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 뤽 고다르의 영화적 프로젝트에서 메타모더니즘을 발견하기 - <필름 소셜리즘>과 <이미지북>을 중심으로

        유운기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3 人文科學 Vol.128 No.-

        In order to read French filmmaker Jean-Luc Godard's metamodernist attempts at film projects, this paper examines two of his late works, Film Socialism and The Image Book. These two works are Godard's attempts to update the project of his work, The History(s) of Cinema, to digital film. Godard's ongoing exploration of the medium of film continues with digital film. This resonates with the content aspect as well as the formal aspect of the film. This is because Godard tries to reach the public theme of the crisis in Europe and the Middle East through the private film footage he has collected. This attempt has the character of metamodernism, today's art movement that promotes the coexistence of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public and private, by reconciling modernism and postmodernism. To find out the specific meaning of this, this paper discusses the following. First, this paper will outline metamodernism as a contemporary art movement and identify its core as an attempt to oscillate between seemingly opposing things, such as universal and individual, private and public. Second, this paper will explore how the continuous project of Godard's films in his middle and late period is renewed in Film Socialism and The Image Book, focusing on three key themes: experimentation about form and medium, fragmentation of images and speaking, and historical montage. Third, this paper will connect Godard's project to the metamodernism character as contemporary artistic movements. In particular, Alain Badiou's interpretation of Saint Paul and the concept of contemporaneity as a universal individuality is important here, and this paper will examine how this relates to the sense of history in Godard's work. In doing so, this paper will make a way forward for studying Godard's films and his project after his death. 이 논문은 프랑스의 영화 감독 장 뤽 고다르의 후기 두 작품인 <필름 소셜리즘>과 <이미지북>을 통해 그가 가진 영화적 기획에서 메타모더니즘적 시도를 읽어내고자 한다. 두 작품은 고다르가 자신의 대표작인 <영화의 역사(들)>의 기획을 디지털 필름에 이르러 갱신하려는 시도와도 같다. 영화에 대한 매체 탐색을 꾸준히 행해왔던 고다르가 디지털 필름에 이르러서도 이를 계속해가는 것이다. 이는 영화의 형식적 측면과 더불어 내용적 측면과 조응하기도 하는데, 고다르가 본인이 그러모은 사적인 영화 푸티지들을 통해 현대 유럽의 위기와 중동 문제라는 공적인 주제에 도달하려 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이러한 시도는 오늘날에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의 화해로 하여금 보편성과 개별성, 공적인 것과 사적인 것의 공존을 도모하는 예술운동인 메타모더니즘적 성질을 가진다. 이것이 구체적으로 무슨 의미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본고는 다음과 같은 논의를 진행할 것이다. 먼저 동시대 예술운동인 메타모더니즘에 대해 개략하고 그 핵심적인 성질을 보편적인 동시에 개별적이고 사적인 동시에 공적인 기획 등 서로 대립되어 보이는 것들 사이에서 진동하려는 시도로 파악할 것이다.(2장) 이후 고다르의 중후기 영화에서 나타나는 꾸준한 기획이 어떻게 <필름 소셜리즘>과 <이미지북>에서 갱신되는지를 형식과 매체 실험, 이미지와 말의 파편화, 역사적 몽타주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탐색할 것이다.(3장) 이어서 고다르의 이러한 기획을 동시대 예술운동의 한 경향인 메타모더니즘적 특질과 연결시킬 것이다. 특히 여기서 알랭 바디우의 사도 바울 해석과 보편적 개별성으로서 동시대성을 인식한다는 개념이 중요하게 작용할 것인데, 이것이 어떻게 고다르의 작품에서 보이는 역사인식과 결부되는지 살펴볼 것이다.(4장) 이를 통해 고다르 사후에 그의 영화와 그 기획을 연구하는 데에 있어서 하나의 방법론을 정리해두려고 한다.

      • KCI등재

        버추얼 유튜버의 포스트휴먼 신체성 -디지털로 매개되는 몸과 목소리를 중심으로-

        유운기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3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2

        버추얼 유튜버는 사이보그이다. 버추얼 유튜버가 가상의 신체와 현실의신체의 공명으로 존재한다는 점에서 그렇다. 디지털 시대로의 입장과 더불어그동안 활발히 연구되었던 가상현실과 혼합현실, 현실에서의 몸과 디지털 아바타, 사이버 가수, 온라인을 통한 사람들의 커뮤니케이션과 콘텐츠 재생산등은 인접 분야이면서도 별도의 장에서 논의되어 왔다. 그런데 사이보그로서버추얼 유튜버 현상은 그러한 담론들이 집약되는 지점이기에 흥미로운 주제가 될 수 있다. 하여 본 연구에서는 동시대의 디지털 기술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학제간연구가 버추얼 유튜버를 중심으로 더욱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연결고리를 만들어두려고 한다. 특별히 본고에서 덧붙이고자 하는 것은 버추얼 유튜버의 혼합현실적 신체성과 그 ‘목소리’이다. 목소리는 신체이다. 목소리는 물리적인 공간을 점유하지는 않지만 그 공간을 점유하는 육체의 기관을 통해 발휘되며 그것이 곧 그 육체 기관을 가진 존재자의 진본성에 대한 지표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신체이다. 버추얼 유튜버의 성립은 가상 신체와 현실 신체가 기술적 장치를 통해 만남과 동시에 목소리를 매개로 하여 장소성을 형성하면서비로소 이루어진다. 버추얼 유튜버가 사이보그이면서 동시에 목소리를 통해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하는 개체라면, 이에 대한 담론은 좀 더 넓고도 구체적인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으며 특히 포스트휴머니즘과 기술적 존재론 담론을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몸, 퍼포먼스 예술, 장치를 경유하여 그특징을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본고는 우선 버추얼 유튜버의 신체가 현실 공간의육체적 몸과 디지털 공간의 디지털 몸을 매개하며 존재한다는 점에서 이를 사이보그로 진단하고, 종래의 사이보그 담론들과 버추얼 유튜버 담론을 연결할것이다.(II) 이어서 사이보그로 간주되는 버추얼 유튜버의 신체를 통해 논의를포스트휴먼의 장으로 확대하고, 버추얼 유튜버의 신체가 혼합현실적 매개라는 점에서 착안하여 기존의 혼합현실적 포스트휴먼 신체 퍼포먼스 예술들과교차점을 살펴볼 것이다.(III) 그리고 버추얼 유튜버의 신체성 중에서도 목소리가 가진 측면에 주목하여 버추얼 유튜버를 위시한 목소리 담론의 가능성을열어둘 것이다.(IV) 이를 통해 버추얼 유튜버 현상이 동시대 포스트휴먼의 예화임을 논하고자 한다. Virtual Youtubers are cyborgs. This is because Virtual YouTubers exist as a resonance between the virtual body and the real body. Through the entry into the digital age, virtual reality and mixed reality, real bodies and digital avatars, cyber singers, and online communication and content reproduction, which have been actively studied, have been discussed as adjacent fields. The Virtual YouTuber phenomenon as a cyborg can be an interesting topic because it is the point where such studies are concentrated.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y to make a kind of link so that interdisciplinary research on contemporary digital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can be more actively conducted centering on Virtual YouTubers. In particular, this paper will discuss the virtual YouTuber’s mixed reality corporeality and its ‘voice’. The voice is the body. The voice does not occupy a physical space, but it is a body in that it is exercised through the organs of the body that occupies the space and functions as an indicator of the authenticity of the being with the body. Virtual YouTubers are established when virtual and real bodies meet through technological devices and at the same time a sense of place through the medium of voice. If a Virtual YouTuber is a cyborg and an entity that communicates with people through voice, the discourse on this can be expanded to a wider and more specific area, especially through the discourse of posthumanism and technological ontology. This study explores its characteristics through the body, posthuman performance art, and apparatus. For this discussion, this paper first diagnoses a Virtual YouTuber as a cyborg in that it exists by mediating the physical body of the real space and the digital body of the digital space. and connects the cyborg discourses and the Virtual YouTuber discourse.(II) Then, through the body of a virtual YouTuber considered a cyborg, the discussion will be expanded to the field of posthumans, and this paper will examine the intersection with the existing mixed reality posthuman performance arts focusing on the body of a Virtual YouTuber is a medium of mixed reality.(III) Lastly, this paper will pay attention to the aspect of voice among the corporeality of Virtual YouTuber, and open the possibility of voice discourse including Virtual YouTuber.(IV)

      • KCI등재

        백합물의 퀴어-친화적 확장성-주디스 버틀러와 무성애 논의를 중심으로-

        유운기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4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74

        백합물은 일반적으로 여성 간의 사랑을 다루는 로맨스 장르로 이해된다. 이 논문은 여기서 ‘여성’에 트러블을 일으켜보고자 한다. 페미니즘 담론에서오랫동안 ‘여성’은 하나의 단일한 의미가 아니라 여러 의미들이 복합적으로작동하는 용어로 이해되어 왔으며 그중에서도 섹슈얼리티는 생물적 성인 ‘섹스’와 사회구성적 성인 ‘젠더’로 나뉘어 논해져 왔다. 그런데 주디스 버틀러에따르면 ‘섹스’라고 이해되는 것들조차도 대부분 ‘젠더’로 다시 이해되며, ‘여성’이라는 주체는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구성된 것이다. 오히려 섹스가 실재하는 것이라는 이해가 젠더의 결과이며, 이 젠더는 수행적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므로 얼마든지 재구성될 수 있다. 이 논문은 이를 통해 ‘여성(범주) 없는 페미니즘’을 주창했던 주디스 버틀러의 주장을 따라가며, ‘여성(범주) 없는 백합물’이 가능한지 묻는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백합물이 가진 퀴어 친화적 양상이이성애 규범성을 넘어 유성애 규범성까지도 문제 삼을 수 있는지 그 확장성을탐색한다. 이러한 논의를 위하여 본고는 우선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이론을 소개하고 ‘여성’이라는 범주가, 무엇보다 ‘섹슈얼리티’라는 범주가 단일하고 고정된개념이 아니라 수행적으로 형성되는 복합성과 불일치성을 지닌 여러 정체성의 다발임을 밝힌다.(II) 이어서 백합물에서 호명하는-호명되는 ‘여성’이 누구인지를 그 장르적 고고학을 통해 알아보고, 이 궤적 속에서 백합물과 에스물의 관계 그리고 ‘여성을 사랑하는 여성’을 이상화했던 레즈비어니즘과 상관하여 백합물이 갖는 함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III) 덧붙여 어떠한 성-정체성이 고정되지 않는 것이라면 그것이 곧 성-정체성의 퀴어성과 닿아있음을 논의하고, 이를 통해 백합물의 퀴어친화적 확장성을 드러낸다.(IV) 이윽고 앞의 논의를 기반으로 퀴어 친밀성에 대한 논의를 무성애에 대한 논의로 전유하여,무성애의 관점에서 백합물을 분석할 수 있는 이론적 틀을 만든다.(V) 이는 백합물에 대한 탐구임과 동시에 섹슈얼리티에 대한 탐구이기도 하며, 백합물에서 재현되는 ‘여성’을 문제 삼는 것을 넘어서 섹슈얼리티 자체 그리고 ‘사랑’을 문제 삼는 작업으로 이어진다 할 수 있다. The Yuri is generally understood as a romance genre that deals withlove between woman. This paper seeks to cause trouble for ‘woman’here. In feminist discourse, ‘woman’ has long been understood not asa single meaning but as a term with multiple meanings operating in acomplex manner. and among that, sexuality has been divided into ‘sex’,a biological sexuality, and ‘gender’, a socially constructed sexuality. However, according to Judith Butler, even things that are understood as‘sex’ are mostly re-understood as ‘gender’, and the subject called ‘woman’is not real but constructed. Rather, the understanding that sex is real isa result of gender, and since this gender is performatively created, it canbe reconstructed as much as desired. This paper follows the argumentof Judith Butler, who advocated ‘feminism without woman(category),’and asks to possiblity of ‘Yuri without woman(category)’. And, In doingso, it explores the ways in which Yuri’s queer friendly attitude canproblematize sexual normativity beyond hetero-sexual normativity. In order to that, this paper first introduces Judith Butler’s gendertheory and explains that the category of ‘woman’ and, above all, thecategory of ‘sexuality’ are not a single and fixed concept, but rathera bundle of identities with complexities and inconsistencies that areconstructed performatively.(II) Second, through the archaeologyof the Yuri genre, this paper explore who is the “woman” are calledand called by Yuri. And in this context, this paper crit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Yuri and ‘S’, and the meaning of Yuri as itrelates to lesbianism, which idealized “women who love women.”(III)Third, this paper argue that if gender-identity is not fixed, it is incontact with the queerness of gender-identity. And reveals the queerfriendly extensibility of Yuri.(IV) Finally, in the previous discussion,the discussion of queer intimacy is appropriated by the discussion ofasexuality, and make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nalyzing Yuri fromthe perspective of asexuality.(V) This is an exploration of Yuri and atthe same time an exploration of sexuality. And It can also be said that itgoes beyond problematizing the ‘women’ has been represented in Yuriand will continue to work problematizing sexuality itself and the ‘Love’.

      • KCI등재

        테라야마 슈지 영화의 시각적 표현 그리고 허구를 통해 진실에 가닿기 -<전원에 죽다>와 <안녕, 하코부네>를 중심으로

        유운기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4 人文科學 Vol.131 No.-

        이 논문은 일본의 전위예술가 테라야마 슈지의 영화 대표작인 <전원에 죽다>와 <안녕, 하코부네>로 하여금 작품에서 나타나는 전위적 표현 양식이 작품 내에서 어떻게 기능하는지, 그리고 테라야마가 이러한 전위 영화를 통해 던지려고 했던 시대적 담론이 무엇인지를 탐구한다. 테라야마 슈지는 다수의 연구자가 꾸준히 주목할 정도로 매우 전위적이고 흥미로운 작품을 남긴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정작 그의 전위적 표현들이 작품 내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기능하고 있으며 또한 테라야마가 가졌던 개인적이고 시대적인 테제와 어떻게 조응하고 있는지는 파편적으로만 연구되고 있다. 테라야마와 같은 전위예술가의 작품들은 오직 예술을 위한 시도로써 파악되며 시대 및 사회 담론과는 잘 결부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천은 테라야마 개인의 독창성이 일방적으로 돌출해서가 아니라 1950~60년대 세계영화계의 전반적인 누벨바그적 흐름에 의해 만들어진 아트 시어터들, 그 중에서도 일본의 독립예술영화제작사인 ATG와 함께 결부되어 나타난 것들이다. 이에 대해 논하기 위해 본고는 먼저 2장에서는 20세기 중반 일본영화가 고민했던 전전과 전후의 제국 일본과 현대 일본 사이의 가치경쟁을 살펴보고, 테라야마 역시도 그 가운데에 있었음을 논의한다. 이어서 3장에서는 테라야마의 대표작 <전원에 죽다>에서 나타나는 작품 전개와 표현들을 그 인물들을 따라가며 탐색한다. 하여 이 작품에서 테라야마가 과거 세대와 현대 세대 사이의 원한과 응시를 그려내고 있음을 논의한다. 마지막으로 4장에서는 테라야마의 유작 <안녕, 하코부네>에서 나타나는 작품 전개와 표현들을 주요 은유들을 따라가며 탐색한다. 하여 본고는 이 작품에서 테라야마가 저승과 이승 그리고 과거 일본과 현대 일본 간의 공존과 화해의 가능성을 탐색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한다. 그리하여 결론적으로 테라야마의 작품 속 전위적 표현들은 현실과 허구, 전전 일본과 전후 일본, 저승과 이승, 서로 다른 시공간들의 관계를 탐구하며 자기 자신과 시대에 조응해간 것으로 이해된다. This paper examines Japanese avant-garde artist Terayama Shuji's representative films, Pastoral: to Die in the Country and Farewell to the Ark, to see how the avant-garde expression style appears in his works and what the period discourse was that Terayama was trying to challenge with these films. Terayama is known to have produced a very avant-garde and interesting works, that continue to attract the attention of many researchers. However, how his avant-garde expressions work specifically within his works and how they relate to his personal and period themes are generally only fragmentarily understood. The works of artists such as Terayama are viewed only as attempts for art and tend not to be well connected to the period and social discourse. However, Terayama responded to the questions about himself and his period. To argue this, Chapter 2 first examines the pre-war and post-war conflict of values between imperial Japan and modern Japan that concerned Japanese cinema in the mid-twentieth century, and explores relationship between this and Terayama. Chapter 3 then follows the characters and narrative and expressions in Terayama's Pastoral: to Die in the Country. It discusses how Terayama portrays the grudges and gazes between past and present generations in this work. Finally, Chapter 4 explores the narrative and expressions in Terayama's last work, Farewell to the Ark, by following its major metaphors. In doing so, This paper argue that in this work that Terayama is looking for condition of 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 between the dead and the living, and between old Japan and modern Japan. In conclusion, it can be said that the expressions in Terayama's works explored the relationships between reality and fiction, pre-war Japan and post-war Japan, the dead and the living, and different times and spaces.

      • KCI등재

        소녀론을 탈식민적 맥락에서 재생산하기 위한 정초 -근대적 낭만으로서 여학생과 연애를 중심으로-

        유운기(Ryu Un-gi)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1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4

        오늘날 한국 대중문화에서 볼 수 있는 ‘소녀’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일본의 ‘소녀’ 문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파악된다. 짧게는 일본대중문화 개방 이후 한국에 수입된 일본의 서브컬처로부터, 길게는 일본의 소녀잡지와 소녀문화에 영향을 받은 순정만화로부터 형성되었다는 것이 기존의 생각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소녀’ 문화를 ‘일본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마냥 ‘일본적’일 뿐만인 것이 아니라 동시에 ‘한국적’인 것이기도 하다. 그것은 비록 제국 일본을 통해 식민지 조선에 이식되었기는 하지만 동시에 한국의 맥락에서도 형성되어갔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논하기 위하여 본고는 우선 오늘날 ‘소녀’를 전시품으로 관음하는 ‘박람회’와 같은 성격을 ‘소녀박람회’라고 지칭하고, 그 박람회적 성격이 제국의 낭만에서 비롯되었음을, 그리고 그 낭만의 일종으로서 ‘소녀’는 제국 일본이 서구문물을 받아들이고 근대화하는 과정에서 서구의 연애관과 후쿠자와 유키치의 영향을 받아 형성한 근대적 발명품이며, 이후 나츠메 소세키에 의해 형성된 일본근대문학에서의 내면의 발견이 그것을 낭만으로 정착시켰음을 보이려고 하였다. 이러한 낭만은 남성주체의 시선에서 여성을 풍경-낭만화 한 것이며, 일본의 젠더-내셔널 아이덴티티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영향을 받아 제국 일본의 식민지였던 조선에도 근대적 낭만으로서 ‘소녀’가 유입되었다. 1920년대에 식민지 조선에서는 근대화와 도시화의 영향으로 여학생이 증가하고 사회가 자본주의화 함에 따라 여학생에 대한 전시품화 역시 진행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사회상이 마냥 식민지 치하에서 일본으로부터 수동적으로 이식되기만 한 것은 아니다. 식민지 조선에서 여학생이 된다는 것은 근대 교육을 받은 인간이 된다는 것으로써 봉건적 사회로부터의 해방과 제국일본의 식민 치하에서 조선을 해방하는 문제와 연결되는 것이었기 때문이다. ‘소녀박람회’라는 단어가 뜻하는 바, 제국의 낭만이 실현되었던 박람회장의 전시품처럼 낭만-풍경의 대상이 된 소녀들은 대중문화를 통해 근대적 낭만으로 전시되고 있다. 그러나 소녀들이 마냥 전시되기만 하지는 않았던 것처럼, 우리는 ‘소녀’를 탈식민주의의 맥락에서 주체적으로 재생산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는 이를 정초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The ‘girl’ image that can be seen in Korean popular culture today is generally consider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Japanese ‘girl’ culture. In short, it is an existing idea that it was formed from Japanese subcultures imported into Korea after the opening of Japanese popular culture, and in the long run from romance-manhwa influenced by Japanese girls’ magazines and girls’ culture. Through this, we can say that the ‘girl’ culture is ‘Japanese’. However, it is not only ‘Japanese’, but also ‘Korean’. This is because, although transplanted through colonial Joseon, it was formed in the context of Korea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discuss this in more detail, this paper first namings it the ‘Girls exhibition’, which is aspect to the ‘exposition’ in which ‘girls’ are displayed as exhibits. and this paper tried to show that the aspect of the exposition originated in the from the romance of the empire, and as a kind of romance, ‘girl’ is a modern invention formed by the influence of Western love view and Yukichi Fukuzawa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and acceptance of Western culture in Imperial Japan. And, inner discovery in Japanese modern literature formed by Natsume Soseki settled it as a romance. This romance is a landscape-romanticization to women from the male subject’s perspective, and itcan be said that it is closely related to Japan’s gender-national identity. Influenced by this, ‘girl’ was introduced as a modern romantic into Joseon, a colony of Imperial Japan. In colonial Joseon in the 1920s, as the number of female students increased due to the influence of modernization and urbanization, and the society became capitalist, the exhibition of female students also began to proceed. However, this social image was not merely passively transplanted from Japan under colonial rule. This is because becoming a female student in colonial Joseon was related to liberation from feudal society and the liberation of Joseon from the colonial rule of imperial Japan by becoming a modernly educated human being. As the word ‘Girls exhibition’ means, ike the exhibits at the exhibition hall, where the Imperial romance was realized, girls who have become objects of romance-landscape through popular culture. However, just as girls were not just exhibited, we will be able to independently reproduce ‘girls’ in the context of post-colonialism. This paper is an attempt to lay the foundation for thi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