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노총 소속 지역업종노조 연구 -지역이 중요하다.-

        유병홍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19 한국노동사회연구소 이슈페이퍼 Vol.2019 No.13

        여러 분야에서 지역이 화두가 되고 있다. 고용/노사관계 분야에서도 이런 움직임이 조금씩 보이고 있다. 이 글에서는 “지역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 또한 노조 조직화 과정에서 지역에 근거한 조직이 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한국노총 소속지역업종노조를 사례 조사하였다. 연구사례는 금속연맹 부천지역노조, 공공연맹 중부지역공공산업노조와 한울타리공공노조, 자동차노련 부산마을버스지부 4개 노조(지부)를 선정하여 살펴보았다. 이는 주요 산업인 제조업, 공공부문, 민간서비스부문을 염두에 둔 사례선정이다. 이 연구의 핵심적인 결과는 이후 소규모 사업장 조직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지역업종노조가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첫째, 이 연구는 이제까지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못한 소규모 사업장 노조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둘째, 이 연구결과는 지역업종노조가 소규모 기업별노조와 일정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지역업종노조를 통한 소규모 사업장 조직화 노력이 갖는 질적 전환의 의미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런 초기업단위노조 설립, 유지 실험은 기업별 노조라는 한국 노조에 근본적인 변화를 야기하는 질적 전환이다. 넷째, 연구 결과는 소규모사업장 노조를 조직하는 방안으로서 초기업별노조인 지역업종노조가 유용한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즉 이 연구는 한국노총에 대해 중소영세사업장 조직화가 지니고 있는 이러한 의미를 명확히 하면서 중소영세사업장 조직화에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연구결과를 종합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영세사업장 조직화를 위한 방안으로서 지역업종노조가 의미 있을 수 있다. 둘째, 사례연구 결과는 지역업종 조직화 모형이 다양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사례연구를 종합하면서 각 사례를 ‘부천지역노조 사례-조직 인큐베이터 모형’, ‘중부지역공공산업노조 사례-지역 중심 활동 모형’, ‘한울타리노조사례-현장 조직 지원 모형’, ‘부산지역마을버스직할지부-통일교섭을 통한 노동조건 평준화 모형’으로 정리했다. 이후 조직화과정에서는 다양한 조직화 모형을 참조하면서 해당 업종 그리고/또는 지역에 적합한 유형에 따라 조직화를 시도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사례연구 결과는 총연맹, 연맹 그리고 지역본부(지부)가 많은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사례연구 결과는 한국노총, 산별연맹 차원에서 지역노조 활동가 양성을 위한 계획을 수립, 시행할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사례연구를 통해 산별조직에 견주어 그 역할이 상대적으로 뚜렷하지 않은 지역업종노조가 소규모 사업장, 비정규직, 특수고용노동자를 조직하는데 작지만 의미 있는 성과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미 지방자치단체들은 중앙정부에게 고용/노사관계를 맡겨두던 과거에서 벗어나고 있다.

      • KCI등재

        무노조사업장에서 노사협의회를 통한 간접참여와 근로자 직접참여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유병홍,김동주 한국기업경영학회 2011 기업경영연구 Vol.18 No.3

        This paper analyses the impact of employee participation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formance,industrial relations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after sorting employee participation at non-unionized workplace into direct employee participation and indirect employee participation through a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work council) by using WPS (Workplace Panel Survey) of Korea Labor Institute. According to the HPWS (high performance work system) theory, active participation of employees in managerial decision-making system is one of the major components of HPWS. So it is indispensible for companies to construct relevant employee participation polices and practices. Thus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employee participation based on various contextual background. This research is meaningful in the point that there are only a few empirical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the adoption of employee participation at non-unionized workplace though the importance of employment relations at non-unionized workplace has been increased along with worldwide decrease of union density including South Korea. This research also deducts the effectiveness of a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 by showing the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direct employee particip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using credible panel data.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our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direct and indirect employee participation at non-unionized workplace have both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volunteer turnover rate, industrial relations, quality improvement, innovative activity. This results empirically show that the adoption of direct employee participation through human resource management policies and practices is valuable for the improvement of firm performance at non-unionized workplace. In addition, the result that indirect employee participation through a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firm performance suggests that firms need to more activate a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 at non-unionized workplace. While there exist labor unions representing the interests of employees at unionized workplace, companies can not fully attend to the interests of employees if there do not exist effective representative mechanisms at non-unionized workplace. But,empirical results in this study show that direct and indirect employee participation at non-unionized work-place have both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performance. So, employee participation at non-unionized workplace is necessary to meet employee’s growth desire and industrial democracy as well as improvement of firm performance. Considering the contextual background of South Korea where work council is legal obligation of most companies, firms are inclined to passive role in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work council. Bu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direct employee participation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propose more active approach at the use of a joint labor-management conference. Second, direct and indirect employee participations have no linear interaction effects on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formance, industrial relations performance, organizational performance. But, in additional analysis, we can find that the type with both higher direct employee participation and indirect employee participation levels has superior performance than other types in volunteer turnover rate, industrial relations,quality improvement, innovative activity. Thus, to improve human resource management performance,industrial relations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effectively by using direct and indirect employee participations, firms should design and operate direct and indirect employee participations mutually complementary. This research is differentiated from prior research in the points that our research model integrates direct and indire... 노조조직율의 하락과 함께 무노조사업장 고용관계의 중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무노조사업장에서의 근로자참여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많지 않다. 본고에서는 무노조사업장 근로자참여를노사협의회를 중심으로 한 간접참여와 인적자원관리 제도를 통한 직접참여로 나누어서 각각의 참여수준이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2007)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노조사업장에서의 직접참여와 간접참여 모두 자발적 이직률, 노사관계, 품질개선, 혁신활동과 정(+)의 관련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표성이 있는 패널자료를 통해 노사협의회를통한 간접참여와 기업성과간의 긍정적인 관련성이 검증된 것은 노사협의회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보여준것으로 의미가 있다. 둘째, 직접참여와 간접참여는 기업성과에 대하여 선형적인 상호작용효과는 검증되지 않았다. 그러나 추가분석 결과를 보면 직접참여와 간접참여의 도입정도가 모두 높은 유형이 다른 유형들에 비해서 우수한 기업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직접참여와 간접참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기업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로자참여제도의 도입과 활용에 있어서 두 가지 형태의 참여기제를 더욱 유기적이고 상호보완적으로 설계 및 운영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