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탄소저감 계획지원시스템을 활용한 도시정책 사례연구: 미국 California Texas를 대상으로

        유선철,왕광익,이건원,김세용,권용우 국토지리학회 2012 국토지리학회지 Vol.46 No.4

        This study focused on the review of low carbon planning support system(LCPS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urban policies in Korea. We established the concept of LCPSS and review the structure of relevant models and practices in California and Texas. The implications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models for applications;, ② they should be tested for their effectiveness of urban/environmental polices and ③ relations and structure of the variables should be scrutinized. In future, Korea will be include obligated in world-wide greenhouse gas reduction policies. Respond to these conditions, the government should support and motivate development of LCPSSs and their utilization in planning. 본 연구는 도시정책에 적용할 수 있는 저탄소 계획 지원시스템의 사례 검토에 관한 연구이다. 기존 문헌을 통해 계획지원시스템의 개념을 정립하고, 모형의 상관 구조와 California와 Texas에서 활용된 사례를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각기 다른 도시 상황의 도시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모형의 개발이 필요하다. ② 도시/환경 정책적 효과가 검증되어야 한다. ③ 변수들 간의 관계와 구조를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 앞으로 우리나라는 온실가스 의무 감축에 대한 정책적 책임을 지게 될 것이며, 특히 도시부문에서의 감축 요구가 증가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여, 정부의 LCPSS의 개발과 활용 계획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LULUCF 부문 통계 구축방안에 관한 연구

        유선철,안종욱,옥진아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3 No.3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ion the plan of the statistic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 of international standards. Currently, the statistics of the greenhouse gas inventories of South Korea, has a problem that is not able to build the changed information. In previous studies, it has been limi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information within each categor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argeting Gyeonggi province, we analyzed the land use change by utilizing th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satellite images, KLIS, UPIS. As a result, we suggested the following implementation, classification system of LULUCF category, improvement of accuracy by utilizing satellite images of high resolution, additional research for methodology. Based on these contents, we suggested the construction plan of the statistics for national greenhouse gas inventories(LULUCF sector). Fri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of land use change informations for the past 20 years, Then, it need to create the matrix of land use change by utilizing satellite images and various land information systems. 본 연구는 IPCC의 2003 우수실행지침에 따른 국제기준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LULUCF 부문의 통계 구축방안 제시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우리나라의 온실가스 인벤토리 LULUCF 부문 통계는 현재 전용된 정보를 구축하지 못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선행연구들도 각 카테고리 내에서의 정보구축에 한정하고 있었다. 이에 경기도를 사례로 위성영상, KLIS, UPIS 등의 각종 정보를 활용하여 LULUCF 부문의 변화정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LULUCF 항목별 분류체계 마련, 위성영상을 활용한 통계 정확도 향상, 구축방법에 대한 추가적 연구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사례분석을 통해 향후 국가 온실가스 인벤토리 LULUCF 부문의 체계적 통계구축을 위해 과거 20년간의 전용정보의 체계적 구축, 위성영상과 각종 토지정보체계를 활용한 토지이용 변화 매트릭스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참조로 온실가스 통계 구축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개발 및 활성화지역 선정 연구

        유선철,여관현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 도시 행정 학보 Vol.28 No.4

        본 연구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를 설정하고, 이 지표를 서울지역에 적용하여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도시재생 지표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한 요소들이 반영되어 적용될 수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를 제시하였다. 또한, 도출된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재생지표를 서울특별시에 적용하여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을 선정하였다. 기후변화를 고려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의 선정은 서울특별시를 대상으로 기후변화 대응 도시재생 지표를 활용하여 공간데이터 자료를 구축하고 이를 분석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지표를 적용하여 도출된 도시재생 활성화 지역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 취약지역은 영등포구, 양천구, 광진구, 성동구, 용산구, 서초구, 강북구, 동대문구, 마포구, 송파구로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 취약지역을 전력 사용량을 상・하위로 구분하면, 상위 행정동은 여의도동, 역삼1동, 방배2동, 하위 행정동은 월곡3동, 잠실2동, 강일동 등으로 나타났다. 단위면적당 전력 사용량을 상・하위로 구분하면, 상위는 구의1동, 명동, 소공동, 하위는 진관내동, 진관외동, 강일동 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기후변화에 대응한 도시재생 활성화지역은 강북구, 영등포구, 성동구, 동대문구 등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저탄소 녹색국토 조성을 위한 도시정책 사례연구 - 일본과 영국을 사례로 -

        유선철,권용우,왕광익 국토지리학회 2009 국토지리학회지 Vol.43 No.3

        This study focus on the review of response to climate change policy and system in Japan, United Kingdom to suggest the implication of policy for Korea. The results w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① the necessity of comprehensive national policy and guidelines tackling climate change, ② policies of the reality and the need for local governments through the organization for the financial and business regulations, ③ basic research on appropriate urban planning and design is needed in terms of urban planning In addition, the introduction of renewable energy must be prepared for the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respond to climate change, the details of the technical elements, excavation is required. 본 연구는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새로운 국가발전 패러다임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의 비전에 맞추어 도시계획측면에서의 대응방안 마련을 위해 일본, 영국을 중심으로 기후변화 대응 정책 및 제도를 검토하여 우리나라에 적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해외 사례 검토결과 우리나라의 정책 및 제도측면에서 국가차원의 종합정책 마련 및 관련지침의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정확보를 위한 기구마련을 통한 정책사업의 실현화, 지자체 상황에 맞는 조례와 정책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계획 및 관련기술 측면에서는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도시계획·설계기법에 대한 기초연구가 필요하며, 신·재생에너지의 적극 도입을 위한 통합정책 마련을 통한 제도적 기반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기후변화 대응 도시계획 정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향후 세부적인 기술적 요소들을 발굴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공간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건물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공간 분석 연구

        유선철,신동빈,안종욱 대한공간정보학회 2019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7 No.4

        This study aim to present a spatial analaysis of greenhouse gas(GHG) emissions in building sector using spatial big data in case of Seoul. We constructed fusion spatial big data by converging publicly notified individual land price data containg spatial properties with energy usage data by building, and thus calculated GHG emissions by plot. Using this data, spatial statistics analysis of Global Moran's I, Local Moran's I, and Getis-Ord for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esult, both of them showed very strong clustered form in 2015 and 2017, and lots with high greenhouse gas emissions were clustered in each district of Seoul, and this tendency was analyzed to be highly occurred in 2017. According to the hotspot analysis, the number of hotspot in emissions increased form seven in 2015 to eleven in 2017. Based on these results, it will be possible to conduct micro-analysis of GHG emission sources and to find out the fundamental cause of emission and effective policy formulation and monitoring will be possible.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various sources and factors fo GHG emission.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건물부문의 에너지 사용량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공간속성을 갖고 있는 개별공시지가 데이터와 건물별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를 활용하여 융합 공간 빅데이터를 구축하고 이에 따른 개별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였다. 그리고 이 데이터의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을 위해 Global Moran’s I와 Local Moran’s I, Getis-Ord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2015년과 2017년 모두 매우 강한 군집(clustered)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시의 각 구별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높은 필지들이 군집되어 있었으며, 그 경향이 2017년도에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핫스팟 분석결과 2015년 7개에서 2017년 11개로 배출량의 핫스팟 지역이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온실가스 배출원에 대한 미시적 분석을 통해 그 원인을 규명과 이에 따른 효과적인 정책마련과 모니터링의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다양한 배출원 및 요인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토지이용-교통 통합모형 구축 및 계획 간 정합성 평가에 관한 연구

        유선철,조규영,왕광익 국토연구원 2011 국토연구 Vol.69 No.-

        This study aims to suggest better ways to apply land use-transportation integrated model to identify and address the issues and problems that have emerged and been pended in the urban planning world. We were to construct a new model using G-LUM, a spatial interaction model developed and widely used recent days, and variables that complements the spatial interaction mode. Then we created index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described model evaluation to evaluate the consistency among the established urban plans.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s, the adopted population by Metropolitan City-Region Planning has the highest level of consistency. The integrated mode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is able to be utilized as a tool to evaluate the planning consistency in urban planning processes, a means to support planning decision making processes and even a methodology to handle the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carbon emission. This study suggested an integrated model by connecting diverse variables and applied the model to an urban area. It is meaningful as this study suggested ways to diagnose the consistency among plans based on the cases and ways to apply the model to real-world urban planning processes.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도시계획 과정에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는 점에 근거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토지이용-교통 통합모형을 구축하고, 계획과정에서의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이를 위해 공간상호작용모형인 G-LUM을 기반으로 인구, 고용, 토지이용, 교통, CO2, 공간변수를 연결한 형태로 모형을 구축하고, 모형을 적용하기 위해 필요한 자료를 고용 및 가구, 토지이용, 교통, 공간으로 구분하여 구축했다. 다음으로 상하위계획 간의 정합성 확보를 위해 이전 단계에서 모형을 통해 추정된 자료를 활용하여 상위계획인 수도권 광역도시계획과의 정합성 확보를 위한 지표를 설정하고, 대안별로 이를 구분하여 정합성을 검증했다. 그 결과 광역도시계획의 추정인구를 모형에 적용한 경우가 정합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모형은 계획과정에서 객관적 방법론으로서 계획체계에서 활용, 계획체계를 지원하는 도구, 환경부문에서 CO2 배출량 등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방법론 등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상하위계획 간의 정합성 확보를 위한 합의와 수단으로서 계획체계에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통합모형이 가지고 있는 한계는 분명히 있으며,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그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향후 다양한 변수들의 연결, 관련 자료의 구축 및 적용, 정합성을 위한 평가지표 개발 및 적용 등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도시통합모형을 활용한 도시계획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를 대상으로

        유선철,왕광익,민경주,노경식,김세용 국토지리학회 2013 국토지리학회지 Vol.47 No.2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direction to apply integrated urban model to estimate the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in urban planning. For this reason, we estimated the indicator of urban planning through the integrated urban model in case the Seoul city. Then we estimated the emissions of greenhouse gas by transportation, household, commercial and industrial sector using scenario. The results analyzed by Scenario2(used target population suggested in the existing Metropolitan City-Region Planning) was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land use changes is the largest cause for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It is meaningful to apply the integrated urban model for estimating the emissions of greenhouse gases as this study suggested and required more research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시통합모형을 이용하여 에너지부문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고, 도시계획 측면에서 활용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를 대상으로 도시통합모형을 통해 미래 도시지표를 추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송, 가정, 상업, 산업부문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책 시나리오별로 산정하였다. 그 결과 광역도시계획의 인구를 적용한 시나리오의 온실가스 감축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은 인구 수 보다는 토지용도의 변화가 주원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도시계획부문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의 감축을 위한 정책지원을 위해 향후 도시통합모형을 활용하여 감축효과를 추정할 수 있는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