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인지기반 작업수행(Cognitive Orientation to daily Occupational Performance; CO-OP) 중재의 연구 동향 분석

        유영미(Yung-Mee Yoo),최유임(Yoo-Im Choi)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2 재활치료과학 Vol.11 No.4

        목적 : 본 연구는 국내 CO-OP 중재 연구를 체계적으로 고찰하여 임상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5년 1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학술연구정보서비스(RISS), 학술교육원(e-article) 데이터베이스에 게재된 문헌 중 선정기준에 적합한 13편의 논문을 최종적으로 선택하여 연구 방법의내용에 따라 일반적 특성과 질적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15년 이후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되었으며 CO-OP 중재 연구의근거 수준은 개별대상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 대상은 아동과 성인 모두에게 적용되고 있었으며, CO-OP 중재의 목표 활동 영역으로 아동은 놀이와 여가, 성인은 수단적 일상생활 영역으로 나타났다. 중재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평가로는 COPM과 PQRS 평가를 많이 사용하였으며 구체화 전략으로는아동은 자세, 집중하기, 과제변형, 언어적 상상을 많이 사용하였고 성인은 자세, 집중하기, 과제변형, 움직임에 대한 느낌, 언어적 상상, 과제 촉진 언어를 주로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국내 CO-OP 중재를 적용한 연구의 특성과 질적 수준을 확인할 수 있었다. CO-OP 중재가 작업치료 분야에서 지속해서 적용되고 있으며, 적용 연령과 진단군이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국내 CO-OP 중재 연구의 체계적 고찰을 통해 임상에서 CO-OP 중재를 실행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provide clinical evidence by systematically reviewing domestic CO-OP intervention studies. Methods : 13 papers suitable for selection criteria were finally selected and conducted. The analysis was divided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qualitative levels. Results :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study, research has been conducted continuously since 2015, and the level of evidence for CO-OP intervention study was mainly single subject desig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applied to both children and adults, and as the target activity areas of CO-OP intervention, children were shown to be play and leisure, and adults were instrumental daily living. COPM/PQRS were frequently used for evaluation to examine effectiveness of interventions. For domain specific strategies, children used body position, attention to doing, task specification, and verbal motor mnemonic. For adults, body position, attention to doing, task specification, and feeling to movement, verbal motor mnemonic, verbal rote script were used. Conclusion : It was found that CO-OP intervention is continuously being applied in occupational therapy, and age and diagnosis group are expanding.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evidence for implementing CO-OP interventions in clinical practice through a systematic review of domestic CO-OP intervention studies.

      • KCI등재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에 대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의 체계적 고찰: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중심으로

        유영미(Yoo, Yung-Mee),최유임(Choi, Yoo-Im)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4

        목적 : 본 연구는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 개선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문헌의 특성을 살펴보고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분석 대상은 2011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게재된 9편의 단일대상연구 논문이었고, 대상 논문을 연구방법의 내용에 따라 일반적 특성과 질적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대상 논문을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은 취학 전 아동과 초등학령기 아동이 동일한 비율로 나타났고, 연구 설계는 중다 기초선 설계 중 행동 간 중다기초선 설계 연구가 가장 많았다. 모든 논문에서 사회적타당도, 중재 충실도, 관찰자 신뢰도를 제시하고 있었고, 문제행동은 자해 및 공격행동, 방해행동, 자리이탈행동, 음식 거부 및 구강자극 행동 순으로 나타났으며, 종속변인은 부분 간격 기록법으로 측정한연구가 가장 많았다. 중재 효과 확인 결과, 중재, 유지는 중재 결과가 효과적이었으나, 일반화의 결과와효과를 제시한 연구는 제한적이었다. 분석 논문의 질적 수준은 모든 연구에서 높은 질적 수준을 보이고있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을 위한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 연구 중 단일대상연구 설계를 적용한 논문의 내용과 질적 수준을 확인하고 긍정적 행동지원 중재가 자폐스펙트럼장애아동의 근거기반 중재를 위한 효과적인 중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Objective :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ture involving a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among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studies to improve problem behavior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and assess the quality level. Methods : This is a literature study, and the targets of analysis were nine single-subject research papers published between 2011 and 2020. The subject paper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m into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qualitative level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the research method. Results : Analysis of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ubjects were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age children at the same ratio. Furthermore, the study design involved mostly the middle and multiple baseline designs among the behaviors. All papers presented social validity, intervention fidelity, and observer reliability. Problem behaviors included self-injury and aggression behaviors, disturbing behaviors, and seat break-away behaviors, while the most dependent variables were measured through partial interval recording.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intervention effect, the effect was confirmed in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All analysis studies showed high-quality levels.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e content and qualitative level of the thesis that applied the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among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studies for problem behavior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Positive behavior support intervention, an evidence-based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was confirmed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autism spectrum dis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