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생산라인 자동화를 위한 로봇 시스템 개발

        민병로 ( Byeong-ro Mim ),김덕기 ( Duck-ki Kim ),전유태 ( Yoo-hea Jun ),정준희 ( Jun-hee Jung ),이환 ( Hwen Lee ),유수호 ( Su-ho Yoo ),차산이 ( San-lee Cha ),이대원 ( Dae-weon Lee ),오세부 ( Se-bu Oh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본 논문은 생산라인 자동화를 위한 로봇으로 제조업 시장 확대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는 가격 경쟁력 및 인력난 해소를 위해 설계하였으며 다양한 소재에 대응하기 위해 그리퍼를 교체하여 적용이 되도록 하였다. 자동화를 위한 로봇은 소재의 내외경 가공 및 검사까지 모든 공정이 일괄적으로 이루어 져야하며 LCD 모니터에 생산수량 및 불량률 등의 정보를 실시간으로 나타내어 효율적인 생산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생산라인 자동화를 위해 로봇의 설계는 Auto CAD를 이용하였다. 부품의 가공은 CNC에 적용하기 위해 자동공급장치를 설계하였다. 가공이 완료된 후 측정한 값을 LCD모니터를 통하여 작업자가 알아볼 수 있게 나타냈다. 외경 1은 40.405, 외경2는 32.201, 내경 1은 23.346, 내경 2는 34.302로 나타났다. 측정결과 불량 측정을 위해 측정부의 결과 값이 나타나며 불량이 발생하면 그래프를 이용하여 어떤 부위에서 발생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결과 값은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였다. 생산라인 자동화를 위해 100EA를 측정한 결과 외경 1은 40.40438, 외경2는 32.20164, 내경 1은23.34830 내경 2는 34.30033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측정값의 검증은 하이트게이지로 측정한 결과 0.003 이내의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로봇 자동화시스템을 적용한다면 생산성 향상 및 불량률 감소가 가능하여 인력대체 및 가격경쟁력이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 품질확보를 위한 평면도 측정기 개발

        민병로 ( Byeong-ro Mim ),김덕기 ( Duck-ki Kim ),전유태 ( Yoo-hea Jun ),정준희 ( Jun-hee Jung ),이환 ( Hwen Lee ),유수호 ( Su-ho Yoo ),차산이 ( San-lee Cha ),이대원 ( Dae-weon Lee ),오세부 ( Se-bu Oh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본 연구는 인력을 이용한 품질검사를 수행하고 있는 현장에서 불량 및 품질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는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자동으로 평면도를 측정하고자 하였다. 설계는 Auto CAD를 이용하였다. 평면도 측정기의 크기는 가로×세로×높이를 1000×600×1800mm로 하였다. 프레임은 60×60 프로파일을 이용하였고 다른 구성 부품은 SUS304 재질을 이용하였다. 측정대상을 올려놓은 상태에서 녹색 버튼을 누루면 작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림 8은 측정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측정기는 국내업체인 데바의 모델명 EA-20N의 Air Micrometer을 사용하였으며 측정핀의 위치는 조정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평면도 측정 중 설정치수와 같이 않으면 NG 명령과 함께 부저가 울리도록 프로그램하였다. 불량이 발생하면 그림 8과 같이 나타났다. 불량 측정을 위해 측정부의 결과 값이 나타나며 불량이 발생하면 어느 위치에서 불량이 발생했는지를 알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결과 값은 자동으로 저장되도록 하였다. 품질확보를 위해 100EA를 측정한 결과 0.00258, 0.00259, 0.00259, 0.00263, 0.00251, 0.00286, 0.00275의 평균값을 나타냈다. 측정값의 검증은 하이트게이지로 측정한 결과 0.002 이내의 결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평면도 측정기를 이용한다면 생산성 향상이 가능하여 가격경쟁력이 있다고 판단된다.

      • 조립라인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볼트 수량 검출기 개발

        민병로 ( Byeong-ro Mim ),김덕기 ( Duck-ki Kim ),전유태 ( Yoo-hea Jun ),정준희 ( Jun-hee Jung ),이환 ( Hwen Lee ),유수호 ( Su-ho Yoo ),차산이 ( San-lee Cha ),이대원 ( Dae-weon Lee ),오세부 ( Se-bu Oh ) 한국농업기계학회 2017 한국농업기계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2 No.1

        조립라인에서 볼트의 수량을 정확하게 검출하는 장치는 작업속도의 향상 및 불량발생을 줄이기 위해 필요한 것이다. 현재 조립에 필요한 수량을 작업자의 시각에 의해 파악하고 있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증가되고 있으며 특히 조립 과정 중 작업자의 실수로 볼트가 제품의 내부에 침투하여 제품의 소음, 성능저하 및 수명단축을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작업자의 편의성 및 조립속도 향상을 위해 볼트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수량을 검출하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볼트의 특성에 따라 볼트 선별부의 치수를 수정하면 되도록 하였다. 조립라인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설계는 Auto CAD를 이용하였다. 조립라인의 공간 효율 증가를 위하여 볼트 수량 검출기의 가로×세로의 크기를 최소로 하여 220×360×1170mm로 설계하였다. 받침대는 60×60 프로파일을 이용하였고 다른 구성 부품은 SUS304 재질을 가공하여 조립하였다. 실험은 실험구 마다 100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나타냈으며, 소수점은 시스템에 영향이 없기 때문에 절사하였다. Test 19-27 구간이 배출부가 가장 적게 구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렬부의 각도가 10, 15°의 경우는 볼트와 배출부의 마찰력이 증가하여 구동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25°이상의 각도에서는 볼트가 배출부에 안착하기 전에 하강하기 때문에 반복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최적의 정렬부 각도는 20°로 나타났다. 볼트의 지름이 3, 5, 7Φ 일 때 정렬부의 각도에 따른 정렬부의 반복횟수에 대한 결과 값을 한 결과 20°에서 정렬부의 구동횟수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렬부의 각도가 큰 경우 구동에 의한 볼트와의 운동에너지의 증가로 반복횟수가 증가한 것으로 판단된다.

      • Sol-Gel법에 의한 SrBi_2Ta_2O_9 강유전체 박막의 특성

        장호정,임장규,유수호 단국대학교 신소재기술연구소 2000 신소재 Vol.9 No.-

        Pt/Ti/SiO_2/Si 기판구조위에 sol-gel법에 의해 as-coated SrBi_2Ta_2O9(SBT) 박막을 형성하였고, 650℃ 후속 열처리 온도에서 결정화한 후 결정학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650℃에서 후속 열처리된 SBT 박막시료의 경우 전형적인 perovskite결정구조를 보여주었다. SEM 표면과 단면형상을 관찰하여, 650℃ 후속 열처리한 박막의 두께는 약 7000Å를 나타냈으며 Pt전극과 SBT박막 사이에는 비교적 평활한 계면형상을 보여주었다. 1kHz주파수 인가시, 650℃에서 후속 열처리된 SBT 박막시료의 유전상수는 250의 값을 나타내었으며 잔류분극(2Pr=pr^+ + Pr^-) 값은 약 3.5uC/cm^2를 나타내었다. The as-coated SrBi_2Ta_2O_9(SBT) thin films were prepared on Pt/Ti/SiO_2/Si substrates by the solgel method. The post-annealing was carried out at 650℃ for the crystallization. The crystal structures and electrical characterizations were investigated. The SBT thin films post-annealed at 650℃ appeared the typical perovskite crystal structures. The SEM sectional and surfacial micrographies were observed. The thickness of SBT thin films post-annealed at 650℃ was about 7000Å. Sectional surface between Pt electrode and SBT film showed relative smoothness. The SBT thin films post-annealed at 650℃ indicated about 250 for the dielectric constant and 305 uC/cm^2 for the remanent polarization (2Pr=Pr^+ + Pr^-) at the frequency of 1kHz. The leakage currents were about 0.5~1.2uA/cm^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