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공유가치창출(CSV) 활동의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접근에 대한 연구: 수행 사례에서 나타난 사회적 이슈, 수혜자, 협력자에 대한분석을 중심으로

        유선욱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社會科學硏究 Vol.32 No.2

        This study explores how an organization’s CSV activities are conducted in termsof social issues, beneficiaries, and collaborators. The study analyzed the socialproblems that organizations hoped to address through CSV, the values they soughtto create, who the beneficiaries of CSV were, and whether they carried out withcollaborators. Additionally, this analysis was able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CSV activities performed by public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engaged inbusiness activities in Korea. Based on this, the study presents a specific directionfor the effective performance of CSV.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SV activitiesconducted by a CSV Porter Award-winning organization from 2014 to 2017, theissues of greatest interest for award-winning companies included “Decent Workand Economic Growth”, “Industry, Innovation, Infrastructure’, ‘Quality Education’,‘Health and Well-being’, ‘Partnership for the Goals”, and “Sustainable Cities andcommunities” (from the United Nations’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most heavily weighted beneficiaries of CSV activities were underprivilegedpopulations, followed by local residents. Less than half of the analyzed casesfeatured collaborators working together to carry out CSV activities. Based on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organizations’ future CSV activitiesshould address a range of issues related to the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presented by the United Nations, as well as current social issues. Moreover,the study recommends an expansion of the scope of beneficiaries applicable toCSV goals and issues. Organizations must also work with stakeholders toimplement effective CSVs.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at we should take amore antecedent approach to potential issues both in our local societies and in theinternational community. This will enable us to build a business model fororganizations, creating economic value while establishing new values for society. 본 연구는 조직의 공유가치창출 활동이 어떻게 수행되는지를 사회적 이슈, 수혜 대상, 협력자의 측면에서 탐구하였다. CSV를 통해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적 문제와 창출하고자 하는 가치가 무엇인지, 수혜자는 누구인지, 협력자와 함께 행하였는지에 대한분석을 통해 우리나라에서 기업 활동을 하는 조직 및 공공기관이 수행한 CSV 활동의특징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CSV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2014년부터 2017년까지 CSV 포터상을 수상한 조직들이 수행한 CSV 활동을 대상으로분석한 결과, 수상 기업들이 가장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이슈는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양질의 일자리와 경제성장’이었으며, ‘혁신과 인프라 구축’, ‘양질의 교육’, ‘건강과 복지’, ‘목표달성을 위한 파트너십’, ‘지속가능한 도시 및 거주지 조성’이었다. 가장많은 비중을 차지한 CSV 활동의 수혜자는 소외계층이었으며, 그 다음은 지역주민이었다. CSV 활동을 함에 있어 협력자가 함께 수행한 경우는 절반에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향후 조직의 CSV 활동이 UN이 제시한 지속가능발전목표 및 한국 사회의 제반 문제와 관련된 보다 다양한 이슈를 다루어야 하며, CSV의 목적과 이슈에 적합한 수혜자를 선정하고, 이해관계자와의 협력을 통해 효과적인 CSV를 수행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우리 사회와 국제 사회의 잠재적 이슈에 보다 선행적인 접근을 하여 조직의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동시에 사회의 가치를 창출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사내 커뮤니케이션 기풍적 요인과 조직 구성원간 신뢰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유선욱,신호창 한국언론학회 2011 한국언론학보 Vol.55 No.3

        <P>본 연구는 조직 구성원간의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기풍적 요인들과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구조적인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사내 커뮤니케이션 기풍의 세가지 요인 ―상하간 개방적 커뮤니케이션, 기능간 협력적 커뮤니케이션, 정보의 적절성 ― 이 커뮤니케이션 만족과 구성원간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관계에 있어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잠재요인들간에 설정된 관계의 타당성을 말해주는 구조 모델은 절대적합지수(RMSEA, GFI)와 증분적 합지수(NFI, TLI, CFI)가 기준치를 만족시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첫째,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세가지 기풍적 요인은 모두 커뮤니케이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즉, 구성원이 상하간 개방적 커뮤니케이션과 기능간 협력적 커뮤니케이션이 잘 이루어진다고 인식할수록, 공유되는 정보가 충분하고 시기적절하다고 인식할수록 커뮤니케이션 만족도가 높아졌다. 특히 상하간 개방적 커뮤니케이션의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둘째, 상하간 개방적 커뮤니케이션과 정보의 적절성에 대한 인식은 구성원간 신뢰에 유의미한 직접적 영향을 미치나 기능간 협력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은 구성원간 신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상하간 개방적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인식이 구성원간 신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셋째, 커뮤니케이션 만족의 매개적 역할은 세 가지 기풍적 요인에서 모두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기능간 협력적 커뮤니케이션은 신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통해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쳐 커뮤니케이션 만족이 완전 매개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조직에서 신뢰와 관련하여 사내 커뮤니케이션의 기풍적 요인에 대한 고려와 전반적인 커뮤니케이션 만족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이유에 대해 논의하고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P>

      • KCI등재

        비만상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 건강소통의지, 비만위험지식을 중심으로-

        유선욱,김수진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3

        This study explored the mean differnces in obesity risk knowledge (ORK) level and willingness to communicate about health (WTCH) between obese and non-obese people. Specifically,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ORK, WTCH, and the intention to seek counseling from doctors. The results reveal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TC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ORK. For obese people’s intention to seek counseling from doctors, it was found that disease status, the WTCH and ORK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unseling intention for dietary treatment. The result showed that being of age in their 20s and 30s, disease status, WTCH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n their counseling intention for excercise treatment. Regarding the counseling intention for behavioral treatment, only disease status and WTCH were analyzed as significant predictors. This study suggests to enhance the level of WTCH and ORK in order to increase obese people’s counseling intention. 본 연구는 비만인과 비비만인의 비만위험지식과 건강소통의지의 차이와 비만인의 질병보유, 건강소통의지, 비만위험지식이 식사, 운동, 행동 치료 상담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였다. 연구 결과, 비만인과 비비만인의 건강소통의지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비만위험지식 수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비만인의 비만치료 상담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한 결과, 식사치료 상담의도에는 질병보유, 건강소통의지와 비만위험지식 수준이 유의미한 영향이, 운동치료 상담의도에는 20-30대의 연령, 질병보유, 건강소통의지의 유의미한 영향력이 나타났다. 행동치료에 상담의도에 대해서는 질병보유, 건강소통의지만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비만인들의 치료 상담을 이끄려면 건강소통의지와 위험지식수준을 제고하는 교육 및 캠페인이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관광 커뮤니케이션 연구- 광주ㆍ전남지역 관광인식과 관광산업 활성화 방안을 중심으로 -

        유선욱,류시영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9 지역산업연구 Vol.42 No.2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utilizing social media networking big data, to identifytourists' perception and key tourism images and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for improvingtourism industry by examining and detecting the underlying tourism contents of Gwangju andJeollanam-do areas. Communications on social media, including posts and mentions frommajor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 and bulletin posts from major communities in Korea.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number of content posts about tourism in Gwangju andJeollanam-do peaked during the summer vacation season. In fact, the number of mentionsabout Yeosu increased especially in fall and winter, while the numbers of mentions aboutSuncheon and Damyang increased during the spring flower festival and in May, respectively. Moreover, the number of mentions about Yeosu and Suncheon surged during the Chuseok(Korean Thanksgiving) holiday, and these places were preferred as family tourist destinationsduring the holiday season. In the winter months of January and February, a tourismoff-season, the number of mentions about price increased considerably. The most interestingplaces in social media communication included Gwangju, Yeosu, Suncheon, Damyang, andMokpo, and the results of big data analysis on social media showed that most keywordswere related to these places. Meanwhile, when analyzed by each place, Gwangju accountedfor 58% of the major visiting places as a food tourism destination, which was higher than anyother place. Gangjin had more discourses on historic sites than on food tourism, unlike otherplaces. In addition, Yeosu and Suncheon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he places to visitto appreciate nature and the landscape. Overall, when each place was introduced in massmedia or a festival was held, the number of buzzes and visitors tended to increase. In linewith recent social trends in general, it was found that the number of discourses on goodrestaurants with new menu items in addition to traditional food was on the rise. On the basis of these findings, the present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to activatetourism industry and perform tourism communication activities more actively about Gwangjuand Jeollanam-do, and put forward related implications.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광주?전남지역 관광에 대한 관광객의 인식과 핵심 관광이미지를 파악하고, 광주?전남지역이 가지고 있는 관광 콘텐츠를 진단, 발굴함으로 써 광주?전남지역 관광산업의 발전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2017년 7월 1일부터 2018년 6월 30일까지 1년간의 국내 주요 SNS 게시글 및 댓글, 주요 커뮤니티 사이 트 게시판의 글 등 소셜미디어에서 이루어진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하였다. 광주?전남지역 여행 관련 콘텐츠 게시량은 여름 휴가시즌에 최고조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을?겨울 은 여수, 봄꽃 축제 기간에는 순천, 5월에는 담양에 대한 언급량이 증가하였다. 명절인 추석 연휴 기간에는 여수와 순천의 언급량이 증가하여 연휴의 관광목적지로서 가족단위 여행지로 선호되고 있었고, 겨울 비수기인 1-2월에는 가격에 대한 언급량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다. 소 셜미디어 커뮤니케이션에서 가장 큰 관심지역으로 나타난 곳은 광주, 여수, 순천, 담양, 목포 순이었으며,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분석결과 키워드 대부분이 이 지역과 연관이 되어 있는 것 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별로 볼 때 광주는 주요 방문지가 음식관광지인 경우가 58%를 차지 해, 타 지역에 비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강진의 경우 타 지역과는 다르게 역사 유적 지에 대한 담론이 음식관광에 대한 담론보다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여수 및 순천은 자연 및 풍경 감상을 위한 방문지가 50%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각 지역이 매스 미디어에 소개되거나, 축제가 진행될 경우 언급량, 방문객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었으 며, 최근 일반 사회적 트렌드와 부합하여 전통적인 음식 이외에도, 새로운 메뉴의 맛집과 관 련한 담론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광주· 전남 지역의 관광활성화 발전 정책 방안 마련과 적극적인 관광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 을 제기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