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장애유아의 통합에 있어서 효과적인 일반유아교사 지원 방법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유은연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4 재활복지 Vol.8 No.1

        본 연구는 1. 일반유아교사들의 경력유무에 따른 일반유아교육 프로그램에의 장애 유아 통합에 대한 견해를 재검토하고, 2. 일반유아교사들의 경력유무에 따른 유아교육 및 특수교육관련 정보 수집 통로와 그 내용에 대한 선호도를 알아보아, 일반유아교사지원의 한 부분인 특수교사의 주도적인 정보제공의 실제적인 통로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삼고자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학 내 보육사 양성 기관에 다니는 특수교육관련 필수 과목을 수강 중인 교육생과 현장 유아교사를 위한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이라는 주제의 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한 일반유아교사들을 대상으로 총 14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수거된 총 152개의 사례를 SPSS로 빈도 및 교차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장애유아 통합에 관한 일반적인 견해에 대한 분석 결과〉와 관련해, 1. 일반유아교육기관에의 장애유아 통합에 대한 응답자의 경향을 살펴보면, 전체적으로나, 경력이 있는 경우, 경력이 없는 경우 모두 긍정적인 반응을 더 많이 보이고 있다. 2. 장애유아가 통합된 학급을 담당해본 경험 유무에 관계없이-통합학급 경험이 없을지라도 앞으로 장애유아가 통합된 학급을 담당할 의향이 대체적으로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3. 장애유가가 통합된 학급을 담당해 본 경험이 있는 경우, 장애유아 통합의 어려움으로 느끼는 것은 관련 전문지식의 부족, 장애유아의 문제 행동, 특수교사의 지원 부재로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관련 전문지식의 부족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유아교육 또는 특수교육관련 정보수집 방법과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와 관련해, 1. 일반유아교사들이 유아교육관련 정보를 얻기 위해 전반적으로 "인터넷 사이트"와 "유아교육관련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유아교육전문잡지"를 주로 활용하고 있으며, 부차적으로 "전문서적"을 통해서도 정보를 얻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유아교사들의 유아교육 및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보는 유아교육 전문 잡지는 경력 유무와 무관하게 "원간유아"로 월등히 나타났으며, 그 다음이 "꼬망세"로 나타났다. 3. 일반유아교사들의 유아교육 및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해 가장 많이 찾는 인터넷 사이트는 "서울시 보육정보센터", 그 다음으로는 "한국어린이 육영회" 사이트를 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 경우 "기타" 항목에 반응할 수가 많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내용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많은 수의 일반 유아교사들이 특별한 선호 경향 없이 필요에 따라 관련정보를 검색하여 이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여진다. 4. 유아교육 및 전문적 자질 향상을 위하여 가장 많이 참석하는 교사교육 및 연수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특정 기관의 교육 프로그램을 선호하기보다는 주제에 따라 필요한 교육을 선택하여 참석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5. 일반유아교사들이 장애유아에 대한 정보를 얻으려 할 때, 선택하고자 하는 정보전달 방법에 대한 결과를 정리해 보면, 주로 "특수교육 관련 기관(복지관 등)에서 개최하는 일반유아교사를 위한 교육 및 연수프로그램", "유아교육 관련 교육 및 연수 프로그램", "인터넷 사이트", "특수교사의 직접지원", "유아교육 전문잡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디오테입", "방송", "전문서지"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비디오 테입", "방송", "전무서적"에 대한 선호도는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일반 유아교사들이 장애유아에 대해 얻기 원하는 정보는 주로 "장애유아의 교육 방법"과 장애유아의 선별 및 진단", "장애유아의 통합교육에 대한 이해", "장애유아의 발달 및 특성", 그리고, "장애유아의 문제 행동 다루는 전략"과 같이 교실에서 일어나는 장애유아와 직접 관련된 것이라는 경향을 보여준다. 반면에 "관련법 및 제도적 장치에 대한 정조", "특수교육관련 기관에 대한 정보", "장애유아 부모의 이해"와 같은 보다 대의적이며 간접적인 측면의 정보에 대해서는 낮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들은 대체로 경력유무에 따라 특별한 차이점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이므로, 유아교육기관에의 근무 경력 유무에 대한 특별한 고려 없이 지원이 진행되면 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indergarten teachers judgements on the inclusion in their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in young children education field and is to find out channels of information related to kindergarten and special education programs and preferences of the contents, then to make it sources to develope the practical information channel as a special educator leading supporting system. For the survey, the questionnaire sheet, which contains 14 question, were distributed to kindergarten teachers taking part in the workshop titled i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students who were taking a required course of special education of a nursery teacher training school attached to university. Based on 152 responses, the result is examined by SPSS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 About General judgements on the inclusion 1. The responses show positive attitudes overall regardless of young children education career. 2. Most of respondents would love to run inclusive classes whether they have the career or not. 3. From their former inclusion experiences, we found what made them feel difficult to be a inclusive class teacher. Expert knowledge poverty, behavioral problem and the absence of specially trained staffs or teachers appeared to be difficulties. Among them the lack of expert knowledge is high-rated as a major difficulty. About Channels of preschool education and special education information 1. Internet web-sites and special education workshops or training programs, and technical magazines for preschool education are usually referred. And journals for specialists are secondary resources. 2. To upgrade their quality as a specialist, kindergarten teachers use 'Wolgan Yuah" most often and the next-best is Commencer. 3. The topmost favored web-site is Seoul child care information center and Korean Association for the Fostering and Education of the New Generation is followed by. But, in this case, the rate of response to the others is relatively high and its details are various. It means there are no fixed preferences to them because they just surf and search information whenever they need. 4. For the workshops or the training programs. as the needs arise, they choose particular programs regardless of particular institution. 5. As channels of special education information. workshops and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teachers held by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s-like welfare centers, preschoo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web-sites and direct supports of experts are more popular than video tapes, "broadcasts (TV channe1s)" and "journals for specialists". 6. Kindergarten teachers, in common, demand the knowledge especially about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uch as teaching method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diagnosis and screening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understanding inclusive early childhood education", "development and traits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strategy for managing behavioral problem -they all seem directly related to children in a classroom. In contrast indirect information such as Information about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al devices, "information about relevant special education institution" and "understanding the parents" are less popular.

      • KCI등재

        장애 유아의 통합 가능성과 지원망 구축에 관한 조사 연구

        유은연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3 재활복지 Vol.7 No.2

        본 연구는 강동구 내에 위치한 정규 일반유아 교육기관에의 장애유아 통합 가능성을 알아보고, 보다 효과적인 통합 지원망(supportive network) 구축을 위한 정보를 얻기 위해 선행되었다. 이를 위해 강동구내 총 162개 정규 유아교육기관(유치원과 어린이집)의 기관장(원장)을 대상으로 총 27개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우편을 통해 배포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수거된 49개의 사례를 SPSS로 빈도 및 교차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강동구 내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장애유아 통합 및 통합지원 수용 정도를 알아보고, 그 수용 정도와 기관의 규모, 설립 년도, 기관의 소속형태, 종교적 배경, 원장의 특수교육관련 과목(연수) 이수 경험이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는지 살펴보며,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장애유아 통합에 대한 일반적 견해의 경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강동구 내 일반유아교육기관의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적 견해들을 알 수 있었다. 2. 통합지원을 원하는 기관 중 보다 확실하게 기관의 의사를 묻기 위해 직접 기관명을 기재하도록 하였는데, 총 27개 기관이 기관 명을 직접 기재하였다. 이는 162개의 강동구 내 일반유아교육기관의 17%를 차지하는 수이며, 설문에 응답 한 49개 기관의 55%를 차지하는 수이다. 3. 강동구 내 일반 유아교육기관의 장애유아 통합 및 특수교사 통합지원의 수용정도는 기관의 설립 년도, 규모, 소속 형태, 종교적 배경, 원장(기관장)의 특수교육 관련 과목 이수 여부와 유의미한 관계를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t regular educational institutes located in Kangdong-ku and information about the construction of effective supportive-network for inclusion. The questionnaire, which contains 27 question, were distributed through the mail to the 162 directors at regular education institutes for young children (kindergartens, day-care centers). Based on the responses from 49 directors, the result is examined by SPBS frequency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figure out the three things: the acception-level of the supportive inclusion and the inclusions, meaningful relation between the acception-level and several factors about the nstitutes(the size, the year of foundation, the type, the religious background, and the directors related experience about special education) and the general attitude toward about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t regular education institut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attitude toward inclusion for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t regular institutes in Kangdong-ku can be inferred through this study. Second, to confirm the institutes' attitude about inclusive support by special educator were requested to fill out the exact name of the institute. 27 directors wrote their own name of institutes. This number occupies 17% of the whole amount of subjects(162) and 55% of the 49 responses. Third, the acception-level of inclusion and inclusive support by special educator do not have any relation with the institutes' factors like the size, the type, the religious background and the directors' related experience about special education.

      • KCI등재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의 가족지원 실태 및 요구에 관한 질적연구

        박지연,유은연 한국특수교육학회 2004 특수교육학연구 Vol.39 No.2

        Though it is true that attentions have been paid to family support for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ntly and that emphasis has been put on the family support that are comprehensive and family-centered, there is a lack of exemplary model about specific contents and strategies to provide family support for low-incom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 practical and comprehensive family support model for low-incom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rough the qualitative investigation of these families’ experiences, needs, and perceptions. Eighteen primary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13 professionals who work with these families and their children were interviewed. From the qualitative analysis, four themes emerged:(1) the impact of poverty on families, (2) existing issues in current system, (3) needs of the families, and (4) the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ccess of family support efforts. Finally, the critical element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family support model for these familie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둔 저소득층 가정의 경험, 요구, 인식 등을 심도 있게 조사하여 이러한 가정들을 위한 실제적이고 종합적인 가족지원모델을 개발하려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장애유아 및 아동을 둔 저소득층 가정의 1차 양육자 18명과 이들 가족을 위해 일하는 교육전문가 13명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4개의 주제(themes)가 도출되었다:(1) 빈곤이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에 미치는 영향, (2) 현재 지원체제가 가진 문제점, (3)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의 요구, (4)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지원의 성패에 영향을 미칠 기타 요소들. 논의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장애아를 둔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가족지원의 나아갈 방향과 가족지원의 내용 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생물학적 폐수처리 공정에서의 계절 및 유입수 성상 변화에 따른 미생물 군집 특성 변화

        손형식(Hyeng Sik Son),손희종(Hee Jong Son),김미아(Mi A Kim),유은연(Eun Yeon Ryu),이건(Geon Lee),이상준(Sang Joon Lee)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8

        실험기간 동안 생물학적 처리공정에서의 BOD와 COD의 제거율은 각각 83.1~98.6%, 67.2~85.2%였으며, 단위 공정별로 미생물 군집 변화에서는 가을과 겨울의 경우 호기조, 산소조 및 무산소조에서 전체적으로 비슷한 군집양상을 나타내었다. RRP 그룹의 경우는 무산소조에서 3배 정도 증가하여 DGGE 밴드결과에서 새로운 밴드들이 나타난 것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비슷한 분포를 나타내었지만, 가을엔 α-Proteobacteria가 우점하였고, 겨울엔 CF 그룹이 우점을 보였다. 봄에 분석한 DGGE와 FISH의 결과에서는 유입수의 성상변화에 따른 미생물의 군집 패턴이 가을과 겨울의 경우에 비해 완전히 다른 패턴을 보였으며, FISH 결과에서 others 그룹의 증가와 DGGE 밴드결과에서 새로운 밴드들이 나타난 것과 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Eubacteria는 1.7~7.6×10(9) cells/mL 정도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미생물 군집을 평가하는데 FISH와 DGGE는 매우 효과적이었고, 계절별 및 공정별 군집의 변화에 대해 유용한 평가가 가능하였다. The bacterial community structure in biological reactor i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as investigat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and fluorescent in situ hybridization (FISH). Samples were collected at different three points i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Through treatment processes,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and COD (chemical oxygen demand) of was removal efficiency was 83.1~98.6%, 67.2~85.2% respectively. Microbial community of aerobic tank and oxic tank were similar but anoxic tank was different (RRP group was increased about tripple) by DGGE and FISH in sludge (2007 October and 2008 January). Samples in 2007 October and 2008 January were dominant α-Proteobacteria and CF group respectively. Sludge in 2008 April were different comparing former results dominant others as 65~80%. Others group was dominant. Eubacteria by FISH with the probe EUB338 was about 1.7~7.6×10(9) cells/mL. It could be successfully observed bacterial community in biological wastewater syst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