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창의적 문제해결력의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유상미,김형범,Yoo, Sang-Mi,Kim, Hyoungbum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3

        본 연구는 창의적 문제해결력 평가를 위한 요인을 탐색하고 측정 항목을 규명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선행 연구와 설문을 통해 7개의 요인과 26개의 예비 문항을 얻을 수 있었다. 창의적 문제해결 역량과 관련하여 문제해결 절차 면에서 문제 발견 능력, 아이디어 생성 능력, 아이디어 평가 능력, 아이디어 실행 능력을 확인하였다. 또한, 문제해결 수행자간의 상호작용 능력과 문제 해결 수행자의 창의적 효능감 요인이 탐색 되었다. 마지막으로 HTE 창의교육 모델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요인으로 은유와 비유적 인지 사고 능력과 그에 대한 평가 항목을 제시하였다. 후속 연구를 통해 HTE 창의 교육 평가 모델의 초석이 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factors for evaluating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and to identify measurement items. After reviewing the previous study,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nd from that, 7 factors and 26 preliminary questions were obtained. Regarding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problem-discovery ability, idea generation ability, idea evaluation ability, and idea execution ability were confirmed in the problem-solving process. In addition, the factors of interaction ability between problem solving practitioners and creative efficacy of problem solving practitioners were explored. Finally, in the above results, metaphors and figurative cognitive thinking ability and evaluation items for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f HTE creative education model were presented. Through subsequent studies, we hope to serve as the groundwork of the evaluation model of HTE creative education.

      • KCI등재

        IT 학부생의 다중지능과 학문적 적응도 분석 -C 프로그래밍을 중심으로-

        유상미,최병수,Yoo, Sang-Mi,Choi, Byongsu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4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4 No.6

        본 연구는 IT 학부생의 다중지능에서의 특성과 학과 및 전공학문에 대한 학문적 적응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H대학 M과의 IT 학부생 1학년 신입생 70명이었고 전공학문은 학과의 기초전공필수인 "컴퓨터언어I-C언어" 과목이었다. 연구는 가드너(Gardner)의 다중지능이론에서 논란의 소지가 적은 8개 지능 영역을 사용하였고, 학문적 적응도는 대학생의 학과와 전공학문에 대한 적응력의 정도라고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변인으로는 선행연구를 통해 흥미, 몰입, 학과전공에 대한 친숙성과 관련성의 정도, 학업성취도 그리고 학과만족도를 선정하였다. 연구결과는 IT 학부생은 다중지능 중 대인지능과 자기이해지능이 강점으로 나타났고 남녀 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다중지능과 학문적 적응도 요인 간에 유의미한 상관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학문적 적응도에서 C프로그래밍 학문에 대해 흥미와 몰입이 낮았지만 다중지능의 언어지능과 C언어에 대한 몰입과의 유의미한 상관은 매우 흥미로운 결과였다. 다중지능과 학업성취도와의 유의미한 상관은 나타나지 않았으나, 전공학문에 대한 관련성을 높게 인식할수록 C언어에 친숙함을 많이 느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의 제한점을 논의하고, 연구 결과를 토대로 IT학부생의 학문적 적응도를 높이기 위한 처방적 전략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intelligence and the levels of academic adjustment for the department and the majo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IT. Seventy freshmen majoring in IT at the department of M, H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 basic major subject required for the department was Computer Language: I-C Language. Eight intelligence areas less controversial in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were used; academic adjustment was manipulatively defined as the degree of adjustment for the department and the major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and pleasure, flow, familiarity and relevance to the major, academic achievement, and major satisfaction were selected as variable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IT showed high levels of interpersonal intelligence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ith in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academic adjustment. In particular, while pleasure and flow in C programming were found to be at low levels in academic adjustment,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linguistic intelligence in multiple intelligence and flow in C language was a very interesting finding. Whil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not found between multiple intelligence and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who were more highly aware of the relevance to the major and who were more familiar with C language showed higher academic achievement. Lastly,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about prescriptive strategies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for under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IT.

      • KCI등재

        Suppression of Green and Blue Mold in Postharvest Mandarin Fruit by Treatment of Pantoea agglomerans 59-4

        유상미,Yong-Ki Kim,남효송,Young-Kee Lee,이승돈,이귀재,이용훈 한국식물병리학회 2010 Plant Pathology Journal Vol.26 No.4

        In order to control postharvest spoilage of satsuma mandarin fruits, rhizobacteria were isolated from soil samples. The Pantoea agglomerans strain 59-4 (Pa 59-4)which suppresses the decay of mandarin fruit by green and blue mold, was tested for the control efficacy and its mode of action was investigated. Pa 59-4 inhibited infection by green and blue mold on wounded mandarins,which were artificially inoculated with a spore suspension of Penicillium digitatum and P. italicum with control efficacies of 85-90% and 75-80%, respectively. The biocontrol efficacy was increased by raising the concentration of cells to between 108 and 109 cfu/ml, and pretreatment with the antagonist prevented subsequent infection by green mold. The population of Pa 59-4 was increased more than 10 fold during the 24 hr incubation at 20oC, indicating that colonization of the wound site might prevent the infection by green mold. Despite poor antifungal activity, the Pa 59-4 isolate completely inhibited the germination and growth of P. digitatum spores at 1 × 108 cfu/ml. We argue that the control efficacy was mediated by nutrient competition. Overall, the effective rhizobacterium, Pa 59-4, was shown to be a promising biocontrol agent for the postharvest spoilage of mandarin fruits by green and blue mold.

      • KCI등재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이해관계자 집단의 정책 수용 인식 분석 -Q 방법론을 중심으로-

        유상미 한국정책개발학회 2019 정책개발연구 Vol.19 No.2

        In order to solve the low birthrate population problem, the government introduced and enforced the parental leave system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seeking institutional development by supplementing the period of leave of absence, expanding targets, and strengthening support for business operators. However, apart from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the actual utilization rate in the field has a large gap between large and small companies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especially the private sect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auses of the widening gap in utilization rates betwee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large corporations, and will focus on the perceptions of stakeholders related to the parental leave system. The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Q methodology, which is a useful methodology to systematically grasp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human beings. As a result of the type analysis,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stakeholders according to benefit group and regulation group. Based on these differences in perceptions among stakeholder groups, this thesis proposes policy alternatives by type to enhance the policy acceptability of parental leave system. 저출산에 따른 인구 문제 해결을 위해 정부에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에 육아휴직제도를 도입․시행하여 휴직 기간 및 대상 확대, 사업자 지원 강화 등의 보완을 거치며 제도적 발전을 모색하였다. 그러나 제도적 발전과는 별개로 실제 현장에서의 사용률은 공공부분과 민간부문, 특히 민간부문 중에서도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사용률 격차가 크게 벌어지고 있는 문제의 원인을 육아휴직제도와 관련된 이해관계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파악해보고자 한다. 이해관계자들의 인식 분석을 위해 인간의 주관적 인식을 체계적으로 파악하는데 유용한 방법론인 Q 방법론을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형 분석 결과 제도 운영을 통해 편익의 혜택을 받는 집단과 행위의 규제를 받는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이해관계자 집단 간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육아휴직제도의 정책 수용성을 제고시키기 위한 유형별 정책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WWT 빅데이터를 활용한 중학교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유상미,김형범,김용기,김흥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2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14 No.1

        최근 빅데이터에 기반한 교육의 활성화가 요구됨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태양계’, ‘별과 우주’ 내용 요소를 중심으로, WWT 빅 데이터를 활용한 천문교육 STEAM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이에 대한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무선 표집된 1개의 중학교 176명의 학생들에게 이를 적용하여 창의적 문 제해결, STEAM 태도 및 STEAM 만족도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천문 데이터 시각화 플랫폼인 WWT(World Wide Telescope) 빅데이 터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자발적으로 학습 에 참여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둘째, 창 의적 문제해결 측정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 차에 의한 대응표본 t 검정에서 ‘과제집중’ 구인을 제외한 ‘아이 디어 수정’, ‘이미지화’, ‘비유’, ‘아이디어 생성’, ‘정교 성’ 구인에서 유의미한 통계적 검정 결과(p < .05)를 얻 었다. 셋째, STEAM 태도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 차에 의한 대응표본 t 검정에서는 ‘배려’, ‘유용성·가치 인식’ 구인을 제외한 ‘흥미’, ‘소통’, ‘자아 개념’, ‘자아 효능 감’, ‘이공계 진로선택’ 구인에서 유의미한 통계적 검 정 결과(p < .05)를 얻었다. 넷째, STEAM 프로그램 적 용 후에 실시한 STEAM 만족도 검사에서는 하위구인 들의 평균값의 범위가 3.16 ∼ 3.90으로, WWT 빅데이 터를 활용한 STEAM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과학 교과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developed a big data-based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 & Mathematics) program using WWT (World Wide Telescope), focusing on content elements of ‘solar system’, ‘star and universe’ in the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STEAM program, analyzed creative problem solving, STEAM attitude, and STEAM satisfaction by applying it to one middle school 176 students simple random sampl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developed a program to encourage students to actively and voluntarily participating, utilizing the astronomical data platform WWT. Second, in the paired t-tes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scores of the creative problem solving measurement test, significant statistical test results were shown in ‘idea adaptation’, ‘imaging’, ‘analogy’, ‘idea production’ and ‘elaboration’ sub-factors except ‘attention task’ sub-factor (p < .05). Third, in the paired t-test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scores of the STEAM attitude test, significant statistical test results were shown in ‘interest’, ‘communication’, ‘self-concept’, ‘self-efficacy’ and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 choice’ sub-factors except ‘consideration’ and ‘usefulness / value recognition’ sub-factors (p < .05). Fourth, in the STEAM satisfaction test conducted after class application, the average values of sub-factors were 3.16∼3.90. The results indicated that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science subject improved significantly through the big data-based STEAM program using the WWT.

      • KCI등재

        세포사멸 조절 단백질인 IEX-1의 새로운 결합단백질로서의 CATHEPSIN B의 발견

        유상미,이강석,배지현 한국발생생물학회 2012 발생과 생식 Vol.16 No.2

        선행연구에서 본 연구자는 IEX-1 단백질이 난소 암세포에서 세포사멸(apoptosis)을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함을확인하였으나, 세포사멸과 세포생존의 여러 단계에서 어떠한 신호전달 체계로 IEX-1이 작용하는지는 정확히 알지 못하고있다. 따라서 IEX-1 단백질과 결합하는 새로운 단백질을 찾기 위해 yeast two-hybrid system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IEX-1이 여러 다양한 인간 암 세포에서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CATHEPSIN B 단백질과 결합함을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리소좀프로테아제의 일원인 CATHEPSIN B 단백질과 IEX-1 단백질의 결합을 면역침강법과 western blot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이 결과들을 통해서 IEX-1과 CATHEPSIN B는 세포 내에서 서로의 기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세포사멸을 유도하는 IEX-1 단백질이 lysosome-mediated apoptotic pathway에 관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