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식 형태와 채널 관계 특성이 신제품 개발과 채널 관리에 미치는 영향

        유관수(You, Kwansu),임수빈(Im, Subin) 한국마케팅학회 2017 마케팅연구 Vol.32 No.2

        격변하는 하이테크 B2B 산업 환경에서 기업은 신제품 경쟁 우위를 획득하기 위해 신제품 경쟁력과 유통 채널 경쟁력을 동시에 갖춰야 한다. 지식 관리 역량과 관련된 기존 연구는 B2B 기업이 지식 활동을 통해 신제품 및 유통 채널 경쟁력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신제품 개발 및 출시 과정에서 신제품 및 유통 채널 경쟁력 확보는 실무적으로 분리되지 않고 긴밀한 관련성을 보인다. 그러나, 기존 마케팅 전략 연구는 신제품 개발과 유통 채널 관리 분야가 독립적으로 발전되어 두 분야를 접목시키는 연구가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지식 기반 관점 이론과 조직 학습 이론을 기초로 하여 두 분야를 통합한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105개 국내 하이테크 B2B기업을 대상으로 실증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현상을 확인하였다. 첫째, 신제품 개발에 사용되는 지식의 형태(지식의 암묵성 및 지식의 복잡성)가 신제품 조직 학습 결과(신제품 창의성 및 신제품 품질 우월성)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유통 채널 조직 학습 결과(신시장 접근성 및 유통 채널 효율성)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통 채널 관계 특성(유통 채널 관계 의존성 및 유통 채널 관계 배태성)이 유통 채널 조직 학습 결과뿐만 아니라 신제품 조직 학습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신제품 및 유통 채널 조직 학습 결과가 신제품 경쟁 우위의 두 측면(신제품 차별화 우위 및 신제품 비용 우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마케팅 전략의 두 분야를 접목시켜 경쟁 우위를 추구하려는 B2B 기업의 행동에 대한 통합적인 이론적 시야를 제공하였으며, 신제품 경쟁 우위의 원천과 신제품 및 유통 채널 경쟁력에 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In the rapidly fluctuating high-tech B2B industry, firms must pursue a competitive edge in new product and channel relationships to attain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With their knowledge management capabilities, firms should utilize knowledge acquired from various sources in order to manage new product development and to distribute new products through channels. However, in the marketing strategy research stream, new product development literature and channel management literature have been developed independently. To fill this gap, this research suggests a comprehensive model based on knowledge-based view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A sample of 105 managers in Korean high-tech B2B firms provide support for the proposed model. Specifically, we found that the type of knowledge (knowledge tacitness and knowledge complexity) used to develop new product affects not only the new product related learning outcomes (i.e., new product creativity and new product quality superiority), but also the channel related learning outcomes (i.e., new market accessibility and channel efficiency). Furthermore, we foun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hannel relationship(relational dependence and relational embeddedness) affect both the channel related learning outcomes and the product related learning outcomes. Additionally, we found the effect of the product- and channel-related learning outcomes on new product competitive advantage(new product differentiation advantage and new product cost advantage).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provide a more comprehensive theoretical view on the organizational strategy directed towards competitive advantage, and also provide practical implications on the source of new product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the new product- and channel -related learning outcomes.

      • KCI등재

        지식 형태와 채널 관계가 신제품 창의성과 시장 선도성에 미치는 영향

        우에다 케이코(Keiko Ueda),유관수(Kwansu You),임수빈(Subin Im) 한국유통학회 2017 流通硏究 Vol.22 No.2

        하이테크 B2B기업은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신제품 창의성을 통해 신제품 경쟁 우위를 추구해야 한다. 자원 기반 이론은 기업 내 무형적 자원인 지식 자원을 통해 신제품 창의성을 고취시킬 것을 제시하며, 유통 채널 관리 이론 은 기업 외부의 유통 채널과 관계를 통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시킬 것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Day(1994)의 기업 역량 이론을 바탕으로, 신제품 창의성의 선행 요인으로써 기업 내부 요인인 신제품 개발에 사용되는 지식의 형태뿐만 아니라 기업 외부 요인으로써 유통 채널 관계 특성을 포함하는 통합적인 이론적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검정하기 위해 최근 하이테크적 성격을 보이고 있는 일본의 하이테크 B2B기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신제품 개발에 사용되는 지식의 형태와 함께 유통 채널 관계 특성이 신제품 창의성의 두 측면인 신제품 참신성과 신제품 의미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둘째, 신제품 창의성이 신제품 시장 선도성을 매개하여 신제품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독립적으로 발전해온 신제품 개발 관리 연구와 유통 채널 관리 연구에 각각 새로운 변수를 제시하고 통합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실무적으로, 본 연구는 신제품 창의성을 고취시키려는 B2B 관리자들에게 자사가 보유한 유통 채널 관계 특성에 주의해야함을 제시하였으며, 일본 기업 환경의 특성을 고려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의 디자인이 웹사이트 지각요소를 통해 소비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정윤영(Yoonyoung Jeong),임수빈(Subin Im),윤나라(Nara Youn),Aric Rindfleisch,유관수(Kwansu You) 한국유통학회 2017 流通硏究 Vol.22 No.4

        창의적인 신제품 및 서비스 아이디어는 기업이 혁신을 유지하여 조직의 성과를 높이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신제품 및 서비스 아이디어를 시장의 최종사용자(end-user)인 소비자에게 위탁하는 크라우드소싱은 기업 내부 역량을 통한 신제품 개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제품 개발 프로세스로 제시된다. 그러나 소비자의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참여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크라우드소싱을 사용하는 소비자의 경험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의 중요한 목적중 하나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획득하는 것임에 착안하여, 온라인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의 특성이 참여자의 창의성에 미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온라인 환경의 영향력을 통해 소비자의 창의성이 긍정적으로 조성될 수 있다면, 기업이 신제품 및 서비스 개발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 개발 과정이 활기를 얻고 관련 아이디어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해 실제로 운영되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 40곳을 자극물로 사용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환경의 영향을 받는 창의성 연구의 폭을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분야로 넓히는데 기여하였다. 실무적으로, 본 연구는 크라우드소싱 플랫폼을 운영하는 기업에 웹사이트의 디자인을 관리함으로서 크라우드소싱 참여자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하여 기업이 신제품 및 서비스 아이디어를 수집하는 방안에 대한 통찰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