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경북 내륙지역 모심는소리의 리듬구조와 선율구조

        유대안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3 No.-

        This study investigates musical characteristics by examining rhythmic structure and melodic structure of songs for planting rice seedlings being distributed in Kyungbuk inland province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8 songs for planting rice seedlings of 6 districts being distributed along by Nakdong river with a plentiful supply of water in Kyungbuk inland provinces. These provinces can be divided into three ones as follows; Andong Jeojeon Nongyo, Yecheon Tongmyeong Nongyo, and Yecheon Gongcheo Nongyo of the upriver districts, Sangju Chosan Minyo and Gumi Balgaengi Deulsori of the middle river districts, and Dalseong Habin Deulsori, Daegu Gongsan Nongyo, and Jain Gyejeong Deulsori of the lower river district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m, it was clear musical distinction among three districts. For the tempo and beat in relation to rhythmic structure, 3 small beat and 4 beat of =66~114, or combined small beat of 3 small beat+2 small beat 2 beat was occasionally found in songs for planting rice seedlings of the upriver districts. Songs for planting rice seedlings of the upriver districts being composed by mainly free rhythm have various beats, but basically correspond to the Jajinmodi Gangdan in the system of tempo and beat. Very slow 3 small beat 2 beat or 3 beat of =38~54 and regular Gutgeori Gangdan of 3 small beat 4 beat was found in the middle river districts. Very irregular beat as follows; 2 small beat 6 beat, 8 beat, 9 beat, 12 beat, 13 beat, and so on was found in the lower river districts. On the other hand regular beat of Jungmori Gangdan with 2 small beat 12 beat sometimes was found. For the melodic structure of each districts, Andong Jeojeon Nongyo songs for planting rice seedlings of the upriver districts are a two-note scale with going up by ‘do’ from starting by ‘ra’. And a down melody is a pentatonic scale stopping as ‘ra’ like ‘sol-mi-re’ and ‘mi-re-do-ra’. Songs for planting rice seedlings of the upriver districts and middle river districts mainly appear three-note scale or four-note scale with going up by ‘mi-ra-do’ or ‘mi-sol-ra-do’, and a pentatonic scale stopping as ‘mi’ going down by ‘re-do-ra-sol-mi’. Songs for planting rice seedlings of the lower river districts go up by ‘ra-do’ or ‘ra-do-re’, and go down as ‘mi’ going down by ‘re-do-ra-sol-mi’ like the middle river districts. As things turned out, we know that songs for planting rice seedlings among these three districts have clearly different characteristics musically. Scale of these all districts is charactered by Jeongja sori of Menaritori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folk song of east districts. But for the melodic structure, songs for planting rice seedlings of the upriver districts clearly appear original form and nature, on the other hand we can know a similar melodic structure and adding to artificial elements both middle river districts and lower river districts. Also for the rhythmic structure, we can know that songs for planting rice seedlings of the upriver districts have free the system of rhythm without fixing but ones of the middle river districts and lower river districts have fixed system of rhythm gradually. This can be analyzed as songs for planting rice seedlings distributing in the districts among the mountains of the upriver districts have stronger local customs than ones of the middle river districts and lower river districts. 이 연구는 경북 내륙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모심는소리의 리듬구조와 선율구조를 고찰하여 음악적 특성을 규명한 논문이다. 경북 내륙지역의 수량이 풍부한 낙동강 물줄기를 따라 분포되어 있는 6지역 8개 모심는소리가 그 대상이다. 이들 지역을 세 지역으로 구분하여 낙동강 상류지역의 안동저전농요, 예천통명농요, 예천공처농요, 중류지역의 상주초산민요, 구미발갱이들소리, 하류지역의 달성하빈들소리, 대구공산농요, 자인계정들소리로 구분하여 고찰해 본 결과, 세 지역 간에는 음악적인 변별성이 뚜렷하였다. 리듬구조와 관계되는 속도와 박에 있어서 상류지역의 모심는소리는 =66~114의 3소박 3박, 4박 또는 3소박+2소박 2박의 혼소박이 나타나기도 한다. 주로 자유로운 리듬으로 구성되어 있는 상류지역 모심는소리는 여러 박이 존재하만 빠르기와 장단의 체계는 기본적으로 자진모리장단에 상응한다. 중류지역에는 매우 느린 =38~54의 3소박 2박 또는 3박으로 박과 규칙적인 3소박 4박의 굿거리장단이 나타난다. 하류지역에는 ♩=76~84의 2소박 6박, 8박, 9박, 12박, 13박 등 매우 불규칙한 박을 지니고 있는 반면, 2소박 12박으로 중모리장단의 규칙적인 박에 속하는 경우도 있다. 각 지역의 선율구조에 있어서 상류지역의 안동저전농요 모심는소리는 ‘라’에서 시작하여 ‘도’로 상행하는 2음 음계이며, 하행선율은 ‘솔-미-레’와 ‘미-레-도-라’로 ‘라’로 종지하는 5음 음계이다. ‘솔-미-레’의 ‘레’로 끝나는 종지 형태에서는 서도민요의 수심가토리가 일시적으로 나타나며, 나머지 두 개의 상류지역 모심는소리와 중류지역 모심는소리는 ‘미-라-도’ 또는 ‘미-솔-라-도’로 상행하는 3음 또는 4음 음계와 ‘레-도-라-솔-미’로 하행하여 ‘미’로 종지하는 5음 음계가 주류를 이룬다. 하류지역에는 ‘라-도’ 또는 ‘라-도-레’로 상행하여 중류의 경우처럼 ‘레-도-라-솔-미’로 하행하여 ‘미’로 종지한다. 결과적으로 이들 세 지역 간의 모심는소리는 음악적으로 명확히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음계는 상․중․하류 세 지역 모두 동부민요의 특성에 따른 메나리토리로 특징지어진다. 그러나 선율구조에 있어서 낙동강 상류지역의 모심는소리는 본래의 형질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는 반면 중․하류지역에서는 서로 간에 선율구조가 비슷하기도 하며 인위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리듬구조 역시 낙동강 상류지역 모심는소리는 고정되지 않은 자유로운 리듬체계를 가지지만 중․하류지역에서는 점차 정형화된 리듬체계의 속성이 보인다. 이것은 상류지역의 산간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모심는소리가 중류지역이나 하류지역 모심는소리보다 토속성이 더 강하다는 의미로 해석되어 진다.

      • KCI등재

        경북 민요의 성격과 전승실태 - 경북 중남부지역 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

        유대안 한국민요학회 2016 한국민요학 Vol.48 No.-

        This thesis treated characteristics of folk songs and the reality of their transmission that we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the middle and southern Gyeongbuk area. Folk songs to research include Sangju folk song, GumiBalgaengiDeulsori, DalseongHabinDeulsori, GongsanNongyo and JainGyejeongDeulsori from five areas in the Nakdong basin from Sangju to Gyeongsan in the middle and southern Gyeongbuk area. It has been about ten to thirty-five years since the folk songs were designated as municipal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the current situation is gradually changing. Folk songs in five regions are all characterized by agricultural labor song. These regions are plains alongside the Nakdong River in which rice-field farming is well developed with JeongjaSori dominating. Added to it are laboring song, entertaining song, ritual song and deploring song making the course between six to eleven. The course of agricultural song in each area is peculiar or differentiated from other agricultural songs. As for Soris in Gumi, Habin, Daegu and Jain area, JeongjaSori as well as laboring song and other Soris show a similar process and musical flow. Therefore even the same realm of Menaritori is divided into Sangju and lower Gumi with the characteristics confronting. Presently, the reality of transmission of folk songs in these areas are not such optimistic. Apparently the aging and death of transmitters, the changing environment in rural communities and the decrease of rural population bring difficulty in securing transmitters. The transmitting areas have already shown their regional limitations, requiring expansion of transmitting area and alternatives to securing transmitters. Internally the values, transmitting will and interrelationship of the communities to which transmitters belong have considerable effect on transmitting activity. It should be based on the correct recognition of transmitters on folk songs and the trust between transmitters and transmittees.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ystematic transmission education system and to operate more professional and practical transmission offices according to each preservation society. Pursuit of new form of performance, getting out of the form of folk song performance that is reiterated daily, comes to interpre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exploits the infinite possibility and ways of living. We can create a new style and value for contemporary modern people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al heritage. Now together with preserving and transmitting thing of the past, we should be able to enjoy a better life by creating a new culture. Now that folk songs are designated as intangible cultural assets, it is time to complement problems made and to be made and to prepare ountermeasures as the existing situation of transmission has changed. 이 논문은 경북 중남부지역 무형문화재 민요의 성격과 전승실태를 다룬 글이다. 대상 민요는 경북 중남부 낙동강 유역의 상주지역으로부터 경산지역에 이르기까지 상주민요를 비롯하여 구미발갱이들소리, 달성하빈들소리, 공산농요, 자인계정들소리 다섯 지역 소리다. 이들 민요는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지 대략 10년에서 35년 정도 지난 지금의 주변상황이 지정될 당시와 사뭇 달라져 있다. 다섯 지역 민요는 모두 농업노동요에 해당된다. 이들 지역은 낙동강을 낀 평야지대로 논농사가 발달되어 정자소리가 주를 이룬다. 여기에 작업노동요, 유흥요, 의식요, 한탄요 등이 첨가되어 6개에서 11개의 소리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농요는 과정이 특별하거나 특이한 노래로 구성되어 다른 농요와 차별성을 띤다. 구미, 하빈, 대구, 자인지역의 정자소리를 비롯한 작업노동요와 기타 소리들은 과정과 음악적 흐름이 비슷하여 같은 메나리토리권역 내에서도 상주지역과 구미 아래쪽 지역으로 양분되고 성격이 서로 대립되는 양상을 보인다. 오늘날 지역의 민요 전승 상황은 그리 낙관적이지 않다. 외적으로, 전승자들의 고령화와 사망, 농촌 환경의 변화와 농촌 인구 감소는 전승자 확충에 큰 어려움을 겪는다. 전승지역에서 전승의 문제점이 드러난 만큼 전승지 확대와 전승인력 확충에 대안이 필요하다. 내적으로, 전수자들이 속한 지역 공동체의 가치관과 전수의지, 전수하는 사람과 전수받는 사람간의 관계 등이 전수활동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다. 지역 민요에 대한 전수자들의 올바른 인식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전승교육 시스템 도입과 효과적인 전수관 운영이 필요하다. 문화재로서 매번 동일하게 반복해야 하는 공연형태를 새롭게 시도하는 것은 민요에 대한 무한한 가능성과 민요 공연의 새로운 활로를 열 수 있다. 오늘날 현대인은 전통적 문화유산을 보존하고 전승하는 것과 함께 이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양식과 가치를 창출하여 보다 높은 문화적 삶을 향수할 수 있어야 한다. 민요가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후 어느 정도 시간이 경과된 지금은 기존의 전승현장 상황이 바뀌어 발생된 문제점을 비롯하여 앞으로 발생될 문제점을 보완하고 새로운 활로를 마련하는 등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 KCI등재

        1896년 헐버트 채보 <아라릉(A-ra-rúng)>과 플레처 채록 <아라랑(Ar-ra-rang)>의 실상과 음악양상

        유대안 한국민요학회 2015 한국민요학 Vol.44 No.-

        In 1896, Hulbert transferred score ‘A-ra-rúng’ and Fletch recorded music ‘Ar-ra-rang’ are the same, Gu Arirang. these two resources have so far been known the longest score and sound source of Arirang. Hulbert, in his writing, showed a special interest in A-ra-rúng, 'Ha Ch'i or popular style It means that songs of general public were also sung in court, impromptu narration could be added to a melody infinitely to be sung, it is the most popular song among Korean as much as rice is important in a meal, and the poetic emotion inherent in the narration is better than Western one. Hulbert transferred 16 bars in two part form that are composed of choral section of Arirang verse and the solo section of narration from A-ra-rúng score. Fletch recorded three tunes of Arirang. Ar-ra-rang(1) was sung by Jeongsik An and Son Yang, taking 1 minute and 32 seconds. Ar-ra-rang(2) was wrongly recorded. Ar-ra-rang(3) was sung by Jeongsik An and Heuicheol Lee, taking 1 minute and 25 seconds. Music of Hulbert and Fletcher must be the same, considering the melody, type of notes and cadence in the music. The difference is turning the same note succession into second conjunct succession or using passing note instead of disjunct at least. Ornament grace is different according to singers and at the beginning part of main verse, Fletcher’s music starts with vowing type and lifting type, compared to Hulbert's music. This difference is the impromptu element just added in the way of singing folk music. Comparison of the corresponding parts showed that three tunes have all the same two part form, A(a+b)+B(c+b). As a result, Hulbert transferred score A-ra-rúng and Fletcher recorded music Ar-ra-rang are the same. Gu Arirang is Gyeonggi-jajin-Arirang that the Jeongseon Arirang of Gangwondo Arari in Gangwon area is changed into the grammar of this region, as it is flowed into Gyeonggi province due to the restoration of Gyeongbokgung at the end of Joseon era. In other words, Gu Arirang is one that was very popular in Gyeonggi region, after Jeongseon Arirang was changed to fulfill the taste of Gyeonggi people in terms of the frame of music(form), rhythm(beat), Tori(tonality) and tune(melody). 1896년 헐버트는 경기지역에 유행하던 아리랑을 The Korean Repository에 소개하고 악보로 옮겼다. 공교롭게도 같은 해 플레처는 워싱턴DC에서 유학중인 조선인 학생의 아리랑을 녹음했다. 지금까지 두 자료는 가장 오래된 아리랑 악보와 음원으로 알려져 있는데 본고는 이것에 대한 실상과 음악양상을 다룬 것이다. 헐버트는 한국인의 관점에서 한국음악을 볼 것을 강조하고 근본적으로 한국음악이 서양음악과 다름을 명시하고 우수성을 적극 옹호했다. 그는 한국 성악곡을 ‘시조 또는 정악’, ‘하치(Ha Ch'i) 또는 대중적인 양식’, ‘정악과 하치의 중간양식’의 세 부류로 나누어 설명했는데 그 중 대중적인 양식의 <아라릉(A-ra-rúng)>에 대해 특별한 관심을 보였다. 그것은 일반 대중의 노래가 궁궐에서도 불리어졌다는 것, 하나의 선율에 즉흥적인 사설을 무한히 얹어 부를 수 있다는 것, 한국인에게 가장 인기 있는 노래로 음식에서 밥과 같이 중요한 노래라는 것, 사설에 내재되어 있는 시적 정서가 서양의 것보다 월등하다는 것 등을 피력했다. 헐버트는 <아라릉>을 채보하면서 아리랑절의 합창부분과 사설의 독창부분으로 된 두도막형식의 16마디를 옮겼다. 플레처는 세 곡의 아리랑을 원통형 음반에 녹음했다. <아라랑(Ar-ra-rang)(1)>은 안정식과 양손이 불렀고 1분 32초가 걸렸다. <아라랑(Ar-ra-rang)(2)>는 잘못 녹음된 것이며, <아라랑(Ar-ra-rang)(3)>은 안정식과 이희철이 불렀고 1분 25초가 소요되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헐버트의 <아라릉>과 플레처의 <아라랑(Ar-ra-rang)(1)>, <아라랑(Ar-ra-rang)(3)>의 세 곡에 대한 음악적 양상을 비교․분석했다. 헐버트의 곡과 플레처의 곡은 선율과 음형, 종지 등을 보아 같은 곡임을 알 수 있었다. 선율의 동음 진행을 2도 순차 진행하거나 도약 대신 경과음을 사용하는 정도이다. 가창자에 따라 약간의 시김새가 차이가 나며 본절이 시작되는 부분에서는 헐버트의 곡에 비해 플레처의 곡에서는 숙이는 형과 드는 형으로 시작하는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차이는 민요 가창방식에서 즉흥적 요소가 가미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형식은 대응되는 부분을 비교했을 때 세 곡 모두 동일한 A(a+b)+B(c+b)의 두도막형식에 해당된다. 결과적으로 헐버트 채보 <아라릉>과 플레처 채록 <아라랑>은 동일한 <구아리랑>이다. <구아리랑>은 조선 말기 경복궁 중수로 강원지역 <강원도아리리>의 <정선아리랑>이 경기지방에 유입되면서 이 지역 어법으로 바뀐 <경기자진아리랑>이다. 즉 <구아리랑>은 <정선아리랑>에서 음악의 틀(형식) 외에 장단(박)과 토리(조), 그리고 가락(선율)에 이르기까지 경기지역 사람들의 대중적 기호에 맞게 변화되어 경기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유행한 아리랑이었다. 비록 오늘날에는 더 이상 <구아리랑>을 부르지 않지만 아리랑의 모체인 <정선아리랑>과 현재 널리 확산되어 있는 <신아리랑> 중간에 위치했던 아리랑으로 아리랑사에서 커다란 중요성을 갖는다.

      • KCI등재

        대구아리랑의 음악양상

        유대안 한국민요학회 2017 한국민요학 Vol.51 No.-

        Main task of this study is musical analysis of traditional Arirang which spread to Daegu, an inland city of Yeongnam area, and musical activity. Most Arirangs in Yeongnam area excluding Miryang Arirang has the same characteristics of scale and rhythm as Arari in Gangwon-do. Gangwon area and Yeongnam area belonging to the same sphere of folk song did not have the necessity of transformation of prototype when Arari entered Yeongnam area. For this reason, Arirang in Yeongnam area could not overcome the stronghold of Arari in Gangwon-do, and faded away after all as it could not secure the representativeness as a regional Arirang. At the time when popular song Arirang was spread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rirang was created based on the region and became popular. At this time, Arirang, which contains local sentiments, was recorded in Daegu and it was called Daegu Arirang sung by Choi Gye-ran in 1936. At that time, Daegu Arirang was popular enough to publish albums twice. Another source is ‘Arari,’ recorded in 1983 by the voice of Choi Yang-hwan. The two songs show a clear difference in music form, but are the same as the line of Gangwon-do Arirang, except for some melodic progression and Sigimsae. This song is very similar to Gangwon-do Arirang in terms of its Eotmori rhythm, characteristics of Menaritori scale and musical flow. Nonetheless, Daegu Arirang is the Arirang representing the region based on its musical characteristics, the local color of Saseol, and the traditionality of Arirang. Though from this time Daegu Arirang needs reinterpretation and attention, and it should be widely spread and loved by local people. Recently through musical activity of Daegu Arirang, folk song singer Jeong Eun-ha has been leading the effort to spread Daegu Arirang by singing it or as an organizer of its festival. This writer as a composer have been focusing on converting Daegu Arirang into another genre and developing and distributing it as new contents. This attempt is very worthwhile of another regional Arirang movement. 본 연구는 대구지역에 전파된 대구아리랑의 음악양상을 파악하는 것이 주된 과제이며 이 아리랑의 콘텐츠 개발에 따른 음악하기가 부수적인 관심사이다. 밀양아리랑을 제외한 영남지역 대부분의 아리랑은 강원도아라리와 동일한 음계적 특성과 장단을 갖는다. 강원지역과 영남지역이 같은 민요권역으로 아라리가 영남지역에 유입될 때 원형변형의 필요성을 가지지 못했다. 이러한 이유로 영남지역 아리랑은 강원도아라리의 아성을 넘어설 수 없었고 지역 아리랑으로 대표성을 담보하지 못해 결국 소멸되고 말았다. 일제강점기 때 유행가아리랑이 확산되던 무렵 지방에서는 지역을 토대로 아리랑이 만들어졌고 유행되었다. 이 시기에 대구에서도 지역의 정서를 담은 아리랑이 음반에 취입되었는데 1936년 최계란이 부른 ‘대구아리랑’이다. 당시 대구아리랑은 두 차례 음반 발행을 할 정도로 인기가 있었다. 또 하나의 음원은 1983년 최양환의 소리로 녹음된 ‘아라리’이다. 두 곡은 음악형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만 몇몇 선율진행과 시김새를 제외하면 두 곡은 동일한 강원도아리랑 계통의 곡이다. 이 곡은 엇모리장단, 메나리토리의 음계적 특성, 그리고 음악적 흐름 등이 강원도아리랑과 매우 닮아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구아리랑은 음악적 특성과 사설의 향토성, 그리고 아리랑의 전통성 등의 근거로 이 지역을 대표하는 아리랑이 된다. 지금부터라도 대구아리랑에 대한 재해석과 관심이 요구되며 지역 사람들에게 널리 확산되고 사랑받는 아리랑이 되어야 한다. 최근 대구아리랑의 음악하기를 통해 민요 가창자 정은하는 대구아리랑을 부르거나 대구아리랑축제 때 축제의 주최자로서 이것을 보급하는 일에 앞장서고 있다. 또 필자는 작곡가로서 대구아리랑을 다른 장르로 변환시키고 새로운 콘텐츠로 개발하여 보급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이러한 시도는 또 하나의 지역 아리랑운동으로써 매우 가치가 있다.

      • KCI등재

        <영천아리랑>의 귀환과 그 전개 양상

        유대안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60 No.-

        <Yeongcheon Arirang> was known to South Korean society on full-scale after it rang at the dinner table of the Pyongyang Inter-Korean Summit in 2000. Until then, South Korea had not properly recognized the existence of the Arirang. <Yeongcheon Arirang> appeared to have disappeared in South Korea, but it was popular with North Koreans and Korean-Chinese in Yanbian. <Yeongcheon Arirang> was spread to Heilongjiang Province in China when people from Yeongcheon region moved the a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is Arirang was transformed into Gyeonggi Tori to be used as a war song for the Manchurian independence army, and introduced into North Korea, where it derived two variants of <Yeongcheon Arirang> consisting of Yangsando Jangdan and Eotmori Jangdan. This Arirang returned after half a century, but people in its hometown could not but be confused by the transformed version of <Yeongcheon Arirang>. In addition, the existence of Arirang has been seriously denied recently. Transcription and analysis of <Yeongcheon Arirang> which was sung by an ancient senior from Yeongcheon convinced that it is an old version of <Youngcheon Arirang> before diaspora. Since the mountainous region of Gyeongsang-do is the same Menaritori area as Gangwon-do, it has the same musical characteristics as the Eotmori Jangdan and Menaritori of <Gangwon-do Arari>. However, <Yeongcheon Arirang> which has been popular in Yanbian and North Korea, is the so-called 'Yangsando Jangdan <Yeongcheon Arirang>' in which the Eotmori Jangdan is changed to Yangsando Jangdan with the Menaritori maintained, and the other is 'Eotmori Jangdan <Yeongcheon Arirang>' in which the Menaritori is changed to Gyeonggitori with the Eotmori maintained.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atterns of these Arirangs and identifies that those were derived from Yeongcheon area. This is to wipe out the misunderstanding of the existence of <Youngcheon Arirang>, which has disappeared for a while, and to secure an identity. <영천아리랑>은 2000년 평양 남북정상회담 만찬장에 울려 퍼진 후 본격적으로 남한 사회에 알려졌다. 그전까지만 해도 남한에서는 이 아리랑의 존재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했다. 남한에서는 <영천아리랑>이 소멸된 것으로 보았으나 북한과 연변지역 조선족에게서는 인기리에 불리고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영천지역 사람들이 중국 흑룡강성지역으로 이주하면서 <영천아리랑>이 그곳에 전파되었다. 이 아리랑은 경기토리로 형질이 변형되어 만주 독립군의 군가로 사용되었고 북한으로 유입되었는데 양산도장단과 엇모리장단으로 된 두 개의 변종 <영천아리랑>을 파생시켰다. 반세기 후 이 아리랑이 남쪽으로 귀환했으나 고향에서는 바뀐 <영천아리랑> 모습에 당황할 수밖에 없었다. 여기에 더하여 최근 이 아리랑의 존재성이 심각하게 부정되고 있다. 필자는 영천 출신 고로가 부른 <영천아리랑>을 채보하여 분석해 본 결과 디아스포라가 되기 이전 고형의 <영천아리랑>임을 확신할 수 있었다. 경상도 산간지역은 강원도와 동일한 메나리토리 권역이므로 <강원도아라리>의 엇모리장단과 메나리토리와 같은 음악적 특성을 갖는다. 그러나 연변지역과 북한에서 유행한 <영천아리랑>은 메나리토리를 그대로 두고 엇모리장단이 양산도장단으로 바뀐 이른바 ‘양산도장단 <영천아리랑>’이며, 또 하나는 엇모리장단을 유지하고 메나리토리가 경기토리로 바뀐 ‘엇모리장단 <영천아리랑>’이다. 또 이 둘을 합친 형태의 <영천아리랑>도 있는데 모두 변종이다. 본 연구는 이들 아리랑의 양상을 살피고 영천지역에서 파생된 아리랑임을 규명한다. 이것은 한동안 사라진 <영천아리랑>의 존재에 관한 오해를 불식시키고 정체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