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 구성의 특정 영역적(domain-specific) 접근에서 본 ‘병(illness)’ 개념의 발달

        유윤영 한국인간발달학회 2009 人間發達硏究 Vol.1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ncept development of illness amongst the following age group;. 3-, 4-, 5-, and 6-year-olds, second year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and undergraduate students. The study subjects totaled 180, with 30 people in each group. The instruments for studying the degree of conceptual understanding of illness by children and adults are the causes of illness (by Springer and Ruckel(1992)), and the contagion of illness (Kister and Patterson(1980)) The author used all of them following some revision. The reactions of children and adults gathered to illness conception was estimated by the distinct base, was decided upon following discussions by the current investigator and a number of experts. Two-way ANOVA was used for analysis, multiply age(5) by sex(2) was used for investigating the difference by age and sex, and this was found to be dependent on the data estimated for investigating the biological conception of illness in children and adults, and Scheffe' was used for post-hoc test of each level of biological conception. The results showed that 3-year-olds did not construct a concept of illness, but 4-, 5-, 6- year olds and 2nd grade, had by this age, already formed a concept. There were differences in concept construction according to age, but there was no difference discernable by sex. Child conceptions of illness appear from age five. The undergraduate student group, representing a formal stage in this study, appeared to show an inclination, which seemed to depend upon direct experience more than logic and this is what constitutes their concepts. Therefore, these findings supported a domain-specific approach of knowledge construction.

      • KCI등재후보

        지식구성의 특정 영역적 관점에서 본 영유아기 생물이론 발달에 대한 논의

        유윤영 한국보육학회 2011 한국보육학회지 Vol.11 No.2

        영유아가 세상을 이해하는 데 기본이 되는 틀로 물리이론, 마음이론, 생물이론의 세 핵심이론이 있다. 이 가운데 생물이론의 세 핵심이론이 있다. 이 가운데 생물이론의 영유아기 구성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시각이 없지 않았다. 논리의 발달을 개념구성의 전제조건으로 여겼던 전통적인 관점 때문이었다. 그러나 ‘공룡’과 같은 몇몇 특정 영역에서의 지식구성이 말해주듯 이들은 일상에서 경험하는 생물학적 대상이나 현상에 대해 나름의 개념을 구성하고 있으며, 이를 토대로 세상을 이해해 간다. 지식구성의 특정 영역적 관점은 이처럼 전통적인 관점이 설명하지 못했던 생물분야에서의 영유아의 개념상승 현상을 설명해 준다. 이들은 인지구조의 발달 외에도 사회문화적 맥락, 언어 이해력, 관심, 사전경험과 이로 인해 구축된 지식구성의 정도가 생물이론의 구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생물이론 구성 시기에 대해서는 다양한 주장이 존재하나, 대체로 만 4세를 기점으로 구성된다고 보고 있다. 영유아기의 생물개념구성에 대한 탐구는 인식론적 관점에서 지식구성자로서의 영유아의 능력을 발견했다는 점과 이를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생물이론가로서의 영유아의 재발견은 이들에게 맞는 생물교육을 제공할 수 있게 하며, 이 과정에서 제공된 추론을 비롯한 다양한 교수학습법의 적용으로 우리 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고하는 인재를 육성한다는 점에서도 의미를 갖는다. The present article discusses about construction of biological concept of young children. Children have physic theory, theory of mind, and biology theory, and these theories are framework that children to see and understand the world. But discussion about construction of biology theory in early childhood have not discussed enough by influence of traditional viewpoint of cognitive development. Recently an increasing number of scholars who are called that it is domain-specific approach the field of cognitive development have argued that important understanding of these domains develop early in life. They assumes that the process of construction of knowledge is facilitated under a variety of domain-specific constraint(i.e., internal cognitive constraints and social constraints). This study investigate knowledge construct of domain-specific approach, and will search concept that early childhood compose concept about their body, heredity, thinking of animism, and illness. Many researchers reported that children of ages 4 have understanding of biological conception. Since the domain-specific of development pays much attention to socio-lcultural constraints that can be controlled by educators. it suggests using these constraints as instructional strategies to affect processes of children's knowledge construction. This leads to a implications for early science education. Since domain specific approach of concept construction assumes that children acquire knowledges easily and rapidly when innate or early constraints works, it suggests that we may start biological education at earlier ages. This it is recommended that educators seriously consider the possibility of starting biological education.

      • KCI등재

        질 들뢰즈의 『영화1: 운동-이미지』에서 운동과 전체에 대하여

        유윤영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30 No.-

        이 논문은 들뢰즈의 『영화1: 운동-이미지』에서 운동과 전체의 관계를 다룬다. 들뢰즈는 베르그송의 철학을 바탕으로 이미지의 물질적 존재성을 수용한다. 베르그송에게 물질은 곧 이미지이다. 우리의 신체도 하나의 이미지이며, 물질적 우주는 이미지들의 상호 지각에 의해 작용하고 반작용하는 이미지들의 총체이다. 들뢰즈의 경우 영화와 철학의 관계는 이미지와 개념의 관계와 같다. 들뢰즈에게 개념은 사유가 외부의 사물들과 마주침으로서 주어지는 사유의 이미지이다. 영화 이미지는 카메라가 대상들을 지각함으로써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그것은 순수한 운동-이미지이다. 영화는 순수한 운동을 통해 매 순간 새로움을 생성한다. 들뢰즈는 전체를 항상 열려 있으며 개방성(l'Ouvert)으로 정의한다. 프레임은 외화면을 통해 이질적이고, 지속으로서의 전체를 향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쁠랑은 운동체에 종속되지 않는 순수한 운동을 보여준다. 영화가 보여주는 순수운동은 사유를 자유롭게 해방시킨다. 그것은 어떤 정해진 도식에 따라 사유하는 것이 아니라 탈중심화된 사유이다. 영화는 사유에 충격효과를 가하고 사유로 하여금 전체를 사유하게 만든다. 사유는 그러므로 언제나 사유의 외부에 있는 어떤 것, 사유 속의 비사유와 관련되어 있다. 사유한다는 것은 사유의 새로운 이미지를 발생시키는 이러한 비사유와 직면하는 것이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a possibility of something new of thinking in Gilles Deleuze's Cine ma. Deleuze accepts the materiality of images, which Henri Bergson presents in “Matter and Memory" Matter for Bergson is an image. Our body is also an image, and the material universe itself is defined as the totality of images to act and react reciprocally. For Deleuze the relationship between cinema and philosophy corresponds to that of image and concept. A concept is an image of thinking, which happens to us by confronting all outside thought. The camera produces cinematographic images, which are pure movement-images. Cinema produces the new through the pure movement every time. For Deleuze, movement is a mobile section and expresses something that is the change in duration or in the Whole. Deleuze defines the Whole as the Open. The frame tends toward the Whole as duration. The shot shows the pure movement, which is not subordinate to moving bodies. The pure movement in cinema frees thought. It does not express thinking through any fixed schema but by a kind of decentred thinking. Cinema shocks thought, causing it to think the Whole. Thought for Deleuze is thus always correlated with something outside thought, the unthought in thought. It is the confrontation with this unthought, which forces us to think and re-think our own thinking, bringing about a new image of thought.

      • KCI등재

        들뢰즈의 <시네마>에서 변증법적 몽타주와 영화의 이념

        유윤영 대동철학회 2015 大同哲學 Vol.71 No.-

        들뢰즈는 <시네마>에서 운동과 지속에 대한 베르그손의 테제를 프레임(frame)과 쇼트(shot), 그리고 몽타주(montage)와 연결시킨다. 운동은 언제나 전체와의 관계에서 파악되어야 하며 전체의 변화를 표현한다. 들뢰즈에게 전체의 변화는 쇼트의 연결과 절단, 그리고 잘못된 연결을 통해 규정된다. 전체는 몽타주를 통해 드러나는 어떤 이념이다. 들뢰즈는 두 권의 <시네마> 요소요소에서 에이젠슈테인을 인용하고 있는데, 무엇보다도 에이젠슈테인이 몽타주를 통해 사유에 충격을 가하고 사유로 하여금 이념을 사유하도록 만든다는 것이다. 몽따주는 운동의 연속성을 절단하고, 상이한 시간과 지속의 블록들을 하나의 단위로 통합함으로써 이념의 차원을 제시한다. 비록 몽타주가 이념을 드러내기 위해 운동-이미지에 가해지는 작용일지라도 이념은 쇼트의 단위로 환원될 수 없는 낯선, 이질적인 것이다. 고전영화에서 몽타주는 시간의 간접적 재현인 반면 현대영화에서 몽타주는 시간을 그 자체로 제시한다. 몽타주는 잘못된 연결을 통해 전체를 규정하지만 동시에 몽타주는 간격이자 틈이 되고 전체는 외부라는 새로운 지위를 얻는다. 몽타주가 고전영화와 현대영화에서 각각 상이한 지위를 가지는 것은 몽타주의 이중성에 근거한다. 몽타주는 중심화 경향과 탈중심화 경향을 동시에 보여준다. 에이젠슈테인의 변증법적 몽타주는 대립과 모순을 통해 발전하는 거대한 나선의 운동이다. 들뢰즈에 의하면 나선의 상승운동은 스스로를 둘로 나누고 새로운 통일을 재형성하는 일자(l’Un)의 운동이다. 나선의 운동을 가로지르는 하나의 이행이 발생하는데, 양적인 과정에서 질적 비약으로의 이행이 그것이다. 파토스를 규정하는 것은 질적 비약이다. 에이젠슈테인의 변증법적 몽타주를 통해 발생하는 파토스는 이러한 정서가 어떻게 관객의 의식에 작용하고 관객의 의식을 변화시킬 수 있는지 보여준다. 그래서 파토스는 영화의 이념이다. In this paper I try to show that montage expresses the thought and an idea, exploring the relationship of Eisenstein's notion of dialectic montage and thought. Deleuze quotes him in his two books on cinema, Cinema I: TheMovement-Image and Cinema 2: TheTime-Image, first of all the shock of the montage forced through it thought to think the Idea. The montage presents the dimension of the idea by unifying the different blocks of duration. Montage is the operation which bears on the movement-images to release the idea, and it is heterogeneous not reduced to the shots. What originates from montage is a indirect image of time, the idea. Deleuze argues that the idea is not able to be determined, instead it may be grasped in a range of affective tones. Eisenstein considered the form of as a great spiral growing through oppositions or contradictions. That is the movement of the One, which divides itself in two and recreates a new unity. There is a transition from one point to another on the spiral, it marks the jump or qualitative leap, this is the pathetic. What determines the pathetic is a qualitative leap. Deleuze relates the pathetic to the thinking, it is the idea of cinema.

      • KCI등재

        질 들뢰즈의 철학에서 영화와 사유의 관계

        유윤영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人文硏究 Vol.- No.68

        This paper studies a relation of cinema and thought presented in Deleuze's Philosophy. Deleuze argues art reveals sense, expresses it, and thinks it. Deleuze relates the sense with an appearance of somethings new, a decentered state. While the conceptual cognition is the form of recognition, sense indicates something beyond the limit of thought. The thought in the classical philosophy supposes a natural ability of the thinker, a natural faculty and a good nature of thinking. For Deleuze this is the false premise, a dogmatic image of thought. On the contrary thinking is a fundamental encounter, like violence forced us. Deleuze argues we don't think actively. Instead we think passively. This means thought is automatic and autonomic. Deleuze finds automatic movement of thought in the cinematographic images. Cinema is automatic movement of thought itself. For Deleuze the automatic movement is capable of producing a shock to thought, makes us think the Whole[Tout]. But the whole is neither given nor giveable. The whole is something outside thought and can be only regarded as an Idea. In this respect, Deleuze argues it is the whole and the idea of cinema. Thus it presents a new image of thought. 이 논문은 사유의 이미지에 대한 들뢰즈의 비판을 검토하고 두 권의 『시네마』에서 제시하고 있는 영화와 사유의 관계를 통해 사유의 새로운 의미를 밝히는 것이다. 들뢰즈에 따르면 예술은 감각을 드러내고 감각을 그리는 것이며 나아가 감각을 사유하는 것이다. 들뢰즈는 감각을 이질적이며 언제나 새로운 어떤 것들의 출현이자 탈중심화된 상태와 연결시킨다. 개념이 재인의 형식인 반면 감각은 중심화 될 수 없는 이질적인 것, 개념적 사유의 한계 너머를 가리킨다. 전통적인 철학에서 사유는 자연적 능력, 즉 타고난 인식능력이며 사유의 선한 본성을 가정하고 있다. 들뢰즈에게 이것은 잘못된 전제이며 “사유의 독단적 이미지”이다. 들뢰즈에게 사유는 이러한 전제를 제거할 때 가능하다. 사유는 비자발적이고 어떤 주어진 전제를 가정할 수 없는 우연적인 마주침의 대상이다. 사유는 나의 의지와 무관하게 나에게 주어지는 폭력이고 외부의 침입처럼 강제적이다. 들뢰즈가 사유와 관련하여 문제 삼는 것은 우리가 ‘능동적으로’ 사유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유는 어떤 의도된 행위나 자연적인 능력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주체의 의부로부터 발생하는 어떤 것이다. 사유란 곧 사유의 자동성을 의미한다. 영화 이미지가 그 자체로 운동이라는 점에서 영화는 자동적인 운동을 생산한다. 영화의 이미지와 사유가 모두 자기운동성을 본질로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영화는 사유의 자동적 운동 그 자체를 보여준다. 영화의 운동-이미지는 사유에 충격을 가하고 전체를 사유하도록 만든다. 전체는 주어지지도 않고 주어질 수도 없다. 그러므로 전체는 사유의 대상이 아니며 오히려 사유 불가능성을 드러내는 지표이다. 전체는 사유 바깥의 이질적인 어떤 것이며 오직 이념으로서만 지향될 수 있을 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