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왜매치, Abbottina springeri (Cypriniformes: Cyprinidae)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박재민 ( Jae-min Park ),유동재 ( Dong-jae Yoo ),조성장 ( Seong-jang Cho ),한경호 ( Kyeong-ho Han ) 한국어류학회 2021 韓國魚類學會誌 Vol.33 No.3

        본 연구는 왜매치의 초기생활사를 밝히기 위해 충청남도 당진시 서원천에서 성어를 채집하여 인공수정을 통해 수행하였다. 왜매치 암컷의 산란량은 1,225~2,100개 (1,662±437개, n=10) 정도였다. 난의 형태는 원형으로 크기는 1.05~1.13(1.08±0.02, n=30) mm였다. 수정란은 수온 22℃에서 부화까지 72~80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의 난황자어는 전장 2.10~2.23 (2.16±0.04, n=10) mm로 입과 항문은 열려 있지 않았고 난황을 가지고 있었다. 부화 후 5일째는 전장 3.29~3.45 (3.36±0.04, n=10)mm로 난황을 모두 흡수하였고 먹이를 섭취하면서 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15일째는 전장 4.97~5.30 (5.13±0.12, n=10) mm로 척추 끝부분이 상단으로 휘어지기 시작하면서 중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25일째는 전장 8.97~9.60 (9.44±0.16, n=10) mm로 꼬리지느러미 말단 끝부분이 45°로 완전히 휘어지면서 후기자어로 이행하였다. 부화 후 35일째는 전장 12.0~13.5 (12.7±0.53, n=10)mm로 각 부위별 지느러미 기조 수 (등지느러미 iii 7개, 뒷지느러미 iii 6개, 배지느러미 i 7개)가 정수로 도달하면서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egg, larvae and juveniles development of Abbottina springeri. For the experiments, the matured adults were collected at the Seowon-cheon, Dangjin-si, Chungcheongnam-do, in Korea. The amount of spawning of female A. springeri was about 1,225~2,100 (1,662±437, n=10). The fertilized eggs were circular in shape and 1.05~1.13 (1.08±0.02, n=30) mm in diameter. The hatching time was required 72 hours to 80 hours after fertilization under water temperature of 22℃.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2.10~2.23 (2.16±0.04, n=10) mm in total length and had egg yolk in the abdomen but the mouth was not opened. At 5 days after hatching, the preflexion larvae were 3.19~3.30 (3.24±0.03, n=10) mm in total length and the most of yolk-sac was absorbed. At the 15 days after hatching, the flexion larvae were 4.97~5.30 (5.13±0.12, n=10) mm in total length and the tip of the caudal fin was began to bend upward. At the 25 days after hatching, the postflexion larvae were 8.97~9.60 (9.44±0.16, n=10) mm in total length and the tip of the caudal fin was bent at 45°. At the 35 days after hatching, the juvenile were 12.0~13.5 (12.7±0.53, n=10) mm in total length and all fin-rays (iii7 dorsal fin, iii6 anal fin, i7 ventral fins) were reached a constant number of each part.

      • KCI등재

        서해안 대호만에 서식하는 빙어 Hypomesus nipponens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박재민 ( Jae-min Park ),유동재 ( Dong-jae Yoo ),유정남 ( Jeong-nam Yu ),임성율 ( Seong-ryul Lim ),김달영 ( Dal-young Kim ),한경호 ( Kyeong-ho Han ) 한국어류학회 2024 韓國魚類學會誌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대호만에 서식하는 빙어를 대상으로 초기생활사 특징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빙어의 난은 원형으로 물에 가라앉는 성질을 가진 점착란이었다. 성숙란의 크기는 0.52~0.66 (평균 0.59±0.03, n=30) mm였다. 부화 시간은 수온 22~23℃에서 140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 4.78~5.60 (평균 5.25±0.26, n=30) mm로 입과 항문이 완전히 열리지 않았다. 부화 후 7일째 전기자어는 전장 5.91~6.64 (6.32±0.21) mm로 입과 항문이 열렸고, 먹이활동을 시작하였다. 부화 후 25일째 중기자어는 전장 9.70~12.3(10.2±0.63) mm로 꼬리 끝 척추말단 부분이 위쪽으로 휘어지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42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4.1~18.8(16.9±1.44)mm로 꼬리 끝 척추말단 부분이 45°로 완전히 휘어졌다. 부화 후 56일째 전장 16.3~21.2 (20.0±1.14)mm로 등지느러미 10개, 뒷지느러미 16개, 배지느러미 7개, 꼬리지느러미 19개로 정수에 달하였다. 연구결과 부화 자어 시기 가슴지느러미 아래 반점모양의 흑색소포가 있는 점, 전장 대비 난황의 위치가 다른 점, 후기자어 시기에는 미병부 등 쪽과 몸통 아래쪽에 흑색소포가 침착된 점, 머리와 등지느러미 시작점사이 몸통에 흑색소포가 없는 점에서 구분되었다. 치어기에는 몸통 등 쪽에서 미병부까지 흑색소포가 1열로 침착된 점에서 근연종들과 구분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life history were investigated for the Hypomesus nipponensis in the west coast Daeho Bay. Egg’s were adhesive eggs that had the property of sinking in water in a circular shape. The size of mature eggs was 0.52~0.66 (average of 0.59±0.03, n=30) mm. The hatching time took 140 hours at a water temperature of 22~23℃. Immediately after hatching, the yolk sac larvae was 4.78~5.60 (average of 5.25±0.26, n=30) mm in total length, and the mouth and anus were not completely opened. On the 7 days after hatching, the preflexion larvae was 5.91~6.64 (6.32±0.21) mm in total length, and the mouth and anus were opened, and feeding activities were started. On the 25 days after hatching, the flexion larvae was 9.70~12.3 (10.2±0.63) mm in total length, and the end of the spine at the tail end began to bend upward. On the 42 days after hatching, the postflexion larvae was 14.1~18.8 (16.9±1.44) mm in total length, and the end of the spine at the tail was completely bent at 45°. On the 56 days after hatching, it reached the integer with 10 dorsal fins, 16 anal fins, 7 ventral fins, and 19 caudal fins.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were spot-shaped melanophore vesicles under the pectoral fins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the different positions of the egg yolk compared to the battlefield, the deposition of melanophore vesicles on the back and under the body of the caudal part during the postflexion larvae period, and the absence of melanophore vesicles on the torso between the head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dorsal fin. It was distinguished from related species in that melanophore vesicles were deposited in one row from the back of the body to the caudal part during the juvenile period.

      • KCI등재

        스텔렛 철갑상어 (Acipenser ruthenus)의 난 발생과 자치어 형태발달

        박재민 ( Jae Min Park ),윤성민 ( Seung Min Yoon ),서영석 ( Young Seok Seo ),한경호 ( Kyeong Ho Han ),유동재 ( Dong Jae Yoo ) 한국어류학회 2016 韓國魚類學會誌 Vol.28 No.3

        스텔렛 철갑상어 Acipenser ruthenus의 양식기술 개발 및 분류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기 위하여 난 발생 및 자치어 형태 발달을 조사하였다. 친어는 2005년 6월에 PVC 원형수조 (Ø 5m) 수온 16.0±1.0℃에서 성숙시킨 암수 1쌍을 사용하였다. 난은 타원형의 불투명한 침성 점착란으로 크기는 3.83~3.85 (3.84±0.01) mm (n=10)였다. 난 발생은 건식법으로 인공수정 시켰고, 수정 1시간 후에 배반이 형성, 수정 31시간 후에 낭배말기에 도달하였으며, 수정 82시간 (50%) 후에 부화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 10.1~10.3 (10.2±0.11) mm (n=10) 로 복부에 큰 난황을 달고 있었다. 부화 17일 후에는 전장 26.2~32.4 (29.3±4.39) mm (n=10)로 등지느러미 앞쪽이 11개의 굳비늘이 흔적 적으로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50일 후에는 전장 86.4~93.1 (89.8±4.71) mm (n=10)로 지느러미 기조가 모두 정수에 도달하여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To develop cultivation technique for Acipenser ruthenus and secure basic taxonomic materials, this study examined egg development and larva morphological development. This study used a couple of male and female broodstork matured in a PVC circle water tank (Ø 5 m) with the water temperature of 16.0±1.0 ℃ in June 2005. They were oval opaque and sinking cohesive eggs and the sizes of them were between 3.83~3.85 (3.84±0.01) mm (n=10). As for the egg development, the dry process was adopted with artificial insemination in this study, and an hour after the insemination, the embryo disks were developed, 31 hours after the insemination, they reached the end of gastrula stage, and 82 hours (50%) after the insemination, they were hatched. Right after the hatch, the total lengths of larvae were 10.1~10.3 (10.2±0.11) mm (n=10) with big yolks in the venter. 17 days after the hatch, the total lengths of them were 26.2~32.4 (29.3±4.39) mm (n=10) and in the front of a dorsal fin there were 11 scute scales that started to make tracing development. As 50 days after the hatch, the total lengths were 86.4~93.1 (89.8±4.71) mm (n=10), and fin rays all reached integer, they were moved to the larva apparatus.

      • KCI등재

        서해안 대호만에 서식하는 빙어 Hypomesus nipponensis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박재민,유동재,유정남,임성율,김달영,한경호,Jae-Min Park,Dong-Jae Yoo,Jeong-Nam Yu,Seong-Ryul Lim,Dal-Young Kim,Kyeong-Ho Han 한국어류학회 2024 韓國魚類學會誌 Vol.36 No.5

        본 연구에서는 서해안 대호만에 서식하는 빙어를 대상으로 초기생활사 특징을 규명하고자 실시하였다. 빙어의 난은 원형으로 물에 가라앉는 성질을 가진 점착란이었다. 성숙란의 크기는 0.52~0.66 (평균 0.59±0.03, n=30) mm였다. 부화 시간은 수온 22~23℃에서 140시간이 소요되었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 4.78~5.60 (평균 5.25±0.26, n=30) mm로 입과 항문이 완전히 열리지 않았다. 부화 후 7일째 전기자어는 전장 5.91~6.64 (6.32±0.21) mm로 입과 항문이 열렸고, 먹이활동을 시작하였다. 부화 후 25일째 중기자어는 전장 9.70~12.3(10.2±0.63) mm로 꼬리 끝 척추말단 부분이 위쪽으로 휘어지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42일째 후기자어는 전장 14.1~18.8(16.9±1.44) mm로 꼬리 끝 척추말단 부분이 45°로 완전히 휘어졌다. 부화 후 56일째 전장 16.3~21.2(20.0±1.14) mm로 등 지느러미 10개, 뒷지느러미 16개, 배지느러미 7개, 꼬리지느러미 19개로 정수에 달하였다. 연구결과 부화 자어 시기 가슴지느러미 아래 반점모양의 흑색소포가 있는 점, 전장 대비 난황의 위치가 다른 점, 후기자어 시기에는 미병부 등 쪽과 몸통 아래쪽에 흑색소포가 침착된 점, 머리와 등지느러미 시작점 사이 몸통에 흑색소포가 없는 점에서 구분되었다. 치어기에는 몸통 등 쪽에서 미병부까지 흑색소포가 1열로 침착된 점에서 근연종들과 구분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y life history were investigated for the Hypomesus nipponensis in the west coast Daeho Bay. Egg's were adhesive eggs that had the property of sinking in water in a circular shape. The size of mature eggs was 0.52~0.66 (average of 0.59±0.03, n=30) mm. The hatching time took 140 hours at a water temperature of 22~23℃. Immediately after hatching, the yolk sac larvae was 4.78~5.60 (average of 5.25±0.26, n=30) mm in total length, and the mouth and anus were not completely opened. On the 7 days after hatching, the preflexion larvae was 5.91~6.64 (6.32±0.21) mm in total length, and the mouth and anus were opened, and feeding activities were started. On the 25 days after hatching, the flexion larvae was 9.70~12.3 (10.2±0.63) mm in total length, and the end of the spine at the tail end began to bend upward. On the 42 days after hatching, the postflexion larvae was 14.1~18.8 (16.9±1.44) mm in total length, and the end of the spine at the tail was completely bent at 45°. On the 56 days after hatching, it reached the integer with 10 dorsal fins, 16 anal fins, 7 ventral fins, and 19 caudal fins. According to the study, there were spot-shaped melanophore vesicles under the pectoral fins during the incubation period, the different positions of the egg yolk compared to the battlefield, the deposition of melanophore vesicles on the back and under the body of the caudal part during the postflexion larvae period, and the absence of melanophore vesicles on the torso between the head and the starting point of the dorsal fin. It was distinguished from related species in that melanophore vesicles were deposited in one row from the back of the body to the caudal part during the juvenile period.

      • 순천만에 분포하는 개소겡(Taenioides rubicundus)의 서식 및 산란

        박상언(Sang Un PARK),이성훈(Sung Hoon LEE),유동재(Dong Jae YOO),김춘철(Chun Chel KIM),황재호(Jae Ho HWANG),연인호(In Ho YEON),한경호(Kyeong Ho HAN)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07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16 No.-

        전라남도 순천만에서 2004년 3월부터 2005년 3월까지 개소겡의 서식생태와 산란에 관하여 기초자료를 얻었다. 개소겡의 서식지 수온의 년평균은 최저 6.30℃였고, 최고 29.28℃였으며, 염분은 년평균 최저 18.20‰이였고, 최고 30.48‰이였다. 개소겡의 서식지는 저질이 펄질인 연안으로서 저질의 입도는 사질(Sand) 입자가 7.0%, 실트질(Silt)입자 53.5%, 점토질(Clay) 입자 39.5%로 이루어져 있었고, 개소겡은 이곳에서 5~8개의 굴을 파서 살고 있었다. 수컷의 생식소 중량지수는 서서히 증가하는데 반하여 암컷의 생식소 중량지수는 5월에 접어들면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하여 5월 중순에 최고값을 기록하였으며, 6월 초에는 다소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보아 5~7월이 산란기임을 알 수 있었다. 개소겡 난소내의 난수는 1만 9천개~2만 1천 정도이며, 난경의 4월 평균 0.34mm에서 산란기인 6월에는 평균 0.74mm로 난소의 크기에 비례하여 알의 크기가 커지고 있었다. 개소겡의 서식지 크기는 평균 122cm였고, 입구의 넓이가 3~4cm인 굴을 5~8개 뚫으며, 서식굴의 안쪽 벽에 3,000~4,000개의 알을 낳아 수컷이 보호하였다. The habitat and spawning of the green eel goby, Taenioides rubicundus were studied in the mud flat of the Sunchun bay, Jeollanam-do. Maximum and minimum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in the habitat were 29.28℃, 6.30℃, and 30.48‰, 18.20‰, respectively. Green eel goby is living in 5 to 8 caves in coastal mud consisting of sand(7.0%), silt(53.5%), and clay(39.5%). Gonadosomatic index in male was increased slowly, but gonadosomatic index in female was rapidly increased in May and reached to the highest record in the middle of May, and turned to decrease in the beginning of June. Therefore, it was speculated that May is the spawning season for green eel goby. The number of eggs in ovary was 19,000 to 21,000, the diameter of egg was 0.34mm in April and 0.74mm in June. The diameter was bigger together with the size of ovary. Depth in the cave was average 122cm, width of entrance was 3~4cm, and male green eel goby keeps 3,000~4,000 eggs in inside of cave.

      • KCI등재

        꺽지(Coreoperca herzi) 자치어의 골격발달

        한경호 ( Kyeong Ho Han ),박준택 ( Jun Taek Park ),진동수 ( Dong Soo Jin ),유동재 ( Dong Jae Yoo ),박재민 ( Jae Min Park ) 한국어류학회 2017 韓國魚類學會誌 Vol.29 No.1

        2010년 5월 사육 중인 친어로부터 자연산란 된 수정란을 관리하던 중 부화된 자치어를 사육하면서 발육단계에 따른 골격발달과정을 관찰하였다. 부화 직후의 전기자어는 평균전장 6.85±0.63 mm (n=5)로 전상악골과 치골이 골화하였고, 두개골에는 부설골이 골화하였으며, 추체와 미골부는 골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부화 2~3일 후 평균전장 7.25±0.28 mm (n=5)일 때 전기자어는 주상악골, 관절골이 골화하였고, 설궁부의 상설골과 새조골이 골화하였다. 척추골은 꼬리방향으로 골화하기 시작하였고, 골화된 척추골의 위쪽에는 신경극이 골화하기 시작하였다. 부화 6일 후 평균전장 9.00±1.53mm (n=5)일 때 후기자어는 두개골에 측사골, 익설골, 노정골 등이 골화하였고, 미골은 미부봉상골이 상단부로 45° 휘면서 골화하였다. 부화 40일 후 평균전장 23.3±0.28 mm (n=5)일 때 후기자어는 두개골에 중사골, 구개부에 내익상골, 외익상골 등이 골화하였다. 부화 120일 후 평균전장 37.5±2.83mm (n=5)일 때 치어는 미골은 1개의 상미축골이 추가로 골화되면서 총 3개의 상미축골이 골화하면서 모든 골편들의 골화가 완성되었다. Samples were obtained from broodstok in May, 2010, while naturally fertilized embryos were maintained, and the process of skeletal development was observed from larvae and juvenile. Prelarvae immediately after hatching showed an average total length of 6.85±0.63 mm (n=5), Premaxillary and dentary were ossified, parasphenoid was ossified in the cranium, and centrum and caudal bone did not ossify. Prelarvae showed ossification with maxillary, articular, and epihyal, and branchiostegal rays of hyoid arch were ossified at 2 to 3 days after hatching with an average total length of 7.25±0.28 mm (n=5). The vertebrae began to ossify in the direction of the tail, and neural spine began to ossify above the ossified vertebra. Postlarvae showed ossification of lateral ethmoid, alisphenoid, parietal, and caudal skeleton in the cranium when the average total length was 9.00±1.53 mm (n=5) in 6 days after hatching. At 40 days after hatching, postlarvae ossified maxillary in the cranium, and ossified endopterygoid and ectopterygoid, etc. in the palate, when the average length of 23.3±0.28 mm (n=5). At 120 days after hatching, with the average length was 37.5±2.83 mm (n=5), caudal skeleton had one additional epural bone ossification, resulting in ossification of a total of 3 epural bone to complete ossification of all spicules.

      • 개소겡(Taenioides rubicundus)의 난발생 및 자어의 형태

        박상언(Sang Un Park),이성훈(Sung Hoon Lee),유동재(Dong Jae Yoo),황재호(Jae Ho Hwang),연인호(In Ho Yeon),민재원(Jae Won Min),한경호(Kyeong Ho Han) 전남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2011 수산과학연구소논문집 Vol.19 No.-

        이 연구는 2004년 7월과 2005년 7월에, 전라남도 순천만에서 자연 산란된 수정 난을 직접 채집한 후,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난 발생 과정 및 부화한 자어의 형태를 관찰하였다. 수정란은 수정 후 20분까지는 무색투명한 구형이지만, 수정 후 25분부터는 전구모양(타원형)으로 변하기 시작하여 수정 후 5시간 30분, 상실기에는 장경이 2.29~2.57㎜(평균 2.46㎜), 단경이 0.71~0.85㎜(평균 0.77㎜)였다. 난막의 기부에는 많은 부착사가 있어서 부착하는 분리 부착란으로 여러 개의 작은 유구를 가지고 있었다. 수정 후 1시간 4분에 배반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수정 후 1시간 47분에 2세포기에 달하였다. 수정 후 16시간 30분에 배체가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부화는 수온 18.4~23.2℃(평균 21.2℃)에서 수정 후 82시간에 시작하였다. 부화 직후 자어는 전장이 2.09~2.24㎜(평균 2.17㎜)였고, 부화 5일째 자어는 전장이 3.86~4.17㎜(평균 4.00㎜)였다. The eggs of Taenioides rubicundus were collected at Sunchun Bay, Jeollanam-do in the July 2004, 2005, and were carried to the laboratory to observe the early development of egg and Larva. Colorless and transparent eggs were spherical at 20 mins after fertilization but the shape changed to an oval at 25 mins after fertilization. The blastodisc began to form at 1 hr 4 mins after fertilization. The diameter was 2.29~2.57×0.71~0.85 mm (mean 2.46×0.77 mm) at 5 hrs 30 mins after fertilization. Embryo formation appeared at 16 hrs 30 mins after fertilization. Hatching was observed at 82 hours after fertilization at 18.4~23.2℃ (mean 21. ℃). The newly-hatched larvae, showing opened mouth and closed anus, were 2.09~2.24 mm (mean 2.17 mm) in total length.

      • KCI등재

        줄가자미 Clidoderma asperrimum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

        정주학 ( Joo-hak Jung ),서영석 ( Young-seok Seo ),김진각 ( Jin-gak Kim ),문성준 ( Seong-jun Mun ),유동재 ( Dong-jae Yoo ),박재민 ( Jae-min Park ) 한국어류학회 2022 韓國魚類學會誌 Vol.34 No.2

        줄가자미의 난발생 및 자치어 형태발달을 관찰하여 종자생산 및 분류학적 연구의 기초자료로 이용하고자 한다. 2017~2018년까지 동해안에서 어미를 채집하여 원형수조 (Ø 6×1 m) 수온 12.8±1.9℃에서 사육하였다. 수정란의 크기는 1.42~1.59mm (평균±SD, 1.51±0.04 mm, n=50)였고, 난의 형태는 구형의 무색 투명한 분리부성란이었다. 난발생 과정은 수정 60분 후 난황과 난막이 분리되었고, 62시간 후 배체가 형성되었다. 수정 144시간 후 전체의 50% 이상이 부화가 완료되었다. 부화 직후의 자어는 전장 4.22~4.64mm(4.53±0.16 mm, n=10)로 입과 항문은 열리지 않았고, 부화 후 10일째 전기자어는 전장 5.88~6.62mm(6.31±0.33 mm, n=10)로 난황 흡수가 완료되고, 입이 열리기 시작하였다. 부화 후 55일째 중기자어는 전장10.4~13.3mm(12.7±1.3 mm, n=10)로 척추말단 끝부분은 휘어졌다. 부화 후 120일째는 전장 35.3~40.5mm(39.5±2.4mm, n=10)였고, 각 지느러미 기조 수는 등지느러미 79~94개, 뒷지느러미 63~75개로 정수에 달하면서 치어기로 이행하였다. Egg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nge of larvae and juvenile of the Roughscale sole, Clidoderma asperrimum,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t study. Adult fishes were collected on the East Sea, Korea, from 2017 to 2018 and reared in a circular water tank (Ø 6×1 m) at water temperature of 12.8±1.9℃. Fertilized eggs ranged from 1.42 to 1.59 mm (mean 1.51±0.04 mm, n=50) in diameter. The eggs were spherical in shape, transparent, floating and colorless. The egg yolk was separated from the egg membrane 60 mins post-fertilization (PF), and an embryo was formed in 62 hrs PF. More than 50% of the eggs hatched within 144 hrs PF in the range of 10.2~11°C (mean 10.8℃). The size of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4.22~4.64 mm (mean 4.53±0.16 mm) in total length (TL), their mouth and anus were not open yet. At 10 days after hatching, the preflexion larvae reached 5.88~6.62 mm (mean 6.31±0.33 mm) in TL, and the yolk absorption was completed and the mouth began to open. At 55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reached to flexion larvae stage and they were 10.4~13.3 mm (mean 12.7±1.3 mm) in TL, and the tip of notochord was bent upward. At 120 days after hatching the larvae reached to juvenile stage and they were 35.3~40.5 mm (mean 39.5±2.4 mm) in TL. Their all fins had completed set of the fin-rays (D. 79~94: A. 63~75) and the juveniles adopted a benthic lif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