미숙한 행동이 여전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행동 및 특성을 개선하는 접근 방법들에 대한 다양한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를 비교 검토하여 실재적 적용에 대한 가능성과 효과에 대한 예측을 하는 데 실험적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ADHD 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의 향상과 문제행동의 개선 효과를 알 수 있었으며, 다른 중재적 접근과 함께 적용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유은정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2011 이베로아메리카硏究 Vol.22 No.1
This study deals with the adjectival resultative construction interpreted as ‘X₁CAUSE [Y₂BECOME Z₃]’. In Spanish, it is impossible to construct this construction with adjectival secondary predicate unlike other languages,especially English. The resultatives are secondary predicates indicating the result of action described by the primary predicate. Contrary to the depictives,the resultative predicate maintains lexically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main verb. Therefore, through the structural approach of adjunct predication we don’t have access to all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resultative construction. That’s why it’s necessary to assume the lexical-syntactic derivation and to argue that the lexicon and the syntax are related directly. Based on lexical property of verbs, I argue the lexicalization of motion event across different kinds of languages discussed in Talmy(1985; 2000) and Talmy’s typological distinction between verb-framed and satellite-framed languages for verb roots with respect to the expression of motion events. Following Talmy(1985; 2000)and Tenny(2000), I propose that the verb-framed languages, such as Spanish,express core predicate on the verb. And I claim that the resultative secondary predicates of pseudo-resultative construction modify and emphasize the path element conflated on the verb.
유은정,정득실 한국지구과학회 2019 한국지구과학회지 Vol.40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cience gifted students’ level of interpreting the oceanic graph and of understanding the oceanic physical concept through analyzing the Temperature-Salinity (T-S) diagram and inferring the SOFAR (SOund Fixing And Ranging) channel. A total of 106 gifted students in the 3rd year of a science gifted high school, using T-S diagrams published in one of the journals of Oceanology, developed descriptive questions asking the depth of the SOFAR channel to conduct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graph interpretation ability. As a result, there was a big difference in the level of graphs interpretation and concepts understanding for each science gifted students such as interpreting, modeling, and converting, and exposed their alternative concepts about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den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to understand the levels of science gifted students' graph interpretation in oceanology,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oceanology and also provide basic data for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related to graph analysis. 본 연구의 목적은 수온-염분도를 분석하여 음속최소층을 유추하는 과정을 통해 과학영재들의 그래프 해석 능력과 해양의 물리적 개념 이해 정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에 과학영재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총 106명의 영재학생을 대상으로 해양학 학술지에 게재된 수온-염분도를 이용하여 SOFAR (SOund Fixing And Ranging) channel의 깊이를 추정하는 논서술형 문항을 만들어 양적,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수온-염분도를 해석, 모델링, 변환하는 등 과학영재마다 그래프를 분석하는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온, 염분, 밀도 등에 관한 대안 개념도 노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과학영재들의 그래프 해석 수준을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나타난 대안 개념을 토대로 해양 분야 교수-학습 방법 개선 프로그램 및 그래프 분석과 관련된 소재 발굴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강박장애 환자에서 Sertraline 치료반응의 예측인자에 관한 연구
유은정,우행원,김영철,연규월,김종원,임원정 대한신경정신의학회 2000 신경정신의학 Vol.39 No.2
연구목적: 1980년 중반부터 강박장애의 치료로 SSRIs가 널리 쓰이고 있으나 치료반응의 예측인자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sertraline 투여후 호전군과 비호전군의 인구학적 특성, 발병연령, 이환기간, 과거의 강방장애에 대한 투약경력, 정신과 질환의 가족력, 증상의 심각도, 임상양상 등의 변수들을 관찰하여 sertraline 치료반응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치료방응을 예측 할 수 있는 인자를 알아보았다. 방법: 연구 대상은 이대부속 동대문병원 정신과에 입원 또는 외래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정신과 진단 편람제 4판 진단 기준에 의거하여 강박장애로 진단 받은 31명(남자 10명, 여자 21명)이었다. 연구 방법은 sertraline을 하루 50mg씩 투약하면서 Y-BOCS, NIMHOCS, CGI로 강박증상의 변화를 평가하였고, HAM-A로 불안정도의 변화를 측정하여 투약 전 점수와 비교하였다. 결과: 1) Y-BOCS 점수 40%이상 감소와 함께 CGI 점수 2점 이상 감소를 보인 호전군은 대상환자 31명중 17명(54.8%)이었고, 비호전군은 14명이었다. 호전군이 비호전군에 비해 늦은 나이에 발병하는 경향을보였고(p<0.1), 이환기간이 짧았으며(p<0.05), 과거의 강박장애에 대한 투약경력은 적었다(p<0.05), 정신과 질환의 가족력은 두 집단간에 차이가 없었다. 2) 호전군에서 투약 전 Y-BOCS의 강박행동 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p<0.05), 기타 다른 평가척도에서는 두 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평균 Y-BOCS 점수는 투약 전에 비해 sertraline 투약 12주째 43.5%가 감소하였다. 투약 전과 비교하여 투약 2주째부터 불안을 평가하는 HAM-A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투약 4주째부터 Y-BOCS, NIMHOCS, CGI 점수가 유의하게 감소되기 시작하여 12주까지 지속되었다.(p<0.01). 4) 호전군에서 오염에 대한 강박사고와 씻음의 강박행동의 유의하게 많았으며(p<0.05), 셈의 강박행동은 없었다(p<0.05), 병적 의심은 비호전군에서 많은 경향을 보였다(p<0.1). 결론: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질병의 이환기간이 짧으며 과거의 강박장애에 대한 투약경력이 적고 투약 전강박행동이 심하지 않으며, 주된 임상양상이 오염에 대한 강박사고와 씻음의 강박행동인 경우 sertra-line에 좋은 치료반응을 보이지만, 셈의 강박행동이 있는 경우에는 치료반응이 좋지 않다고 예측할 수 있다. Objectives: The pharmacologic treatment of obsessive-compulsive disorder(OCD) with serotonergic antidepressant agents is well established in clinical psychiatry on the basis of serotonin hypothesis. Studies on predictive factors of treatment reponse to OCD are relatively scarce. The author compared the demographic factors, age of onset, length of illness, family history of mental illness, previous drug history for OCD, severity and type of symptoms between the drug reponders and non-responders to find out the predicitive factors that may be related to treatment response. Methods: The subjects were 31, both inpatients and outpatients who met the diagnostic criteria for OCD by DSM-IV and scored 20 or higher on the Yale-Brown Obsessive-Com-pulsive Scale(Y-BOCS) completed 12-week trial of sertraline. Y-BOCS,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Obsessive-Compulsive Scale(NIMHOCS), 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CGI) were scored to measure the changes of obsessive-compulsive symptoms, and Hamilto Anxiety Scale(HAM-A) was measured at each visit. Results: 1) The responders, defined as achieving at least a 40% decrease in the Y-BOCS total score and more than a 2 point decrease in CGI score, were 17(54.8%), and non-responders were 14(45.2%). Responders tended to show later onset(p<0.1), and shorter duration of illness(p<0.05), and less previous drug therapy for OCD(p<0.05) than non-respond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family history of mental illness between the two groups. 2) The basline Y-BOCS compulsive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responders(p<0.05),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asline severity of other measures. 3) The obsession of contamination and washing behaviors were more frequent, but compulsive counting was not shown, in responders(p<0.05). The pathological doubt tended to be more common in nonresponders(p<0.1). Conclusions: In summary, the patients with shorter duration of illness, less prior drug ther-apy for OCD, and less severe compulsive behaviors, and the obsession of contamination and washing behaviors are expected to be better outcome with sertraline, whereas compulsive counting are the predictor of poor respon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