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루스트의 초기 단편에 나타난 죽음

        유예진 ( Yoo Yaejin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21 유럽사회문화 Vol.- No.27

        La mort occupe une place primordiale non seulement dans le roman monumental de Proust,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mais déjà dans ses premiers textes de jeunesse dont la plupart prend la forme de nouvelle. Dans La Mort de Baldassare Silvande, La Fin de la jalousie (deux nouvelles faisant partie des Plaisirs et les jours, premier livre publié de Proust à vingt-cinq ans) et Le Mystérieux correspondant (nouvelle rédigée à la même époque mais non publiée du vivant de l'auteur), la mort est présentée comme une solution forcée à l'amour impossible, soit à cause du caractère homosexuel, soit à cause de la jalousie rongeant le coeur de l'amant. La maladie incurable, l'accident mortel ou le suicide semblent fournir une sortie gratuite pour les amants malheureux. De plus dans ces nouvelles de jeunesse la mort semble offrir une occasion d'orchestrer une mise en scène de sa propre mort pour en faire une oeuvre d'art, quelque chose que le personnage en question n'a pas réussi à accomplir de son vivant. Quelques traits relatifs au thème de la mort se trouvent répercutés dans la Recherche, mais la manière de les présenter se diffère le plus. Il faudra passer par les différentes étapes de la vie et les diverses tentatives de forme d'écriture pour que l'auteur arrive à voir la mort non comme une solution finale aux difficiles périples de la vie, mais comme une étape à franchir parmi d'autres et avant l’arrivée de laquelle l'oeuvre d'art devrait finalement se concrétiser.

      • KCI등재

        프루스트의 잡록

        유예진(Yaejin YOO) 프랑스학회 2021 프랑스학연구 Vol.- No.97

        프루스트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집필에 착수하기 전 다양한 지면에 기사, 비평, 에세이 등을 발표하는데, 이들 중 여섯 편을 모아 1919년 <잡록Mélanges>이라는 제목으로 출간한다. 프루스트는 존 러스킨과 성당, 독서와 존속 살해범에 관한 글들을 엮은 이 책의 출간을 소설의 두 번째 권의 출간과 동시에 감행한다. 내용이나 형식 면에서 너무나 상이한 이 모음집의 등장은 자신의 방대한 소설을 지탱하는 탄탄하고 유기적인 구조를 강조했던 작가의 원칙에 위배되는 듯한 인상을 준다. 본 연구는 그러나 작가가 기꺼이 ‘잡록’이라고 부르는 이 모음집을 그가 소설에서 펼치는 주제와 그것을 가능하게 한 설계를 상징적으로 축약한 장으로 활용했음을 이해하고자 한다. 작가는 이미 발표했던 글들을 수정하고 엮음으로써 조각과 파편들 사이에 연결고리를 형성하고 관계 맺게 하는 고유의 은유의 법칙을 시도한다. 또한 과거 미학적 멘토와 어머니에게 이별을 고함으로써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이 글들은 미래 소설의 씨앗을 품고 있다. En 1919, au moment où Proust publie À l ombre de jeunes filles en fleurs et une nouvelle édition de Du côté de chez Swann chez la Nouvelle Revue française, il entrepend également de rassembler des essais et articles précédemment publiés dans divers journaux et magazines. Il les réimprime sous le curieux titre de Pastiches et Mélanges. À première vue, la décision de publier les Mélanges semble surprenante d autant plus que ce livre ne présente aucun point commun du point de vue de la forme et du contenu avec À la recherche du temps perdu. Sous une apparence trompeuse, les Mélanges peuvent être considérés comme le point culminant de la stratégie de l auteur voulant établir un lien secret unissant les divers éléments thématiques et structurels. Reliant les thèmes aussi divers que la mort des cathédrales, le parricide et la théorie sur la lecture, Proust réussit à merveille à trouver l anneau secret permettant d établir une cohésion convaincante. Proust fait de Mélanges un champ d expériences où il applique sa croyance selon laquelle “on ne peut refaire ce qu on aime qu en le renonçant,” prouvant qu après la dénociation, s ensuivent la découverte de sa propre vérité et la création de son œuvre.

      • KCI등재

        문학평론가에서 소설가로 - 프루스트의 서평, 서문을 중심으로 -

        유예진 ( Yoo Yaejin ) 세계문학비교학회 2021 世界文學比較硏究 Vol.77 No.-

        Marcel Proust practiced literary critique his whole life by publishing numerous articles, pastiches, book reviews and prefaces on diverse journals and magazines. In this study we choose to analyze three texts spreading over a period ranging from his mid-twenties to the year before his own death. If the review on Henri de Regnier’s volume of poetry, Tel qu’en songe shows Proust’s early preference for instinct rather than intelligence, the preface of his unaccomplished literary critique, Contre Sainte-Beuve contains his belief in involuntary memory as the sole and unique substance for his future novel. His preface on Paul Morand’s short stories, Tendre stocks that Proust published when he almost finished the writing of In Search of Lost Time displays clearly the author’s idea on the role that a writer’s style should play by being the proper mark of each original writer. Our effort to discover how the ideals and principles revealed in those texts find implications on fictive characters and situations in In Search of Lost Time will help us understand the process Proust went through in order to transform himself from literary critic to novelist.

      • KCI등재

        미술평론가 프루스트의 의미와 한계 - 전시리뷰, 서평, 서문을 중심으로

        유예진 ( Yoo Yaejin ) 연세대학교 유럽사회문화연구소 2017 유럽사회문화 Vol.0 No.19

        Dans A la recherche du temps perdu, Marcel Proust fait apparaitre une centaine de peintres reels. Si nous regardons de pres tous ces peintres, il est observable qu'il y a de tres nombreux peintres francais exposant dans les Salons officiels, encore de nombreux peintres italiens du Moyen-Age et de la Renaissance, mais presque pas de peintres contemporains de l’auteur, c’est-A-dire des post-impressionnistes et des cubistes. Afin d'essayer de comprendre cette absence des peintres avant-garde dans la Recherche et de proposer une reponse possible A cette incomprehension de l'auteur qu'on n'hesite pas A qualifier de moderne, nous nous appuyons sur les textes que Proust avait rediges comme critique d'art soit avant la redaction du roman (compte rendu A l'Exposition internationale de peinture et Impressions des Salons), soit concurremment avec la redaction du roman (compte rendu A Gainsborough et preface des Propos de peintre). La lecture des deux premiers textes montrent certaines limites de Proust comme critique d'art en ce sens que ses regards sont fixes principalement sur les sujet traites dans les toiles sans pouvoir donner une analyse approfondie des tableaux exposes. Par contre dans les deux derniers textes, Proust apparait plus libre de parler comme romancier et non comme critique d'art. Il prend la liberte d’exposer ses gouts et ses souvenirs dans les textes ou il est suppose de traiter des ouvrages en question. Tout cela nous mene A penser que Proust, s'il n'a pas su apprecier le mouvement avant-garde de son epoque, il s'est servi de ses connaissances sur les peintres favoris afin de developper sa propre theorie d'ecriture dont le resultat est le roman que nous connaissons.

      • KCI등재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속 베니스의 초상: 주네트의 환유 이론을 중심으로

        유예진 ( Yoo Yaejin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8 世界文學比較硏究 Vol.63 No.-

        제라르 주네트는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를 도구 삼아 자신의 서술이론을 발전시켰다. 그러한 분석의 글쓰기 과정에서 주네트는 「프루스트에서의 환유」에서 일반 수사학에서 자리를 차지하는 환유와는 차별되는 프루스트식 고유의 환유를 분석하고 있다. 주네트에 의하면 프루스트에서의 환유는 크게 두 가지로 살펴볼 수 있는데, 그것은 첫째, 프루스트가 소설에서 화자의 목소리를 빌려 공공연히 ‘은유’라고 밝히고 있는 비유는 실제로는 ‘가장되고’, ‘변모하였으며’, ‘미끄러진’ 환유라는 것이다. 그리고 둘째, 은유가 일차적으로 발생하지만 그것을 지속시키고 확장시킴으로써 본질을 되찾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환유라는 주장이다. 즉 주네트는 분명 프루스트 소설에는 은유가 존재하지만 그것이 본래의 의미를 되찾고 원래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가능하게 하는 것은 결국 환유이며, 이때 환유는 두 대상 사이에 공간적 인접성, 혹은/그리고 시간적 동시성이 존재할 때 발생한다고 본다. 우리는 이처럼 주네트가 강조한 프루스트에서의 환유를 『사라진 알베르틴』에 나타나는 베니스 여행 에피소드에 적용해 봄으로써 주네트의 환유 이론을 실제적으로 입증해보고자 한다. 베니스를 구성하는 요소들 중에서 마을의 건축적, 미학적 상징인 산마르코 성당은 그것이 인접한 바다와 소운하들에 의해 물과 불가분의 한 덩어리를 이루는 것으로 표현되며, 주인공이 도시에서 보게 되는 풍경이나 인물은 그것의 실제적 존재감이나 정체성 대신에 베니스의 미술관에서 보았던 그림 속 풍경이나 인물로 대체된다. 또한 베니스의 여인들과의 관계에 주인공은 모두 알베르틴과의 관계가 전이됨을 경험한다. 사망한 알베르틴과 베니스의 여인들은 그 어떤 시간적, 공간적 인접성이나 연속성도 없으나 비의도적 기억에서 은유로 시작된 기적을 환유가 이끌어 나간 것처럼 베니스와 알베르틴, 즉 예술과 사랑의 공존 불가능성에 대한 과거 기억의 강박에 의해 주인공은 오히려 알베르틴이 사라진 현재, 베니스의 여인들과의 관계에서 알베르틴과의 관계를 재현하고 있음을 깨닫는다. 이렇듯 베니스의 초상은 주네트가 「프루스트에서의 환유」에서 밝힌 것처럼 유사성에 기반을 둔 은유가 아닌 수평적 전이에 의한 확장에 의해 발생하는 환유에 의해 제작되었음을 알 수 있고, 우리는 새삼 주네트의 환유 이론이 베니스 에피소드에서 다시 한 번 입증됨을 확인할 수 있다. Gerard Genette takes Marcel Proust's novel, In Search of Lost Time not only as an instrument but also as a foundation on which he built and developed his narrative discourse. In particular, Genette analyzes what he calls the “Proustian Metonymy” to which he attributes a particular meaning, which distinguishes it from the metonymy of general rhetoric. According to Genette, Proustian metonymy has two distinguished characteristics. First, when the narrator says that it is about the metaphor, in reality it is the metonymy that is “slipped”, “metamorphosed” or “masked”. Second, the metaphor can take place at first, but it is the metonymy that maintains it and gives it a new form of life by enriching it. In the case where metonymy takes place, there must be a spatial contiguity or temporal concomitance. In this study, we would like to try if Genette's theory of Proustian metonymy can be applied in the episode of the trip to Venice that takes place in The Fugitive. We will see that the cathedral of St. Mark, by its proximity to the sea and the canals is described as the final route of the water. In addition, the landscapes and some people seen in Venice are described not in their own essence, but through the model elements that appear in the paintings seen in the museums in Venice. What is even more striking is the fact that the narrator transposes his past relationship with Albertine on the one he is trying to establish with the women met in Venice. In doing so, he only prolongs and repeats a relationship that is destined for failure. Thus the portrait of Venice is produced not on the metaphor based on analogy, but on metonymy, which is based on a contagion made possible by a horizontal relation. In trying to apply the Proustian metonymy analyzed by Genette on the episode of Venice, we could again see the validity of Genette's theo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