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A Bibliographical Study of the Tripitaka Koreana

        유부현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49 No.-

        This study offers the chance to understand and meditate the 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through bibliographical study of it in depth. As everyone knows, the Tripitaka Koreana represents the Tripitaka of World Buddhism. However, the bibliographical studies including the organization, contents, root books, and corrections of the Tripitaka Koreana have not been satisfactory until now. Accordingly, the study focuses on enlarging and reconfirming the value of the Tripitaka Koreana. As a result, the First and Second Tripitaka Koreana are considered as the revised and reprinted edition of the Tripitaka Kai bao. Especially, it is considered that the Tripitaka Kai bao is the first root book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corrected on the basis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ripitaka Kidan, and had bokgak. It is thought that the books which are not in the Tripitaka Kai bao or have serious flaws were published with the second root book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ripitaka Kidan etc. Additionally,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in the origin(gyetong) of Tripitaka belongs fundamentally to “Jungwongyetong”, but it has the contents of “Bukbanggyetong” and “Nambanggyetong”. Also, it has been carefully considered that the differences for the contents of letters have unique and improved elements of its own.

      • KCI등재

        「高麗再雕大藏經」과 「開寶勅版大藏經」의 比較 硏究

        유부현 불교학연구회 2007 불교학연구 Vol.16 No.-

        This study is making a comparative study with the existing book of the Tripitaka Kai bao and second Tripitaka Koreana. I want to draw on clues that can come to a final conclusion from the text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The result that, the volumes printed by woodcut is wholly identical to the letter shape, size and the spaces in between. In short, all is regarded to be the true block book that is of an identical system. However, these are not perfectly in the style of block books or the original three books. There are trivial and partially differences in the several elements. However it can be found to be more or less the original letter transfer.

      • KCI등재

        고려대장경 경판의 分司大藏都監 刊記에 대한 연구

        유부현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연구 Vol.51 No.-

        The study is about examining and inquiring into 65 Bunsadaejangdogam colophons that are carved into in the kind of 78 wood tablets of the kyungjeons with Bunsadaejangdogam colophones, not the gyungjeons printed in the paper. As a result, it is showed that the mixed state of Daejangdogam and Bunsadaejangdogam and the condition of supplementary wood cuttings presented in Bunsadaejangdogam colophons are analyzed as below. ① Daejangdogam colophons are only partially Bunsadogam colophons that all have supplementary wood cuttings with the mixed Daejangdogam and Bunsadogam colophons. ② Daejangdogam colophons are only part of Daejangdogam colophons that have the mixed Daejangdogam and Bunsadogam colophons. ③ There are no supplementary wood cuttings in the Bunsadogam colophons mixed with Daejangdogam and Bunsadogam colophons. ④ All the Bunsadogam colophons with the mixed Daejangdogam and Bunsadogam colophons are newly transcribed and wood cut. ⑤ Part of Bunsadogam colophons with the mixed Daejangdogam and Bunsadogam colophons are supplemented and wood cut. ⑥ There is not having supplementary wood cuttings, but having Bunsadogam colophons in the Daejangdogam colophons. ⑦ The whole contents of the colophons being made up of Bunsadogam colophons are newly transcribed and wood cut. ⑧ There are supplementary wood cuttings in the Daejangdogam colophons being made up of Bunsadogam colophons. ⑨ There are supplementary wood cuttings in only part of the Daejangdogam colophons contents being made up of the Bunsadogam colophons. ⑩ The only part of the colophons contents are supplemented and wood cut in the Daejangdogam colophons. Above all, it is expected that the real condition of the supplementary wood cuttings in the Bunsadaejangdogam colophons examined in the study is the valuable guide in understanding the relation of Daejangdogam and Bunsadaejangdogam. 본 연구는 종이에 인쇄된 경전이 아닌 分司大藏都監의 간기가 들어 있는 78종 경전의 경판에 새겨진 635건의 분사대장도감 간기를 조사하여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대장도감과 분사대장도감 간기가 혼재된 상황 실태, 분사대장도감 간기에 보이는 埋木 상황 등이 다음과 같이 분석되었다. ① 大藏都監 分司都監 刊記가 혼재하면서 일부만 分司都監 刊記인데 전부 매목이 있음. ② 大藏都監 分司都監 刊記가 혼재하면서 일부만 大藏都監 刊記임. ③ 大藏都監 分司都監 刊記가 혼재하면서 分司都監 刊記에 埋木이 없음. ④ 大藏都監 分司都監 刊記가 혼재하면서 分司都監 刊記 전체가 새로 필사 판각되었음. ⑤ 大藏都監 分司都監 刊記가 혼재하면서 分司都監 刊記의 일부분이 補寫 판각되었음. ⑥ 分司都監 刊記로 되어 있으면서 매목이 없음. ⑦ 分司都監 刊記로 되어 있으면서 刊記의 내용 전체가 새로 필사 판각되었음. ⑧ 分司都監 刊記로 되어 있으면서 모든 刊記에 埋木이 있음. ⑨ 分司都監 刊記로 되어 있으면서 刊記의 내용 일부분이 補寫 판각되었음. ⑩ 大藏都監 刊記로 되어있으면서 간기의 내용 일부가 埋木되었음. 본 연구에서 밝혀진 분사대장도감 간기에 보이는 埋木 상황의 실태는 무엇보다도 大藏都監과 分司大藏都監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새로운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 『淸凉答順宗心要法門』과 『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비교 고찰

        유부현 한국서지학회 2012 서지학보 Vol.0 No.39

        고려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는 고려본 『心要法門』은 1973년 5월 세간에 알려지면서 학계에 적지 않은 주목을 받았고 이 책의 발문 한 장은 금속활자로 찍어내어 오려붙여진 것으로 알려졌었다. 한편 2010년 9월에는 『南明泉和尙頌證道歌』를 찍어내었던 고려활자의 실물이 세상에 공개되어 1239년에 重彫된 목판본 『南明泉和尙頌證道歌』가 고려금속활자본 『南明泉和尙頌證道歌』를 저본으로 해서 覆刻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고는 『心要法門』 跋文과 고려금속활자본의 覆刻本인 『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版式과 글자를 비교 분석하여 『心要法門』 跋文과『南明泉和尙頌證道歌』의 관련성 여부를 밝혀본 것이다. 그 결과 『心要法門』跋文과 『南明泉和尙頌證道歌』는 판의 형태에 있어서 서로 다르며, 또한 동일한 글자의 형태에 있어서도 상이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고려본 『心要法門』 跋文이 종래의 주장처럼 금속활자로 조판되어 인쇄되었다 하더라도 고려금속활자인 이른바 “證道歌字”와는 어떠한 관계도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Goryeobon Shimyobeopmoon owned at Korea University has got a great attention from an academic circles with great fanfare since May, 1973. And the epilogue of it was known for being cut out and attached after it was printed with a metal type. Meanwhile, the original size of Goryeo type which has printed Nammyungcheonhwasangsongjeungdoga in September, 2010 was revealed into the public and the wooden plate, Nammyungcheonhwasangsongjeungdoga reprinted in 1239, was reprinted with Nammyungcheonhwasangsongjeungdoga, Goryeo metal type, as a jeobon. The study focused on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pilogue of Shimyobeopmoon with the pansik and letters of Nammyungcheonhwasangsongjeungdoga, the bokgakbon of Goryeo metal type. And then, it showed the relations the epilogue of Shimyobeopmoon and Nammyungcheonhwasangsongjeungdoga. As a result, it is analyzed that the epilogue of Shimyobeopmoon and Nammyungcheonhwasangsongjeungdoga is different in the form of a piece of paper and identical letters. Therefore, even though the epilogue of Goyeobon Shimyoubeopmoon was typeset and printed as an existing assertion, it is judged that it has nothing to do with so-called “Jeungdogaja”, Goryeo metal type.

      • KCI등재

        高麗藏(初雕藏․再雕藏)의 底本에 대한 一考*

        유부현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48 No.-

        This study aims to prove the bottom books of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gain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Joseongjangbon, the First Tripitaka Kore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with the existing 13 kinds of Tripitaka Kai bao, and to clarify the bottom book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through the analysis of Kyojeongbyullok.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s idea is again confirmed that the First Tripitaka Koreana and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re the modified ‘bokgakbon’ of Tripitaka Kai bao. Especially for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Sugi, the Buddhist monk, used largely the Songbon as the first bottom book among the Gookbon, the Danbon, and the Songbon, and compared it with the Gookbon and the Danbon to proofread and correct. In addition, the corrected Songbon was used as a ‘deungjaebon’, the bottom book for making woodblocks of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And it seems clear that the scriptures, either missing in the Songbon or with some critical faults, were corrected with the Gookbon or the Danbon as the secondary bottom book. Either this corrected bottom book was used as a ‘deungjaebon’ or a newly carved ‘deungjaebon’ was included or substituted in the Second Tripitaka Koreana. Therefore, this researcher's argument over the above fact seems to be well confirmed. 본 연구는 현존하는 13종의 개보장본을 중심으로 조성장본, 초조장본, 재조장본의 대조 분석을 통해 초조장본, 재조장본의 저본에 대해서 다시 고찰해보고, 교정별록의 내용 분석을 통해 재조장의 저본에 대해서 분명하게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필자는 본 연구에서 초조장과 재조장은 개보장의 수정 복각본으로 추정했던 필자의 견해를 다시 한 번 입증하였다. 특히 재조장의 경우 수기법사가 국본․단본․송본 가운데 대부분 송본을 제1차적인 저본으로 삼은 다음 이 송본을 국본․단본과 대교하고, 국본․단본 등에 의거해서 송본을 교감하여 수정하였다. 아울러 이 수정된 송본은 바로 재조장을 간행함에 있어 그 판각의 저본 즉 등재본으로 사용되었다. 그리고 송본에 없거나 중대한 결함이 있는 경전은 국본이나 단본 등을 제2차적인 저본으로 삼아 이를 수정하여 등재본으로 삼아 판각을 하거나, 새로 등재본을 마련해서 판각한 다음 재조장에 편입시키거나 대체시켰던 것으로 주장했던 필자의 견해도 분명히 확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무구정광대타라니경"에 사용된 무주신자 연구

        유부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0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1 No.4

        본고는 무구정광대타라니경에 사용된 무구신자의 성격을 구명하기 위해 무주신자와 이를 제정한 측천무후에 대해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무주시대에 적용된 무주신자의 용례를 고찰하여, 본경에 사용된 례와 비교 분석한 것이다. 먼저 본경에 사용된 신자의 자형을 무주시기에 사용된 신자의 자형과 비교를 해본 결과, "초.증.수"자의 신자들은 상당한 차이가 났다. 또한 신자의 조합원리와 의미상에서 비교해 본 결과 더욱 차이가 있었다. 다음으로 신자사용의 적용례를 비교해 본 결과 역시 비교가 안될 정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본경에 사용된 신자와 무주시기에 사용된 신자사이에 시간적.공간적으로 상당한 거리가 있기 때문이 이와 같이 자형과 사용례에서 극심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이해하였다.것으로 이해하였다.

      • KCI등재

        고여재조대장경에 수용된 계단대장경

        유부현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4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5 No.2

        본고는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던 재조장에 기록된 여러 가지 교감 기록을 조사ㆍ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해서 재조장에 수용된 거란장의 성격에 대해서 고찰한 것이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구명되었다. 첫째, 재조대장경에 편입된 거란장은 모두 18건이었다. 둘째, 재조대장경에서 교정의 저본으로 수용된 거란장은 모두 42건이었다. 셋째, 재조대장경의 교감기록에서 오류가 지적된 거란장은 모두 11건이었다. 셋째, 재조대장경에서 대교본으로 수용된 경전은 모두 57이었다. 넷째, 재조대장경의 교감기록에서 거란장에 미 입장된 것으로 확인된 경전은 4건이었다. 다섯째, 이상과 같은 분석을 통해서 거란장은 일부분이 아닌 거의 대부분이 재조대장경의 대교본으로 수용되었으며, 또한 종래의 견해대로 거란장은 매우 우수한 판본이었지만, 또한 적지 않은 오류도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is made of proofreading some documents about ‘Tripitaka Koreana’, which was unknown and not noticed quite well until now and is also for montemplating the features of ‘Qidanzang’ that were accepted in ‘Tripitaka’. By all the researches the following facts were found out. First, ‘Qidanzang’ included in ‘Tripitaka’ were all 18 cases. Second, ‘Qidanzang’ that were corrected and accepted into ‘Tripitaka’ were 42cases. Third, ‘Qidanzang’ that have errors at comparing documents were all 11cases. Fourth the sutra that were accepted in the comparative book were all 57 cases. Fifth, unaccepted sutras , which were found out at comparative documents, were 4cases. At last, from the analysis abouve, we notice that most of the ‘Qidanzang’, not part of it, were accepted into ‘Tripitaka Koreana’ and like the previous viewpoint, ‘Qidanzang’ was an excellent book but it also had a few mistakes.

      • KCI등재

        고려(高麗)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화엄경(華嚴經)(주본(周本)) 권(卷)60에 나타난 교정(校正)의 흔적(痕迹)

        유부현,Yoo, Boo-Hyeon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08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39 No.2

        본고는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판각(板刻)이 완료된 이후 다시 교정(校正)을 하여 보각(補刻)한 흔적(痕迹)을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 화엄경(華嚴經)(주본(周本)) 권(卷)60에서 찾아내어 분석한 것이다. 문제의 교정 흔적은 "건립지혜당(建立智慧幢) 견고불동요(堅固不動搖) '지(知)'천변화법(天變化法) 이현변화사(而現變化事)"의 내용 가운데 '지(知)'자(字)에서 발견되었다. 분석 결과 문제의 '지(知)'자(字)는 여타의 문자보다 상당히 크고 묵색(墨色) 또한 다른 글자보다 매우 진했다. 이 현상에 의거해서 필자는 이 '지(知)'자(字)는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판각(板刻)이 완료(完了)된 이후 다시 교정(校正)되어 보각(補刻)되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것은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의 교정이 상당히 완벽했음을 입증해 주는 하나의 단서가 되는 것이다. The writer of this study analyzed the traces that are made by revising and replenishing after finishing engraving of Chojodaejanggyeong into the Vol.60 Abstract of Tripitaka Koreans 周本 Hwayemgyeong. It can be a clue that proves the revising of Chojodaejanggyeong was considerably comple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