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이 뇌손상환자의 인지, 시지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

        박소원 ( So Won Park ),박인혜 ( In Hye Bak ),유수전 ( Su Jeun You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 2013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Vol.7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뇌손상환자에게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을 적용한 후 인지, 시지각, 일상생활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30명의 뇌손상 환자를 대상으로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과 전통적 인지 작업치료를 8주간 실시하고 변화를 비교하였다. 치료 중재 후 인지 변화량은 MMSE-K와 LOTCA로 측정하였고, 시지각은 MVPT, 일상생활활동은 FIM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을 실시한 그룹(실험군)은 전통적 인지 작업치료 중재 그룹(대조군)보다 인지(MMSE-K, LOTCA)에서 유의미한 개선을 보였으며, 시지각(MVPT)과 ADL(FIM)의 점수에서도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에서 좀 더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 그룹은 시각구별, 시각 폐쇄, 공간관계에서 긍정적인 향상을 나타내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인지, 시지각, 일상생활활동의 향상을 위한 치료방법으로 한국형 전산화 인지재활 프로그램(CoTras)이 작업치료 임상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것이며 앞으로 좀 더 다양한 환자에게 다양한 프로그램이 적용될 것이 필요하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a Korean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program(called CoTras) for recovering the cognitive and visual perception and ADL ability in acquired brain injury. Method : 30 Acquired Brain Injury were randomly assigned to CoTras program (intervention group) or general rehabilitation therapy program(control group). Parameter for cognition, visual perception and ADL were measured before and 8 week after intervention and the change were compared between the group. MMSE-K, LOTCA were used to measure cognition, MVPT for visual perception, and FIM for ADL. Result : CoTras Group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 Group Cognition(MMSE-K, LOTCA), Visual perception and ADL scores after CoTras interventions were higher than it`s interventions. Specially, CoTras Group showed positive effects on visual discrimination, visual closure and spatial relation. Conclusion :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effect on various group and lots of participa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