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미국, 싱가포르 초등 수학 교과서의 시각적 모델 비교 분석 - 곱셈과 나눗셈을 중심으로 -

        유세희,장혜원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21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25 No.3

        사칙연산 중 곱셈·나눗셈은 덧셈·뺄셈에 비해 더 추상적인 사고를 요구한다. 따 라서 아직 추상적·형식적 사고가 충분히 발달하지 않은 많은 초등학생이 곱셈과 나눗셈 학습에 어려움을 느낀다. 직관적 표현에 익숙한 초등학생의 특성을 고려할 때, 곱셈과 나눗셈 지도 시 시각적 모델의 활용은 필수적이다. 따라서 수학 교과서 에서도 교수·학습에 적합한 시각적 모델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미국, 싱가포르 초등 수학 교과서의 곱셈과 나눗셈 단원에서 제시 되는 시각적 모델을 유형과 기능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각 교과서의 특성을 시각적 모델 측면에서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교과서 집필 시 시각적 모델의 제시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Among arithmetic operations, multiplication and division require more abstract thinking than addition and subtraction. However, many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not yet familiar with abstract and formal thinking find it difficult to learn multiplication and divis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accustomed to intuitive concepts and representations, it is essential to use visual models when teaching multiplication and division. Al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effectively visual models suitable for teaching and learning even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analyzed and compared the visual models presented in the multiplication and division units of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in Korea, the United States, and Singapore in terms of their types as well as fun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we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using visual models when planning and developing th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KCI등재

        다음색 감정 음성합성 응용을 위한 감정 SSML 처리기

        유세희,조희,이주현,홍기형,Ryu, Se-Hui,Cho, Hee,Lee, Ju-Hyun,Hong, Ki-Hyung 한국음향학회 2021 韓國音響學會誌 Vol.40 No.5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developed an Emotional Speech Synthesis Markup Language (SSML) processor. Multi-speaker emotional speech synthesis technology that can express multiple voice colors and emotional expressions have been developed, and we designed Emotional SSML by extending SSML for multiple voice colors and emotional expressions. The Emotional SSML processor has a graphic user interface and consists of following four components. First, a multi-speaker emotional text editor that can easily mark specific voice colors and emotions on desired positions. Second, an Emotional SSML document generator that creates an Emotional SSML document automatically from the result of the multi-speaker emotional text editor. Third, an Emotional SSML parser that parses the Emotional SSML document. Last, a sequencer to control a multi-speaker and emotional Text-to-Speech (TTS) engine based on the result of the Emotional SSML parser. Based on SSML which is a programming language and platform independent open standard, the Emotional SSML processor can easily integrate with various speech synthesis engines and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multi-speaker emotional text-to-speech applications.

      • 中共의 制度改革이 韓半島政策에 미치는 영향

        柳世熙 仁川大學校 平和統一硏究所 1985 統一問題와 國際關係 Vol.1 No.-

        중공은 북한에 대해 자신의 실용주의 모델을 종용하고 입으로나마 북한의 연방제를 지지하면서 한반도 통일에 대한 실제적인 역할은 미국 및 일본과 북한을 연결해 주는 매개자역에 당분간 머무를 것으로 전망된다

      • KCI등재

        의사결정트리를 이용한 성인의 미충족 치과의료 영향 요인과 이유 분석

        유세희,박일수,김유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the unmet dental care of adults using decision trees and to classify them according to the risk group of unmet dental care and the group of reasons for unmet dental care. The data are 15,918 adults aged 19 and over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uring the 6th period (2013 - 2015). The variables used in the study wer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mental health characteristics, oral health characteristics. Data were analyzed by composite sample, decision tree,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Dental complaints such as mastication discomfort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ffecting unmet dental care, followed by household income level, stress, age, economic activity status. 67.8% of those who have a complaint of mastication discomfort, low income and medical aid-insured group 65 years old or older experienced unmet dental care. This is over two times compared with overall unmet dental care experience 31.3%. In addition, the reason for the unmet dental care w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the access model to health ca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recognition of dental needs (12.5%), dental care pursuit (21.8%), dental reach (27.0%), and use of dental care (36.9%). This study analyzed systematically the factors and reasons of unmet dental care using a health care access model and decision tree analysis. In order to improve accessibility of dental care, interventions such as health education and social support are needed for each type of unmet dental health risk group, especially classified according to early stages of access to health care such as first stage of perception of needs and desire for care and second stage of health care seeking. 본 연구는 의사결정트리를 이용하여 성인의 미충족 치과의료 경험의 영향 요인을 파악하고, 미충족 치과의료 경험 가능성이 높은 위험집단 및 치과의료 미충족 이유에 따른 집단을 분류하여 그 특성을 분석하였다. 자료는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만 19세 이상 성인 15,918명이며, 연구에 이용된 변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적 특성, 정신인지적 특성, 건강관련 특성, 구강건강 특성 등이다. 자료는 복합표본분석, 의사결정트리, 로지스틱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미충족 치과의료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저작불편호소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었으며 다음으로 가구소득수준, 스트레스, 연령, 경제활동 상태, 고할압 의사진단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저작불편을 호소하고 가구소득 수준이 낮은 65세 이상의 보험급여 가입자 그룹의 미충족 치과의료 경험이 67.8%로 전체 미충족 치과의료 경험률 31.3% 대비 두 배 이상 높았다. 또한 미충족 치과의료의 이유를 의료접근성 모형의 단계에 따라 위험집단의 특성을 파악해 본 결과, 의료필요의 인지(12.5%), 의료추구(21.8%), 의료도달(27.0%), 의료이용(36.9%)의 단계에 이를수록 미충족 치과의료의 이유에 대한 분율이 높았다. 본 연구는 미충족 치과의료의 영향요인과 이유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의료접근성 모형 및 의사결정트리를 이용하여 위험집단을 분류하고 이들의 특성을 파악하였다. 치과의료 접근성 향상을 위해서는 미충족 치과의료 위험집단의 특성별로 의료인지, 의료추구 단계에서부터 보건교육, 사회적 지지 등의 개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