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대중화에 대한 비판과 제언

        유범상(Yu, Bem-Sang),이현숙(Lee, Hyun-Sook)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논총 Vol.38 No.-

        본 논문은 인문학대중화 현상에 관한 비판적 성찰이다. 인문학자들의 2006년 인문학위기 선언이 있었고, 얼마 지나치 않아 현재 인문학의 열풍이라고 할 정도로 상황이 바뀌었다. 정부의 인문학지원정책과 인문학단체들의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 과연 인문학은 위기를 극복했을까? 본 논문은 인문학대중화의 열풍의 원인과 문제점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인문학대중화의 방향에 대해 논의한다. 본 논문은 인문학대중화가 ‘함께 비판하고 성찰하는 집단적 활동’이며 이를 통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공동체에 개입하는 기능을 담당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 활동의 주요 영역이 독서동아리이며 독서동아리는 시민교육의 한 유형이라고 본다. 연구결과 한국의 인문학대중화는 ‘풍요속의 빈곤’현상을 보였다. 정부의 인문학 대중화사업은 ‘연구비수주형의 행사성 인문학’이라는 비판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았는데, 대체적으로 성과와 업적위주로 진행되었기 때문이다. 특히 독서동아리와 관련하여 정부의 지원이 부족하고, 지속적인 독서동아리 활동을 위한 인프라구축이 되어 있지 않았다. 한편 정부의 지원과 상관없이 시민사회에서 자발적으로 인문학을 실천하는 인문학단체의 경우 인문학동아리를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주로 연구자 중심의 교양교육이었고, 예산부족으로 인해 고사직전에 있는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은 인문학독서 동아리의 관점에서 인문학대중화의 활성화 방안의 대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This research is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Humanities Popularization. The whole countray seems to be in the grip of th Humanities fever since the declaration of Humanities the crisis in South Korea. Behind the phenomenon, there are government policy called Humanities Popularization and proactive efforts of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for humanities popularization. Therefore, this paper critically reviews the causes and problems of the humanities boom and discuss the direction of Humanities Popularization. The perspective of this paper is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Humanities is ’collective activities of criticism and reflection with citizens’. In addition study circles which aim at independence from government must be the square of the activities. In consequence, Humanities popularization of South Korea is seen as ‘poverty midst plenty’ phenomenon. Government policy for Humanities popularization would study be criticized because it was oriented achievements or output. In particular, there was a lack of support for reading clubs. There was negligent in infrastructure, such as leader training and programs, for enabled of ongoing reading clubs. In the case of civil society, Humanities clubs faced difficulties due to lack of budget and they provides general knowledge education. Moreover, the member of the clubs consisted mainly the professional researchers.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and formation of government policies and the reading club.

      • SCOPUSKCI등재

        5축 NC 기계의 실시간 제어기법 개발을 위한 룰드 서피스 곡률 이론의 적용 연구

        김재희,유범상,Kim, Jae-Hui,Yu, Beom-Sang 대한기계학회 2000 大韓機械學會論文集A Vol.24 No.1

        This paper presents the real time control method of 5-axis NC machine for high precision and productivity based on the curvature theory, of a ruled surface. The trajectory, of NC machine is described by, way of a ruled surface generated by the points on part surface and tool axis direction vector. The curvature theory, of a ruled surface is then applied to deter-mine the motion parameters of the 5-axis machine for control. The controller computes position, orientation, and differential motion parameters of the tool in each sampling period. The real-time approach produces smoother surfaces and requires substantially less machining time compared to conventional off-line approaches. The propose real-time control method based of the curvature theory of a ruled surface may give new methodology of precision 5-axis machine control.

      • KCI등재

        스마트 온실 방제 로봇의 요구조건을 고려한 평가 방법 연구

        김경철(Kyoung-Chul Kim),유범상(Beom-Sahng Ryuh),이시영(Siyoung Lee),김국환(Gookhwan Kim),이명훈(Meonghun Lee),홍영기(Young-ki Hong),김현종(Hyunjong Kim),유병기(Byeong-Kee 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9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0 No.10

        최근, 스마트 농업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농업 자동화 및 로봇에 대한 연구개발이 증가하고 있다. 스마트 온실에서 사용되는 로봇은 작업 특성과 생육 환경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스마트 온실의 환경 분석을 통해 개발되어진 방제 로봇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논문은 스마트 온실에 적용 가능한 방제 로봇의 요구조건을 고려한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로봇의 요구조건을 통하여 성능 및 품질 평가 기준을 수립하고 시험을 실시하였다. 로봇관련표준을 참고하여 방제 로봇의 요구 기능과 목표를 도출하였다. 로봇의 성능을 위해 주행과 작업 능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주행시험은 로봇의 주행성능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고 작업능력은 방제성능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다. 로봇의 품질을 위해 내구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를 통하여 스마트 온실 로봇에게 요구되는 지표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스마트 온실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로봇들의 평가 기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gricultural robots have been on the rise as the interest in smart farming has increased. Robots used in smart greenhouse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with the working characteristics and growing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d cleaning robots developed through the environmental analysis of smart greenhouses. This study assessed the evaluation method considering the requirements of the pest control robot applicable to the smart greenhous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assessment criteria were established to conduct tests through the requirements of robots. The required functions and goals of the pest control robot were derived by referring to the robot-related standards. A driving and working ability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robot. The driving test was conducted on the driving performance of the robot and the work capability was tested on the pest control performance. In addition, a durability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the quality of the robot. The required factors for smart greenhouse robots were derived from the test results. The study results are expected be a standard for an evaluation of a variety of robots for applications to smart greenhou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