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과 교과서 개발 방향

        유병열(yoo byungryu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6 도덕윤리과교육 Vol.- No.22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기본정신과 추구하는 바를 실현함에 있어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의 도덕과교육 실행에 있어 도덕 교과서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또 실질적인 영향을 미친다. 바로 이런 점에서 좋은 도덕 교과서를 개발하는 일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 하겠다. 이 연구는 이런 점을 고려하여 차기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을 계기로 앞으로 도덕 교과서를 개발함에 있어 어떤 점들을 고려해야 하는지에 대해 논의하였다. 구체적으로, 도덕 교과서 개발의 기본 관점으로서 유덕한 인격의 형성에 기여하는 동시에 학교의 현실과 요구를 고려한 현장 적합성과 실효성이 높은 교과서 개발을 추구해야 한다는 점 등을 지적하였다. 이어 교과서에 담길 교육내용과 관련하여, 도덕과 교과교육학적 연구에 기반하는 동시에 교육과정상 지도 요소를 잘 상세화하여 가르칠 내용을 제대로 선정․조직하고, 내용의 질과 수준을 좀더 높이고 적정화를 도모하는 한편, 예화, 소재, 자료 등의 적절성을 높이는 일 등이 중요함을 지적하였다. 그리고 교과서 제재의 체제․구성과 관련하여서는 탐구학습의 원리에 기반하는 일, 도덕 수업과 제재 구성의 기본틀은 덕과 인격육성의 이론적 토대 위에서 합리적이고도 분명히 하되 제재의 구성과 유형 등은 다양화하는 일, 교과서 자체의 수업 완성도를 높이고 기르고자 하는 것과 그 과정, 활동, 방법, 자료 등을 보다 자세히 담는 일 등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보조교과서 및 교사용 지도서 문제, 교과서 개발 시의 사전 연구 및 계획, 집필진의 구성과 운영 등 교과서 개발 과정과 조건의 충실화 측면에 대해서도 생각해 보았다. As we know well, it is really important to develop good moral textbook because it is a critical element in mor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s. So, in this paper, I discussed several items and suggested some ideas that we have to consider for making moral textbooks. First, we need to have right viewpoint that the nature of moral education and its textbook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irtues and characters, and it is necessary to make moral textbook that is much appropriate to the abilities and demands of teachers and the real conditions of elementary schools. Second, the contents of moral education should be appropriately selected and organized. Especially, considerating the main directions and educational purpose of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is very important when we decide the teaching contents. In addition, we have to select good contents that are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virtues and arrange them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moral development stages. Moreover, taking appropriate quantity of contents and increasing the qualities of the educational materials are indispensable parts in making good moral textbook. Third, making reasonable structures and forms of moral learning materials is also a essential task. To do this well, in addition to take the principles of inquiry learning, we need not only to establish a rational-basic framework of virtue education and various models of moral teaching-learning but also to diversify the types and constructional forms of moral learning materials in moral textbook. Furthermore, it is important to make more detailed textbook than now and to include right teaching-learning process, good activities, fine methods, and high-quality materials in the textbook.

      • KCI등재후보

        덕교육적 접근과 도덕과 교육과정

        유병열(yoo byungryu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04 도덕윤리과교육 Vol.- No.18

        우리의 현행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은 그 이론적 기저의 하나로서 인격교육 내지 덕교육적 접근을 표방하고 있는 바, 이 연구는 바로 이러한 덕교육적 접근과 이에 기초한 도덕과 교육과정에 대한 한 이론적 관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그리하여 이를 위해 먼저 도덕교육을 통해 형성, 발달시키고자 하는 도덕성 내지 인격을 덕과의 관련 속에서 해명하면서 덕교육적 접근의 의의를 밝히고 이러한 접근이 어떤 이론적 근거에서 왜 요청되며 어떤 특징을 지니고 무엇을 하고자 하는 것인지를 도덕교육적 기초로서의 인격교육론과 도덕철학적 기초로서의 덕윤리학 및 심리학적 기초로서의 도덕심리학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이어 덕교육적 접근의 한 모형으로서 아리스토텔레스적 관점을 검토하면서 덕교육은 어떤 인간의 육성을 왜 지향하며 덕은 이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덕이란 무엇이며 어떻게 구성되고 이를 기르기 위해서는 어떤 관점에서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논하였다. 그리고 끝으로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도덕과 교육과정을 구상함에 있어 덕교육적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할 점들을 도덕과의 성격과 지향점 및 목표 설정, 교육내용으로서의 주요 덕들의 선정과 내용 체계화의 기본틀 및 지도 요소의 구안, 교육방법과 평가, 덕교육을 위한 장의 통합적 접근 논리 등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In Korea, the seventh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is partly based on the virtue education approach. But, untill now, we have not been given any full theoretical explanation about the approach and this might have been the big problem for us to practice moral education. If so, actually what does the approach mean? Why should we take the approach and what should we do in moral education under the name of virtue approach? For answering these questions, I investigated some issues as follows: Firstly the meaning and necessity of virtues education were explicated by way of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among virtues, character and morality. Secondly the theoretical rationale of virtue education was inquired from three academic fields such as character education theory(moral education foundation), virtue ethics(moral philosophic foundation) and moral psychology(psychological foundation). Thirdly I suggested an virtue education model based on Aristotle`s virtue theory and discussed the nature, kinds, structure, compositions of virtue, the basic viewpoint of approach to virtue education, and the teaching principles and methods of virtue education. Finally I suggested some ideas that would be necessary when we might develop moral education curriculum based on the virtur education approach.

      • KCI등재

        학교 인권교육 강화를 위한 실천방안 연구

        유병열(yoo byungryu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9

        오늘날 우리 학교교육에서 가장 중시되는 것 중의 하나가 바로 인성교육인 바 이 연구는 그 러한 인성교육의 중요 내용 중의 하나가 되는 인권교육에 대해 탐구하였다. 학생들의 바람직 한 인성을 함양하기 위해서는 자기와 타인의 존엄성 및 기본적 인권에 대한 존중과 배려가 필 수적으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문제는 현재 학교 현장에서의 인권교육이 그리 잘 실행되지는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바로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는 우리 학교 인권교육의 문제 를 개선하고 제대로 된 인권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좋은 실천방안이 무엇인지를 강구하는 데 주 목적이 있었다. 그리하여 구체적으로 학교에서 균형 잡힌 인권의식을 기르고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 및 학교의 자발적인 교육프로그램에 의해 인권교육을 활성화 하는 일, 학교 공동체 생활 속에서의 살아있는 인권교육을 강화하고 생활과 체험을 통해 진정한 인권존중 의 식을 기르는 한편, 양질의 인권교육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학교환경 및 지원체제를 구축하는 일, 그리고 학교 인권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우리 사회 그 자체를 인권공동체로 개선하고 발전시켜 가는 일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Nowadays human rights education is a global task that all humankind should strive to practice it for making good and peaceful human communities over the world. However, although human rights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as a very important approach of character education in Korean schools, frankly speaking, the reality of human rights education is not satisfied. So, this paper was focused on inquiring and suggesting some desirable ways to improve and strengthen the human rights education in our schools. First of all, we need to cultivate the well-balanced consciousness of rights and duties/responsibilities and to practice the true human rights education through the related subjects and extra curricular activities in schools. In addition, it is really important for students to live and experience the life of respecting and protecting other people`s sanctity and basic human rights. Finally, if we really want to acquire any desirable results from school`s human rights education, we should try to establish some good environment, appropriat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ystem and just social community that can support and encourage the true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 도덕과 교과용도서 개발을 위한 외국 도덕교과서 분석

        유병열(yoo byungryul) 한국도덕윤리과교육학회 2013 도덕윤리과교육 Vol.- No.38

        우리의 학교교육에서 교과서가 차지하는 비중은 실로 지대하다. 더욱이 지금은 2011 및 2012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 도덕과 3-6학년 교과서가 개발되어 가고 있는 중이다. 바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이 연구에서는 영미권을 중심으로 한 외국의 도덕 교과서를 분석하여 우 리의 초등 도덕과 교과서 개발 및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북미 와 남미 및 영국의 도덕 교과서 11권과 교사용지도서 7권, 총 18권을 분석하여 그 특징 및 장 단점 그리고 시사점 등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도덕 교과서를 개발함에 있어 중시해 야 할 점들에 대해 탐구, 제시하였다. 다양하고도 실용적이며 아름다운 외형 체제와 입체적ㆍ역 동적이면서도 시원한 편집 방식의 채택, 기반이 되는 이론적 토대로서의 덕교육적 접근과 유덕 한 인격 형성의 지향, 단원 구성의 기본틀로서의 지ㆍ정ㆍ행의 통합적 접근과 4단계 심층화 모 델 및 6수업ㆍ교재유형의 고려, 교수ㆍ학습 방법론 측면에서의 가치탐구형과 내러티브형의 조 화, 재미와 감동이 있는 생활밀착형 교재 및 활동과 체험 중심의 탐구형 교과서의 개발, 그리고 도덕교육의 기초 이론에 대한 안내와 단원ㆍ차시별 지도의 실제 및 유용하고 풍부한 자료와 활 용의 편이성을 갖춘 교사용지도서의 제공 등과 같은 것들이 그 예가 된다. As we know very well, moral textbooks play very important role and perform key function in our present environment and cultural climate of elementary school`s moral education, In addition, we are now developing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textbooks based on the 2009 National Moral Education Curriculum. So, in this paper, I analyzed 11 moral textbooks and 7 teachers guidebooks of other countries(North and South America, England) to contribute to making and improvement of our moral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kid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 could find many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meaningful implications. Especially, it is very impressive that almost all foreign textbooks exhaustively take the inquiry teaching-learning methods included dialogue and discussion, and the harmony of the paradigmatic or logico-scientific thinking mode and narrative thinking mode. So, based on the analysis, I presented some proposals for development and improvement of our moral textbooks. First, on the side of theoretical foundation and basic point of view, we need to strengthen the virtues education to bringing up virtuous character, and for realizing this, it is really necessary to take the integrated approach to the cognitive, affective and active sides of virtue and character. Second, on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it is very important for making moral textbooks to take the balance of value inquiry approach and narrative approach, to consider the kids` interest and real life situations, and to take the inquiry activities and real experiences-centered approach. Third, we need to develop very excellent teacher`s guidebooks because they decisively influence on the effectiveness and achievement of teacher`s moral education activities. So, at least, the guidebooks should have the necessary knowledges, information, and useful materials for the theories and practices of elementary moral/character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