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남 대흥사 삼세불상의 복장 유물 연구

        유근자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7 南道文化硏究 Vol.0 No.33

        The wooden Three Buddha Statues enshrined in the Main Buddha Hall (大雄殿) of the Daeheungsa Temple in Haenam, Korea, were opened on May 29, 2013. This was just before they were scheduled to be repaired and gilded (gold). The author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he relics inside the three Buddha statues on June 15, 28 and 29, 2013. Five kinds of fabrics (each of different colors), Sutras, and Dharani as well as Huryeongtong (喉鈴筒) were installed inside of all three statues. An incense pouch was found inside of only the Sakyamuni Buddha. Documents recording detailed information about manufacturing statues were found inside of both the Amitabha Buddha and the Bhaisajyaguru Buddha. All of these relics have several important features as follows: 1. The three statues were produced by 10 monk-sculptors including the chief monk-sculptor Taejeon (太顚) in 1612. 2. It was possible to identify the name of each of the statues, Sakyamuni Buddha, Amitabha Buddha and Bhaisajyaguru Buddha. 3. According to the records from the Statues, Daeheungsa Temple was largely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7 (丁 酉再亂). However, it was not damaged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壬辰倭亂). 4. The records provided important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the activities of Buddhist monks in Daeheungsa Temple. These also included personnel changes in the Buddhist priesthood in the 17th century. Nine monks (their names were listed on the documents inside of the statues in 1612) als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the Sutra of the Lotus (法華經) published in 1633 (with changed positions of the Buddhist priesthood.) 5. A large amount of Commentary Books for the Avatamska Sutra (華 嚴經) found inside the Sakyamuni Buddha indicate that excellent Buddhist monks (the 12 representative zen preceptors (12宗師) and 12 doctrinal preceptors (12講師)) were developed in the Daeheungsa Temple. 해남 흥사 웅보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 불상 3구(三世佛像)가 개금불사를 진행 하기 전인 2013년 5월 29일에 개봉되었다. 필자는 2013년 6월 15일, 28-29일에 걸쳐 흥사 웅보전에 봉안된 불상들의 복장유물(腹藏遺物)에 해서 조사하였다. 3구의 불상에는 후령통을 비롯하여 오색직물 그리고 다량의 경전과 다라니가 봉안되 어 있었다. 석가불상에서는 향낭(香囊)이 발견되었고, 아미타불상과 약사불상에서는 불 상조성기가 발견되었다. 해남 흥사 삼세불상의 복장 유물이 갖는 의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복장 조사로 인해 1612년에 수조각승 태전(太顚)과 9명의 조각승에 의해 조성 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불상의 존명이 석가여래·약사여래·아미타여래임을 불상조성기를 통해 밝힐 수 있었다. 셋째, 임진왜란(1592년) 때는 무사했지만 정유재란(1597년) 때 흥사가 크게 훼손 되었던 사실을 불상조성기를 통해 알게 되었다. 넷째, 17세기 흥사에 살고 있던 승려들의 활동과 지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1612년 불상조성기에 등장했던 9명의 승려가 1633년에 발간된 『법화경』 간행에도 변화된 승직으로 동참하고 있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다섯째, 석가불상에서 다량의 『화엄경』에 관한 주석서 들이 발견된 점으로 보아 흥 사가 12종사(宗師)와 12강사(講師)를 배출한 사찰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서울 옥수동 미타사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 분석과 양식 특징

        유근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2021 불교문예연구 Vol.- No.17

        서울 옥수동 미타사의 주불전인 극락전에는 조성 연도와 양식이 서로 다른 아미타불상·관세음보살상·대세지보살상으로 구성된 아미타삼존불좌 상이 봉안되어 있다. 이 글은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과 불상의 특징을 분석한 것으로, 필자가 2020년 8월에 실시한 복장 조사를 통해 수습한 자료를 중심으로 작성한 것이다. 아미타삼존불좌상 가운데 목조아미타불상의 복장에서는 조성발원문 (1707년) 1점과 중수발원문 2점(1744년·1917년)이 발견되었다. 건칠관세 음보살상의 복장에서는 조성발원문(1769) 1점이 수습되었다. 복장 기록을 분석한 결과 목조아미타불상은 1707년에 조성되어 1744년·1768년·1917 년 등 세 차례에 걸쳐 개금·중수되었고, 건칠관세음보살상은 1769년에 조성되어 1917년과 1970년에 개금·중수되었으며, 목조대세지보살상은 1744년과 1917년에 개금·중수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미타사 아미타삼존상에서 발견된 복장 기록은 조선 후기 왕실 발원 불상의 조성 및 개금·중수 과정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필 자가 주목한 미타사 아미타삼존상의 후령통 내부 물목에 관한 연구는 조선시대 불복장 의식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조상경(造像經)』의 내용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미타사 목조대세지보살상의 16세기 후령통, 목조아미타불상의 1707년 후령통, 건칠관세음보살상의 1769년과 1970년 후령통은 불복장 납입법의 변천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다. The Amitabha Triad statues (Amitabha Buddha, Avalokitesvara, Mahasthama-prapta) with different production periods and styles, are enshrined at the main Buddha hall of Mitasa Temple in Oksu-dong, Seoul. This paper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Buddha statues based on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e project for the investigation of Bokjang conducted by the author in August 2020. One of Balwonmun on Creation (1707) - a handwritten document recoded the purpose of creating Buddha statues and the names of the people who supported the project - and, two of Balwonmuns on Maintenance and Repair (1744, 1917) were found from the Bokjang of Amitabha Buddha. From the Bokjang of Avalokitesvara, Balwonmun on Creation (1769) was found. Accoding to the records, Amitabha Buddha was created in 1707, and rapaired in 1744, 1768 and 1970, respectively. Avalokitesvara was created in 1769 and repaired in 1917 and 1970. The Creation year of Mahasthama-prapta is not clear but it was repaired in 1744 and 1917, respectively. Among the Buddha statues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extremely rare that several Balwonmuns were found like Amitabha Triad statues in Mitasa Temple. In this regard, the records found in the Bokjang of Amitabha Triad statues are important data for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of the Buddhist statue create by the support of the royal family in the late Joseon Dynasty. Huryungtong from Mahasthama-prapta (16 Century), Huryungtong from Amitabha Buddha (1707), and Huryungtongs from Avalokitesvara (1769 and 1970) have important value as historical materials for studying changes of items consisting Bokjang and/or placing methods.

      • KCI등재

        삼척 천은사 목조아미타삼존상의 복장 기록 분석

        유근자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3 禪文化硏究 Vol.34 No.-

        본 논문은 삼척 천은사 극락전 목조아미타삼존상에서 2006년에 수습된 복장유물 중 1596년, 1798년, 1922년에 각각 작성된 기록물 세 점을 대상으로 분석한 것이다. 삼척 천은사 목조아미타삼존상은 15~16세기에 조성되어 총 다섯 차례에 걸쳐 개금·중수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즉 1596년에 1차, 1736년에 2차, 1798년에 3차, 1922년에 4차, 1983년에 5차 개금·중수되었던 것이다. 아미타불원문(1798년)과 삼존상개금후불탱개채원문(1922년)에 의하면 삼척 천은사의 사명(寺名)이 시대에 따라 변경된 사실도 알 수 있다. 16~17세기 초에 간행된 경전 간기(刊記)와 불상 조성·중수발원문 등을 종합해 살펴보면, 1596년 천은사 목조아미타삼존상의 1차 중수 때 참여한 승려들은 중대사·천은사[흑악사]·영은사에 주석하면서 청허 휴정 문도계 사찰의 경전 간행과 불상 조성 및 중수에도 참여한 사실이 확인된다. 이들은 주로 강원도, 황해도, 경상도, 전라도 등지의 청허 휴정 문도가 수행 중인 사찰의 불사에 동참했는데, 이러한 경향은 1798년 3차 중수 때까지 지속되었다. 이 기록들은 천은사 목조아미타삼존상의 중수와 개금 과정을 알려주고, 천은사의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 KCI등재

        양주 靑蓮寺의 豫修齋와 조선후기 명부전 도상

        유근자 동국대학교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9 동국사학 Vol.66 No.-

        The Saengjeon-Yesu-jae(生前預修齋) is a Buddhist ritual for both the living and the dead. It was established by combining two rituals, the Yesu-jae(預修齋) for the living and the Cheondo-jae(薦度齋) for the deceased. Cheongryeonsa Temple in Yangju is a temple that has been continuing the Saengjeon-Yesu-jae ritual to the present day through the education of the buddhist monks. In this study, the tradition of practicing Yesu-jae ritual in Cheongryeonsa Temple as an intangible culture was examined by focusing on the Buddhist Images, enshrined in Myungbu-jeon Hall, closely related to Yesu-jae. Cheongryeonsa Temple has relics related to Yesu-jae such as Stone Statue of Ksitigarbha Bodhisattva believed to be made in the 17th century, buddhist sutra Jijangbosal Bonwongyeong Eonhae(Ksitigarbha Bodhisattva Sutra annotated in Hangul) printed at the Yaksa-jeon Hall of this temple in 1765, and Painting of Ksitigarbha Bodhisattva and Ten Underworld Kings believed to be painted in 1880. The 17th century, when the Stone Statue of Ksitigarbha Bodhisattva of Cheongryeonsa Temple was made, was an era of active construction of Myungbujeon Hall and the production of Buddhist statues related to Yesu-jae, such as Statues of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Ksitigarbha Bodhisattva, Domyung, and Mudokgwi] and Ten Underworld Kings. The art about the faith in Ksitigarbha Bodhisattva who saves the spirits of the deceased from hell and art related to the faith in Ten Underworld Kings were popular in this period. The most notable relics related to the Yesu-jae ritual performed in Cheongryeonsa Temple is Jijangbosal Bonwongyeong Eonhae. The monk Haewon (海源; 1691~1770) who participated in the publication of this sutra also wrote Yesu-jae-so(預修齋䟽) related to Yesu-jae. In addition, the Geosa(居士) who appeared on the records as new clas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played active roles in donating to the temple, were participating in the publication of the sutra together with famous monks. It is noteworthy that they are considered to have participated in the practicing Yesu-jae ritual of Cheongryeonsa Temple in the 18th century. 生前預修齋는 산 자와 죽은 자를 위한 의례가 함축된 형태로 산 자의 預修信仰과 죽은 자의 薦度信仰이 결합된 것이다. 양주 청련사는 생전예수재 의식을 승려들의 교육을 통해 현재까지도 전승해 오고 있는 사찰이다. 본 논문은 무형문화로서 예수재 의식을 현재까지 계승해 오고 있는 청련사의 예수재 設行 전통을 예수재와 깊은 연관이 있는 冥府殿 존상을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양주 청련사에 현존하는 예수재와 관련된 유물로는 17세기에 조성된 석조지장보살상, 1765년 약사전에서 간행된 『지장경언해』, 1880년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장시왕도 등이 있다. 청련사 명부전의 지장보살상이 조성된 17세기는 천도재 및 예수재와 관련된 지장삼존상·시왕상·명부 권속 등이 봉안된 명부전의 건립과 존상의 조성이 활발하던 시대였다. 즉 지옥의 중생 구제와 관련된 지장신앙과 염라대왕을 비롯한 十王이 관련된 명부신앙에 관한 미술이 유행했던 것이다. 양주 청련사에서 설행된 예수재와 관련해서 가장 주목할만한 자료는 예수재 소의경전 가운데 하나인 1765년에 간행된 『지장경언해』이다. 이 경전 간행에도 참여한 涵月堂 海源(1691~1770)은 예수재와 관련된 「預修齋䟽」를 남기고 있다. 또한 지장경 언해본 간행에 조선 후기 새로운 시주층이었던 居士들이 당대 고승들과 함께 동참하고 있고, 18세기 청련사의 예수재 설행에도 참여했을 것으로 여겨져 주목된다.

      • KCI등재

        흥천사의 조선후기 불교조각

        유근자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7 강좌미술사 Vol.49 No.-

        There are three seated Buddhist statues enshrined in the Geungnakbojeon [Hall for Amitabha Buddha] of the Heungcheonsa temple. Two of them, the seated Buddha and the seated Boddhisattva, are wooden statues, and the seated thousand-armed Avalokitesvara is bronze statue. Two wooden sculptures, the seated Buddha and the seated Boddhisattva, were probably created at the separate places between 16-17th centuries. It is believed that the wooden seated Buddha statue, enshrined as a principal icon in the sanctuary [Geungnakbojeon Hall], has been transferred from an historical temple named Ojeongsa temple at Mungyeong in Gyeongsangbuk-do. In the Gwaneumjeon [Hall of the Avalokitesvara], the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is enshrined with two attendants, the Nāga-Raja and the Sudhanakumâra. They were all wooden statues assumed to be created at the same time in 1701 because the combination of these three Buddhist images was widely popular to be made as buddhist paintings in this period. The three sculptures were originally enshrined in the Jeokjoam temple at Imsil-gun in Jeollabuk-do. It is assumed that they have been transferred to the Heungcheonsa temple at the period of late Joseon dynasty. In the Hall of the Kings of the hells, there are twenty-seven sculptures including the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and the Ten Kings. It was assumed that they were created at the late 17th century by the treatment of the figures. Because the Hall of the Kings of the hells was constructed in 1855, it is possible that they have been move from the Jeokhoam temple or a temple in Jeollabuk-do together with the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created in 1701.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verify the identities and the creation periods of three stone Buddhist statues by the investigation of Bokjang.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Heungcheonsa temple and Royal families throughout the early to late Joseon dynasty has been clear in this study of Buddhist sculptures. 본 논문은 서울 돈암동에 소재한 흥천사의 조선후기 불교조각을 연구한 것이다. 조선 초에 조성된것으로 추정되는 천수관음보살좌상은 별도의 논문에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제외하였다. 흥천사의 주불전(主佛殿)인 극락보전에는 목조여래좌상, 목조보살좌상, 천수관음보살좌상이 봉안되어 있다. 목조본존불상과 우협시로 봉안된 목조보살좌상은 16~17 세기에 서로 다른 곳에서 조성되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천수관음상은 조선 초에 조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본존불로 봉안된 여래좌상은 경상북도 문경에 있었던 오정사(烏井寺)에서 옮겨온 불상으로 추정된다. 관음전에 봉안된 목조관음보살좌상과 남순동자상 및 해상용왕상은 1701 년에 조성된 것으로, 전북 임실 사자산 적조암이 원 봉안처이고, 조선후기에 흥천사로 옮겨진 상들이다. 남순동자상과 해상용왕상은 관세음보살상과 함께 조선후기 불화로도 조성될 만큼 유행했던 도상이기 때문에, 관음보살의 협시로 동시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명부전에는 지장삼존상과 시왕을 비롯한 명부 권속이 총 27 구 봉안되어 있는데 1873 년의 개채기(改彩記)가 남아 있다. 조각의 기법으로 보아 17 세기 후반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했으며, 현 명부전이 1855 년에 건립되었기 때문에 1701 년작 관세음보살상과 함께 적조암 또는 전라북도의 어느 사찰에서 이안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진다. 흥천사 노전(爐殿)의 석조 약사여래좌상·아미타여래좌상·지장보살좌상은 왕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밝혀냈다. 약사여래좌상은 1829 년에 조성되었으며, 아미타여래좌상과 지장보살좌상은 1829 년에서 1847 년 사이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노전에 봉안된 3 구의 석조 불교조각상의 명칭과 조성 연도를 복장(腹藏) 조사를통해 밝힐 수 있었다. 또한 흥천사는 조선초기부터 조선 말기에 이르기까지 왕실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었음을 조선후기 불교 조각을 통해서 밝혀냈다는 데 의미가 있다.

      • KCI등재

        풍양 조씨 분암(墳庵)과 남양주 견성암의 불상

        유근자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100 No.-

        This paper is about the Buddhist statues enshrined at the Yaksajeon Hall and Daeungjeon Hall of the Gyeonseongam Temple in Namyangju. This temple was built on the site used by Cho Maeng, the founder of the Poongyang Cho's clan, for training. Furthermore, Gyeonseongam Temple shares some of the characteristics of Bun-am (墳庵), a temple where the management of ancestor tombs is carried out. The stone Medicine Buddha (Bhaiṣajya-guru) statue is enshrined in the Yaksajeon Hall of Gyeonseongam. It was made betwee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In Daeungjeon Hall, three wooden Buddha statues of the Shakyamuni, Bhaiṣajya-guru, and Amitabha Buddha are enshrined. Among them, the statues of Shakyamuni and Amitabha were created in the mid to late 18th century, the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聖菴重修各部幀新畵成記 (1883)," the three wooden Buddha statues were restored with gold and the stone Medicine Buddha statue was repainted in 1882 (19th year of King Gojong). Unlike the medicine bowl-mudrā (藥器印) in the posture of a dhyāna-mudrā, which was created in a temple related to the royal family near Seoul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stone medicine Buddha statue in Yaksajeon Hall inherits the iconography of a medicine bowl-mudrā (藥器印) in the posture of a bhūmisparśamudrā, which was popular during the Unified Shilla period. Among the three wooden Buddha statues in Gyeonseongam’s Daeungjeon Hall, the wooden Medicine Buddha statue was created anew. The wooden Shakyamuni Buddha and Amitabha Buddha statues are estimated to have been made in the mid to late 18th century. The wooden Shakyamuni and Amitabha Buddha statues in the Daeungjeon Hall are presumed to be the works of Buddhist statues made by Sangjeong (尙淨), a monk and sculptor who was active during the 18th century. 이 논문은 신라말 고려초 인물인 풍양조씨의 시조 조맹(趙孟, ?-?)의 수행처에 창건된 남양주 견성암의 약사전과 대웅전에 봉안된 불상에 관한 것이다. 견성암은 선조들의 묘를 관리하는 분암(墳庵) 성격을 갖고 있는데 현재까지도 풍양 조씨 분암으로서의 기능을 하고 있다. 견성암 약사전에는 고려말 조선초에 제작된 석조약사불상이 봉안되어 있고, 대웅전에는 18세기 중후반에 조성된 석가 · 약사 · 아미타불상으로 구성된 목조삼불상이모셔져 있다. 약사전 존상은 시조 조맹의 설화와 관련되어 있고, 대웅전 존상은 18 세기 풍양 조씨 분암과 연관이 깊다. 또한 약사전은 난방이 가능한 대방의 구조로되어 있어 시조묘에 제향할 때 이곳에서 숙식을 하기도 하였으며, 현재까지도 견성암의 가장 중심 불전으로 기능하고 있다. 「견성암 중수 각부탱 신화성기」(⾒聖菴重修各部幀新畵成記, 1883년)에 의하면 목조삼불상의 개금(改⾦) 및 석조약사불상의 개채(改彩)가 1882년(고종 19년)에 이루어진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같은 해에 헌종의 후궁 경빈 김씨와 그녀의 동생인 김문현 부부의 시주에 의해 <아미타불회도>가 대웅전의 후불도로 조성되었다. 경빈 김씨는 풍양 조씨 가문에서 배출한 신정왕후 조씨의 며느리이며, 신정왕후와 돈독한관계를 유지하였기 때문에 풍양 조씨 대종중의 분암인 견성암에 시주한 것으로 추정된다. 약사전 석조약사불상은 조선시대에 서울 인근 왕실과 관련된 사찰에서 조성한 선정인의 약기인(藥器印) 도상과 달리, 통일신라 때 유행한 항마촉지인의 약기인 도상을 계승하고 있다. 그러나 양식 특징은 고려말 조선초 불상에 나타나는 특징을 보이고 있어 제작 시기는 고려말 조선초로 추정된다. 견성암 대웅전의 목조삼불상 가운데 목조약사불상은 최근에 새로 조성하였고, 목조석가· 아미타불상은 18세기 중후반 경에 제작된 것이다. 대웅전의 목조석가 · 아미타불상은 풍양 조씨의 종중 활동이 활발해지는 18세기에 조성되었으며, 18세기에활동한 조각승 상정(尙淨)이 만든 불상의 특징을 갖고 있어 상정 또는 그의 유파 조각승들에 의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 KCI등재

        간다라 降魔成道 佛傳圖의 도상

        유근자 한국불교미술사학회 2010 강좌미술사 Vol.35 No.-

        "Attaintment of Enlightenment of Buddha" indicate the moment that Siddhārta achieves the highest state of enlightenment. The scene of Māra's Attack and the Enlightenment is described in several Buddhist scriptures, because the Buddhism start from this moment. The scene of Attaintment of Enlightenment of Buddha depicted as an art in ancient India can be found in the vedikā(欄楯) of Bharhut Stūpa constructed in the 2nd century BC, and in the Torana(탑문) of Great Stupa in Sanchi Stūpa constructed in the 1st century AD. The Buddha image was depicted as some symbols in ancient India, such as the Bodhi tree (菩提樹), the Wheel of the Dharma (Cakra, 法輪), Stūpa (塔), Throne (金剛寶座), Chattra (傘蓋),and Buddha footprint (佛足跡). However, the Buddha image depicted as a feature of human being appeared for the first tim in the Buddhist art in Gandhara. They started to depict Gautama Buddha in the earth-touching attitude(Bhūmisparśamudrā). The scene of Māra's Attack and the Enlightenment is illustrating in several Buddhist scriptures. Marā and his warriors are depic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Śākyamuni in the earth-touching attitude(Bhūmisparśamudrā), and especially in gandharan buddhist art, the Earth Goddess or defeated Marā's warriors depicted on the Buddha's throne. In this study, the images of Attaintment of Enlightenment of Buddha in gandhara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images in other regions of ancient India, including in Bharhut, Great Stupa in Sanchi Stūpa, Amaravati, Nagarjunakonda, and Ajanta cave. 降魔成道는 석존의 깨달음을 지칭하는 것으로 불교가 시작되는 일대 사건이다. 이러한 항마성도 장면을 미술로 표현한 것이 바로 ‘항마성도 불전도’이다. 석존의 항마성도 佛傳은 인도 고대초기 불교미술에서도 중요한 소재로 다루어지기 시작하였는데 기원 전 2세기에 조성된 Barhut 대탑의 欄楯과 기원 후 1세기의 Sanchi 대탑의 탑문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이 때에는 無佛像의 시대였기 때문에 석존의 모습은 형상화되지 않았고 菩提樹·法輪·塔·金剛寶座·傘蓋·佛足跡등으로 상징화 하였다. 그런데 쿠샨 시대 간다라인들에게서 새로운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다. 바로 석존을 인간형상으로 표현하기 시작했다는 점이다. 간다라의 ‘항마성도 불전도’는 보리수 아래에서 성도한 석존을 오랫동안 상징해 온 보리수 대신에 降魔觸地印의 손 모양을 한 인간 석존을 창안해 내었다. 이 도상은 이후 석존의 대표적인 수인으로 자리잡아 불교 도상학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였다. 釋尊이 마왕 Māra를 항복시키고 깨달음을 얻는 장면 묘사는 각 경전마다 드라마틱하게 전개되는데, 간다라의 降魔成道 불전도는 중앙의 觸地印 釋尊을 중심으로 좌우로 마왕과 魔衆이 배치되고 대좌에는 패배한 魔衆이 표현되는 경우와, 地神이 표현되는 경우로 구분된다. 간다라 항마성도 불전도상의 특징을 요약하면 첫째 觸地印의 釋尊, 둘째 반가사유 자세의 마왕 등장과 다양한 형태의 魔衆, 셋째 釋尊을 지지하는 白組와 마왕을 지지하는 黑組로 나뉜 마왕 아들의 표현, 넷째 釋尊 과거생의 선행을 증명하는 地神의 표현 등이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항마성도를 다루고 있는 경전을 간략히 살펴본 후 간다라 항마성도의 도상을 석존을 위협하는 마왕과 魔衆, 석존의 깨달음을 증명하는 地神, 降魔觸地印 도상의 전개 등을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고대초기 인도의 바르후트와 산치 대탑, 남인도의 아마라바티와 나가르주나콘다, 굽타시대의 사르나트와 아잔타 26굴의 항마성도 도상과 비교하였다.

      • KCI등재

        영광 불갑사 명부전의 지장삼존상과 시왕상 연구

        유근자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8 南道文化硏究 Vol.0 No.34

        Twenty-one wooden Buddhist statues, produced in 17th century, are enshrined at the Myungbujeon Hall of Bulgapsa Temple in Yeonggwang. They include the Statues of Ksitigarbha Bodhisattva Triad [Ksitigarbha Bodhisattva, Domyung, and Mudokgwi], Underworld Kings, Judges etc. Some kinds of Enclosed Relics were discovered in the sixteen buddhist statues among twenty-one including dedicatory inscription, Huryeongtong, Buddhist scriptures (Sutras). It is extremely rare case to be found intact enclosed relics from almost every statues of Myungbujeon Hall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ccording to the dedicatory inscriptions, these statues were created by monastic sculptor Muyeom (who is known as a master sculptor of the Wooden Seated Sakyamuni Buddha Triad at the Daeungjeon Hall of Bulgapsa Temple crafted in 1635), his diciple Haeshim, Jeonghyun and assistant sculptors in 1654 (5th year of King Hyojong). From the characteristics of sculptural style and the dedicatory inscriptions, it is reasonable that those statues were created under the initiative of monastic sculptor Haeshim in collaboration with his colleagues. Haeshim played roles as a master sculptor of buddhist sculptures at the Myungbujeon Hall of Munsusa Temple in Gochang, Dogapsa Temple in Yeongam as well as Bulgapsa Temple in Yeonggwang. These temples were the places where Monk Gakseong and other sect members of Monk Buhyu stayed. The buddhist statues enshrined at the Myungbujeon Hall of Bulgapsa Temple, with a definitive year of production (1654), are considered to have a high value in studying the activities of the monastic sculptors and monks who led the reconstruction efforts of Buddhist temples at that time. 영광 불갑사 명부전 지장보살삼존상과 시왕상 등은 조선 후기에 조성된 불교조각으로총 21구 가운데 16구에서 조성발원문과 후령통, 그리고 복장 전적 등이 다수 발견되었다. 조선후기 명부전 존상 가운데 불갑사처럼 거의 모든 존상에서 조성 당시의 복장물이발견된 예는 매우 희귀하다. 조성발원문의 상태는 양호한 편이며 조성 당시의 불사의상황을 구체적으로 살필 수 있는 자료를 담고 있다. 현재 불갑사 명부전 존상은 지장보살·도명존자·무독귀왕으로 구성된 지장보살삼존상3구, 제1진광대왕부터 제10오도전륜대왕까지 시왕상 10구, 판관상 2구, 귀왕상 2구, 사자상 2구, 장군상 2구 등 모두 21구의 존상이 안치되어 있다. 조성 연도는 1654년(순치 11, 효종 5)으로, 대웅전 목조삼세불좌상(1635년)을 조성한 조각승 무염(無染)과그의 제자인 해심(海心) 및 그 일파에 의해 만들어졌다. 지장보살상을 비롯한 여러 존상에서 발견된 발원문에는 조각승 해심(海心) 이름 앞에 스승 무염과 사형(師兄)으로 추정되는 정현(正玄)이 기록되어 있어, 조선후기 조각승의 사승(師僧) 관계를 살필 수 있는귀중한 자료이다. 무염파 조각승으로 활약한 해심(海心)이 수조각승으로 조성한 대표적인 불교 조각은명부전 존상으로 영광 불갑사, 고창 문수사, 영암 도갑사 상 등이 있다. 영암, 고창, 영광은 순천 송광사를 거점으로 활약했던 부휴선수(浮休善修, 1543~1615) 계 문파가활동했던 지역이다. 영광 불갑사 명부전 존상은 1654년에 조성되었다는 확실한 조성시기가 기록되어 있고, 조각승들이 알려져 있어 당시 불사(佛事)를 이끌었던 선사들의활동을 연구하는데도 자료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17세기의 완주 송광사 불사와 벽암 각성(碧巖覺性)

        유근자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9 南道文化硏究 Vol.0 No.36

        In the 17th century, Songgwangsa Temple in Wanju, Jeollabuk-do, was constructed on a large scale and it was almost an opening of new temple. Most of the construction work of Songgwangsa Temple was carried out during the reign of King Injo (r. 1623~1649) and lasted until the reign of King Hyojong. It was a chaotic time when the Later Jin invasion of Joseon (1627) and the Qing invasion of Joseon (1636) broke out. King Injo designated the temple as a special place for praying for the welfare of the nation as well as for the safe return of his two sons [Crown Prince Sohyeon and Prince Bonglim] that had been taken hostage by the Qing Dynasty. The project, which began in 1622, was almost completed in 1656 (7th year of King Hyojong) when the statues of Sakyamuni Buddha Triads, 16-Arhats (large in size) and 500-Arhats (smaller) were enshrined in the Nahanjeon Hall. Monk Byeogam Gakseong played a major role in reconstruction of Songgwangsa Temple in Suncheon, Hwaeomsa Temple in Gurye, Ssanggyesa Temple in Hadong, Songgwangsa Temple in Wanju and Beopjusa Temple in Boeun. Many monks, known as a sect member of the monk Buhyu, resided in these temples. According to the records of the document I first found in Kyujanggak Institute for Korean Studies,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loss of the Wonamsa Temple located in Mt. Cheongryangsan from the fire triggered the reconstruction of Songgwangsa Temple. It is assumed that Crown Prince Sohyeon may have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the statues of Sakyamuni Buddha Triads in Daewoongjeon Hall as a sponsor. Songgwangsa Temple in Wanju has clearly left the traces of a monk Byeogam Gakseong since the 17th century, and it is notable that it was a temple related to the royal family and that large clay Buddhist Statues have been created. 완주 송광사는 17세기에 현재의 사역에 개창(開創)에 가까운 대대적인 건축 불사(佛 事)를 진행하였다. 송광사의 17세기 불사는 정묘호란(1627년)과 병자호란(1636년)이발발한 혼란한 시기로 인조 때가 중심이었고 효종의 치세 때까지 지속되었다. 1622년에시작된 불사는 1656년 나한전의 석가여래삼존상과 16·500나한상이 조성되면서 일단락되었다. 완주 송광사 불사와 밀접한 관련을 맺은 승려는 벽암각성(碧巖覺性, 1575- 1660)인데 그는 임진왜란 때부터 의승군으로 활동했으며, 1624년(영조 2)에는 팔도도총섭의 지위에 있으면서 전쟁으로 소실된 사찰들의 중건에 앞장선 인물이다. 특히 그는 남승(南僧)으로 일컬어졌던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순천 송광사, 구례 화엄사, 하동 쌍계사, 완주 송광사, 보은 법주사의 불사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였다. 이들 사찰들은 17세기 2대 문파를 형성했던 부휴계 승려들이 머물었던 곳으로 부휴계 문파를 형성하는데 벽암각성이 중요한 역할을 했던 것을 알 수 있다. 벽암각성의 문도는 1636년<송광사 개창비> 건립을 통해 부휴계 문파의 기초를 마련하기 시작했으며 벽암각성의제자 백곡처능(白谷處能, 1617-1680)에 의해 자리 잡게 되었다. 본 논문은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는 자료를 바탕으로 새로운논지를 전개할 수 있었다. 첫째는 1622년에 송광사 중창이 시작된 계기가 인근의 청량산 원암사의 화재 때문이라는 것이고, 둘째는 송광사 대웅전의 석가여래삼불좌상의 조성에 소현세자가 시주자로 참여하였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인조 때 이루어진송광사 불사의 주체는 벽암각성 문도이고 왕실 인물들은 시주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왕실 인물 가운데 선조의 부마였던 신익성(申翊聖, 1588-1644)과인조의 아들인 소현세자(昭顯世子, 1612-1645)의 관련성을 다루었다. 따라서 완주 송광사는 17세기 이후 조선후기 불교사에 벽암각성의 발자취를 뚜렷하게 남기고 있으며왕실과 관련된 사찰이라는 점과 대형의 소조(塑造) 불교조각을 조성하고 있다는 점에서주목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