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색조 화장품 색채 경향과 선호하는 메이크업 이미지에 관한 연구 - 뷰티 메가 인플루언서의 메이크업 콘텐츠를 중심으로 -

        유예린(Yerin Ryu),이윤진(YounJin Lee) 한국색채학회 2020 한국색채학회 학술대회 Vol.2020 No.11

        본 연구는 색조 화장품의 전반적인 색채 경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뷰티 업계에서 트렌드를 주도하는 뷰티 인플루언서 Top 3의 콘텐츠를 중심으로 제품색채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진행 방법은 메가 인플루언서 Top 3 Pony, Risabae, Ssin의 메이크업 콘텐츠에서 사용한 제품 중 Eye Shadow, Blush, Lips 제품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여 CIELAB를 분석 도구로 각각의 인플루언서의 색조 화장품 색채의 경향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인플루언서의 메이크업의 이미지가 소비자들의 관점에서 메이크업 선호 이미지에 관해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영상의 도입부 컷을 이용하여 메이크업 선호 이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고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인플루언서 간 메이크업 이미지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연구로 수집된 색채는 35개 국내 브랜드에서 54색, 15개의 국외 브랜드에서 45색으로 총 99색을 분석하였으며 색채 분석 결과, 화장품 색채 특징은 색상의 범위에서 미묘하게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명도와 채도가 높지 않은 ltgy, sf, dl tone 쪽에 많이 분포되어 있어 skin color에 가까운 자연스러운 shade의 제품이 가장 많이 노출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설문조사 결과 인플루언서 각각의 메이크업 이미지 인식은 확연하게 다르지만, 전체적으로 고유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메이크업 이미지를 선호한다는 결과가 나왔다. 본 연구를 통해 색조 화장품 색채 경향과 선호하는 메이크업 이미지에 대해 명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계기 및 기초자료가 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