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진정성 연구 고찰과 미래 과제에 대한 탐색 : 커뮤니케이션 학술지에 나타난 진정성의 개념과 척도, 연구경향을 중심으로

        유선욱(SunWook Yoo) 계명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20 한국사회과학연구 Vol.39 No.1

        본 연구는 최근 조직의 PR 및 광고, 브랜드 등 커뮤니케이션에서 화두가 된 ‘진정성’을 주제로 한 연구들을 리뷰하여 국내 진정성 연구에서 나타난 진정성의 개념과정의, 구성차원 및 측정문항을 살펴보고 연구경향을 분석하였다. 진정성 연구의 통합적 고찰을 통해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진정성 연구의 한계점을 살펴보고 향후 연구 방향성과 과제에 대해 제언하였다. 커뮤니케이션학에서 진정성은 조직이나 기업의 진정성, CSR의 진정성 측면에서 연구가 시작되어 브랜드, SNS 연구로 확장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CSR 진정성에 대해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같은 어원을 적용하여 진정성의 개념에 접근한 것은 공통적이지만 진정성의 주체에 따라 연구마다 다른 속성에 중점을 두어 개념화 하였다. ‘진실성’, ‘진심’, ‘순수’라는 속성에 바탕을 두어 진정성을 정의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진정성을 단일차원으로 구성하여 측정한 경우가 다차원 척도를 통해 측정한 경우보다 조금 더 많았다. 모두 양적 접근을 통한 실증 연구였으며, 척도 개발을 주제로 한 연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실무적 논문이었다.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진정성의 개념 및 정의, 연구 주제와 방법, 척도 개발, 실무에서의 실천 등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articles on “authenticity,” which has become a prominent topic in areas of the communication field including public relations, advertising, and branding. This study focused on exploring the concepts, definitions, dimensions, and measurement items for authenticity in articles, analyzed research trends, and suggested comprehensiv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The subject of the highest number of studies has bee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followed by authenticity in social networking sites (SNS) and the authenticity of organizations and brands. The origin of words and the philosophical concept of authenticity have been applied to most studies in a similar manner, but the operational definition and sub-dimension have had various approaches. The meanings of “truthfulness,” “sincerity,” and “genuineness” were found the most often in the research.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scales of authenticity, research topics, research method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guidelines were presented.

      • KCI등재

        나는 전문가인가?

        유선욱(Yoo, Sunwook),문현기(Moon, Hyunki)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광고연구 Vol.0 No.107

        본 연구는 광고실무자인 한국의 광고회사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전문직업적 정체성(professional identity)과 직업적 웰빙(occupational wellbeing), 직무열의(job engagement)와 직무소진(job burnout), 직무효과 변인인 직무만족(job satisfaction)과 직무성과(job performance)가 성별, 경력, 직급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전문직업적 정체성, 직무열의, 직무성과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난 가운데 모두 남성 실무자들에게 높게 나타났다. 경력에 따라서는 전문직업적 정체성에서만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경력이 많을수록 전문가로서의 정체성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5년 미만과 10년 이상의 경력을 지닌 그룹 간 차이가 유의미했다. 직업적 건강이나 직무효과성 인식에 있어서는 경력 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직급에 따라서는 직무소진을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사원 · 대리급과 부장 이상 급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전문직업적 정체성 인식과 직무만족에 있어서는 과 · 차장급과 부장 이상 급 간 차이도 유의미했다.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만족, 직무성과와의 관계에서 직무열의는 부분매개 효과를 갖는 반면, 직무소진은 직무만족에서만 부분매개로 작용함이 나타났다. 직무소진은 직무성과를 유의하게 예측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광고실무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직무성과를 매개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광고회사의 실무자들은 전문직업적 정체성을 가질수록 직무에 만족하고, 긍정적인 성과를 이끌어 낸다는 것을 이론적으로 규명하였으며, 또 스스로 전문가라고 생각하는 광고실무자들은 직무에 헌신하고 몰입하며 활력을 갖게 되어 자신의 일에 더 만족하고 일을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인식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광고 종사자들의 타 직종으로의 이직 및 전직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현재의 광고산업 환경에서, 광고실무자들의 전문직업적 정체성 제고를 통해 건강한 직업인으로서 업무에 임하며 직무에 만족하고 좋은 성과를 낼 수 있도록 각각의 광고회사와 산업 차원에서 제도적 정비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강조하며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on advertising practitioners in Korea has two purposes. One is to examine how professional identity, job engagement and job burnout(occupational wellbeing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differ based on gender, work experiences, and positions of advertising agency employees in Korea. The other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s variables above.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e following. The differences of professional identity, job engagement, and job performance based on gende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male practitioners had higher means than female practitioners. Based on work experiences, only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Seniors showed strong professional identity, and there was a stalk difference between less than 5 years group and more than 10 years group. For variables like occupational wellbeing,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differences in work experiences, were not significant. Based on posi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all variables except job burnout between juniors and department heads and above. In case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satisfaction, differences between managers and department heads and above(were also significant. In professional identity"s effect on job satisfaction and job performance, job engagement appears to have partial mediation. Whereas, job burnout appears to have partial mediation on job satisfaction only. Job burnout doesn"t have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hence job burnout does not have any mediating effect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 and job performance. The study investigated theoretically that the more advertising practitioners have professional identity, the more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the more they yield positive performance. Also, advertising practitioners who think of themselves as professionals were found to be more dedicated to their work, more engaged, and more energetic, and are therefore more satisfied with their work. In the present advertising industry which shows high rate of career changes, the study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that each advertising agency as well as advertising industry as a whole should prepare improvement and reorganization of systems to enhance professional identity of advertising practitioners so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ir job and yield better performance.

      • KCI등재

        결핵에 대한 낙인과 발병 공개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유선욱(Yoo, Sunwook),신호창(Shin, Hochang),노형신(Roh, Hyungshin),조성은(Jo, Seongeu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4 광고연구 Vol.0 No.103

        본 연구는 결핵 치료의 방해요인임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논의가 부족했던 낙인과 결핵 발병 시 공개할 의도(disclosure of TB)에 대해 탐구하고,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또한 결핵과 관련된 인식과 감정, 지식, 낙인 및 병 역할행동에 있어 연령대 그룹별 차이가 있음을 살펴보고 결핵 캠페인에서 세분화 전략을 실시하여 낙인을 줄이고 치료행동을 높일 수 있는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무엇보다 낙인을 줄이기 위해서는 어떠한 요인들을 다루어야 할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가이드를 제시할 수 있도록 낙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건강신념요인, 감정요인, 지식요인으로 구분하여 탐구하였다. 특히, 낙인을 줄이기 위해서 결핵에 대한 지식의 제고가 강조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지식과 낙인의 관계는 실증적으로 밝혀진 바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어떠한 지식이 어느 정도 있는지에 따라 낙인화가 달라질 것으로 보고, 지식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이러한 변인들과 낙인 유형에 따라 결핵발병 시 공개의도가 어떻게 달라질 것인지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건강신념변인으로는 취약성과 효능감에서 연령대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했고, 모든 지식 유형(감염 및 발병, 예방, 증상, 치료)에서 10대, 20∼30대, 40∼50대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다. 낙인 인식 역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강해지고, 낙인 인식의 유형(표시, 책임, 위험, 그룹 라벨링) 모두에서도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핵 발병 시, 가족에게 공개할 의도에 있어서는 가족에게 공개할 의도에 있어서는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으나, 친구나 주변인에 공개할 의도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낙인에 미치는 영향력에 있어서 지각된 위험, 효능감, 두려움, 지식 변인군의 영향력은 연령대별로 상이하게 나타났다. 특히 지식의 유형에 따라 낙인인식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연령대별로 낙인의 유형이 결핵공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도 다르게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결핵 예방 및 관리를 위한 교육 및 캠페인 전략 수립 시 지식 및 낙인 요인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감염적 질환 관리에 있어서 지식 및 낙인의 역할과 유형이 재고찰되어야 함을 이론적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이와 함께, 연령대별로 차별화된 캠페인 전략과 메시지 수립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how health belief factors, fear as emotion, knowledge, stigma and disclosure intention of TB as sick role behavior differ depending on age groups and emphasizes the factors that affect stigma and the disclosure intention of tuberculosis(TB) which are intervening factors of tuberculosis treatment. It also and explores the strategic approach to reduce stigma and enhance disclosure of TB for treatment behavior by implementing target segmented tuberculosis campaign from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study further researches the effects of four knowledge types and four stigma types on TB stigma and intention of disclosure of TB.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vulnerability and efficacy factors of the Health Belief Mod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Moreover, it showed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e knowledge types (infection and cause of TB, prevention, symptom, and treatment) and all stigma types among on the three age groups(10s, 20∼30s, 40∼50s). Regarding the effects on stigma, the result showed that perceived risk, efficacy belief, fear and knowledge types affect on stigma differently by the age groups. The study also found out that the four types of stigma’s effects on the intention of disclosure of tuberculosis differs depending on age groups. This empirical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the differences of cognition, emotion, knowledge, stigma of TB by ages and especially when it comes to establishing education programs or campaign strategies for tuberculosis prevention and control. In addition, it theoretically suggests reconsidering the different role of knowledge type in stigma and disclosure intention, and the different effects of stigma types in the aspect of infectious disease control. The practical implication of this study is on the need to focus on different age groups when planning campaign strategies and delivering messages.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