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s Reading Aloud Beneficial for Korean College-level English Learners?

        유경아 ( Kyung-ah Yu ) 대한영어영문학회 2015 영어영문학연구 Vol.41 No.1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reading aloud practices are beneficial for college-level students to increase their vocabulary, syntactic knowledge and text comprehension as well as pronunciation and word stress. It also examined how college-level students perceived student reading aloud activities. Ninety-on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scores. The participants took a test that was composed of vocabulary, grammar and reading comprehension questions in during Weeks 1 and 14 in order to identify any effect of reading aloud on L2 language learning. They were also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The findings revealed that student reading aloud was helpful for the students to enrich their vocabulary knowledge, improve pronunciation and word stress, and help identifying sentence structures and understanding the texts. However, the statistical differences differed from the students' reading performance levels. Upper level students have significantly improved in vocabulary, grammar and reading comprehension areas whereas for lower level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area of vocabulary. Questionnair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perceived that reading aloud practices were more advantageous in vocabulary learning and pronunciation than in grammar and reading comprehension areas.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이 학습자들의 영어 성취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유경아(Yu, Kyung-ah)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2

        최근 대학들이 대학생들의 기초 학습 능력 향상을 위해 학생 중심의 튜터링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는데 튜터링 관련 연구는 학습 효과 측면에서 많이 진행되었지만 참여자들의 학습동기 변화를 살펴본 연구는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학에서 비교과로 실시한 영어기초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학습자들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학습성취 및 학습동기가 유형별로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성별과 영어수준에 따라 학습동기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동기 유형과, 학습 성취, 프로그램의 만족도, 튜터에 대한 만족도간의 어떤 관계가 있는지도 조사하였다. 튜티 97명이 8주간 튜터링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으며 학습 성취와 동기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 영어 시험 및 동기관련 설문에 참여하였다. 또한 튜터링 프로그램 이후 튜터와 프로그램 만족도에 관한 설문조사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초영어 튜터링에 참여했던 튜티들의 영어 성적이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 튜터링에 참여한 후 튜티들의 영어 학습 동기는 모든 유형에서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성별에 따라 튜터링 이전에는 여학생 집단이 남학생 집단에 비해 모든 동기 유형에서 평균점수가 높은 반면에 튜터링 이후에는 남학생 집단이 외재적동기와 도구적 방어중심 동기 유형을 제외하고 평균점수가 여학생집단에 비해 높았다. 하지만 성별에 따라 동기유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지 않아 성별에 따라 동기의 차이가 있다고는 볼 수 없지만 동기변화 측면에서는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더 많은 유형에서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영어 수준에 따라 동기의 변화가 어느 집단에서 더 이루어졌는지 살펴본 결과 초급학습자들의 동기가 중급학습자들보다 더 많은 유형에서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한편, 동기와 학업성취, 프로그램 만족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학업성취와 외재적 동기, 이상적 제2언어 자아, 통합적 동기, 도구적 장려중심 동기영역에서 정적약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동기와 학업성취와 어느 정도 긍정적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학습 동기는 멈춰 있는 것이 아니라 어떤 활동을 계기로 늘어날 수 있음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이러한 학습자 동기의 시간적 변화에 관한 연구는 교육현장에서 교육주체가 참조하여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에 도움을 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how similarly or differently thei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has altered as well as their learning achievement effect. It also investigated if thei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differs from their gender and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levels. Additionally, it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motivation types, learning achievement, and the levels of program satisfaction and tutor satisfaction. To do this, a total of 97 students participated in an 8 week English tutoring program. They took pre-post English tests, and they also completed motivation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tutoring program. They also responded to the surveys on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their tutors and the program at the end of the tutoring program.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tutoring program has positively influenced the improvement of tutee"s English basic abilities, and their motivation of English learning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ll types. The findings also showed that the motivation of beginner group has improved in more motivation types than that of intermediate group. In the case of the beginner group, the mean scores were statistically improved in all motivation types, whereas for intermediate group, the mean scores were significantly improved in only two motivation types including intrinsic motivation and L2 ideal self motivation. With regard to gender effect, there were no mean differences in motivation types. However, the motivation of male students had significant increases in more motivation types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motivation and other factors, it demonstrated that moderate positive correlations were shown between motivation and English achievement, as well as motivation and program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confirmed that students" motivation could be increased over time through a student-centered tutoring program. Theoretic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교 영작 클리닉 운영과 개선방안 모색 - 목원대학교를 중심으로

        유경아(Kyung-Ah Yu)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6

        본 연구는 지난 3년 동안 지방 사립 대학교에서 실시한 영어작문 첨삭 클리닉 운영의 구체적 내용과 학습자들 만족도를 중심으로 그 성과를 살펴보았다. 2015년부터 실시한 영작 첨삭 클리닉은 주로 교양영어를 수강하고 있는 1학년 학생들이 자신의 영작과제를 첨삭 받기 위해 이용하였으며 이외에도 영어 말하기 스크립트나 영문보고서에 대한 첨삭도 이루어졌다. 지난 3년 동안 총 1467명이 영작 클리닉 서비스를 이용하였으며 매 학기 14-15명의 원어민 교수들이 첨삭 서비스에 참여하고 있다. 학생들은 자신의 글에서 어휘나 표현, 문법과 같은 형식적인 측면에 대한 첨삭요구가 가장 많았으나 클리닉 이후에는 글의 구성이나 내용전개와 같은 맥락적인 측면에도 도움을 받았다고 보고하고 있다. 클리닉에 참여한 학생들은 원어민 교수와의 면대면 대면 첨삭에 대해 전반적으로 만족하였으며 자신의 쓰기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끼친다고 인지하였다. 향후 개선되어야져야 할 점으로는 독립적인 클리닉 공간 확보, 전임 상담자 배치, 온라인 상담 시스템 도입과 클리닉 프로그램의 다양화 등이다. 이를 통해 학습자들은 의사소통 역량강화에 힘써 글로벌 시민이 되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학교는 지속적으로 체계적인 지원을 해주어야 한다. 본 연구는 지방 사립대학에서 영어 글쓰기 첨삭 프로그램을 교양영어 교과와 연계하여 진행함으로써 그 역할과 실행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타 대학의 유사한 프로그램 도입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 English writing clinic program conducted in a local university has been operated for the last three years, and how much the students have been satisfied with its program. The program was designed to help students build a fundamental English writing skill to produce a logical and coherent text. The students who reserved the English writing clinic in advance could have a 30-minute writing conference with an English-speaking native teacher in the writing center. More than 200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each semester, and a total of 1467 students used this clinic program for the three years. Every semester 14 or 15 English-speaking native professors joined in the program to help the students English writings. The students who utilized the program were mainly freshmen taking College English I/II. The students reported that they had the most requests for the formal aspects such as vocabulary, expression, and grammar in their writings before the clinic started. However, after the clinic they perceived that having a writing conference was helpful in all areas including formal aspects and the contextual aspects such as organization and content developments. The stude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face-to-face conference with the English-speaking native professors, and they also perceived that having a conference c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ir English writing skills. Future improvements should include securing an independent clinic space, employing full-time writing conference instructors, introducing an online English writing clinic system, and diversifying clinic programs. The students should strive to enhance their communication skills to be a global citizen, and the school should provide continuous systematic supports.

      • KCI등재

        Does Raters’ Rating Experience Influence English-speaking Test Ratings?

        유경아 ( Kyung-ah Yu ) 대한영어영문학회 2012 영어영문학연구 Vol.38 No.3

        In second language performance tests, rater effect has been a major concern in that it is a potential source of measurement error.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if raters' rating experience affects their English-speaking ratings. Two experienced and two less experienced native English-speaking raters scored 116 Korean college test-takers' English-speaking test respons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GENOVA program and independent samples t-tests. The results revealed that both experienced and less experienced raters yielded almost identical dependability indices, showing that they scored with consistency the English-speaking samples within their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also indicate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rater effect on combined scores between experienced and less experienced raters. However, there is a significant rater experience effect on some analytic rating components such as pronuncia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Mokwon University)

      • KCI등재

        의사소통 중심 대학 교양영어 프로그램 효용성 연구: 학습자와 교수 자간의 인식 차이 고찰

        유경아(Yu, Kyung-Ah)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는 지방사립대학교의 대학 교양영어 교과과정에 대해 교수와 학습자 집단 간의 인식의 차이와 개선할 점을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양영어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초급 집단, 중급 집단, 이들을 가르치고 있는 원어민 교수들을 대상으로 교양영어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용성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먼저 교수자와 학습자 간에 교양영어 수업의 목표에 관한 설문 결과는 집단 간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교양영어의 목표가 학습자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향상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인식하였다. 교과과정 운영에 있어 교수 집단이 학습자 집단에 비해 만족도가 높았다. 강의 규모와 배치 결과에 만족도는 교수 집단이 학습자 집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으며, 학생 집단에서는 강의 규모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하였지만 배치 결과에 대해서는 초급 집단이 중급 집단보다 만족도 비율이 조금 높았다. 교양 영어 수업이 학습자들에게 어떤 영역에서 도움이 되었는지를 물어본 결과 교수자와 학생 집단 모두 교양영어 수업이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하는데 도움을 가장 많이 받았고 쓰기 영역에는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도움이 덜 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온라인 과제의 만족도에서는 교수 집단은 학습자들이 영어실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인식하였지만 학습자 집단의 만족도는 그렇지 않아 견해의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교과과정에 개선사항으로 학습자들은 다양한 수업활동(말하기, 문법, 단어 등)에 대한 요구와 수업시간을 일주일에 두 번 나누어 진행하는 것과 강의실 환경개선에 내용들이 있었으며 추후 견해의 차이를 좁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differently the students and professors in a local university perceived with the modified general English curriculum, and how much they were satisfied with it. To do this, a questionnaire was conducted to ask their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First, it was repor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goals of the general English. The professors and the students perceived that purpose of general English should focus on improving learners"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In terms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and evaluation system, the professor group was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content and evaluation method, and an average of 50% from the student groups were satisfied with the general English program. The professor group showed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he class size and with placement test results was relatively low, whereas the student groups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 class size and their current placement. The survey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rofessors and the students perceived that the general English classes helped improving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skills, but relatively less helpful in writing skills. As for the satisfaction levels with online assignments, the professor group recognized that it could be helpful for learners to improve their English skills, but the student groups perceived it negatively. Several improvements were suggested by the students: various class activities focusing on speaking, grammar and vocabulary, dividing class time twice a week, and improving the classroom environment. Theoretic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A Case Study of the Use of an In-house Oral Exam in a University English Program

        Kyung Ah Yu(유경아) 언어과학회 2013 언어과학연구 Vol.0 No.65

        Evaluating nonnative English-speakers` English speaking ability has steadily been emphasized over the past two decades in the undergraduate English programs at Korean universities. However, there is insufficient information about how classroom-based oral exams are conducted at college level. In this study, an in-house English oral exam was used to measure students` English speaking abilities. This study examined if the evaluations of an in-house oral exam differ among teachers, and whether the oral exam measures the level of achievement of students` English speaking abilities adequately. Additionally,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students perceived the classroom-based oral exam. The data used included both pre-and post- test results of oral exams and survey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the studen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mean difference among teachers, which indicates teachers scored with consistency, and the students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ogress in their speaking abilities. However,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did not fully master the target course objectives.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Placement Practices in University English Language Programs in Korea

        Kyung-Ah Yu(유경아),Chae-Young Moon(문채영),Sang-Keun Shin(신상근)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07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4 No.4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lacement practices in five college English programs and four university language institutes. Specifically,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types of placement tests they administer, the degree of the correspondence between course objectives and test content, and validation procedures. This study also examined teachers" perceptions on the appropriateness of placement decision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web site searches, semi-structured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The results showed that proficiency tests were used for placement purposes in the college English programs. The language institutions administered placement tests only for their speaking courses in the form of oral interviews. The content of placement tests did not largely correspond with the course objectives. All English language programs did not have systematic procedures for identifying misplaced students. Finally, instructors reported that more than one third of the classes included misplaced students. Th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are discussed.

      • KCI등재

        Effects of ESP Courses on Chinese Health Vocational Colleg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곽건(Jian Guo),유경아(Kyung-ah Yu)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5

        본 연구는 중국 쓰촨성 보건직업대학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의학목적의 영어교수학습이 학생들의 영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임상간호를 전공하는 106명이 두 그룹으로 나뉘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은 의학용영어를 내용기반으로 학습하게 하고 통제집단은 문법-번역식으로 학습하였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내용기반 ESP 교육은 학생들이 영어 실력을 향상시키는 데 상당히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주었다. 문법 번역 방법과 비교할 때, 내용기반 ESP수업은 학생들의 듣기와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더 중요한 이점을 나타냈다. 그러나 문법 번역 방법은 학생들의 작문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더 유익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내용기반 ESP 학습이 문법-번역식 학습에 비해 학생들의 읽기 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설문 조사결과 학생들은 내용기반 ESP 교육이 학생들의 전문적인 의사소통 능력을 키우고 영어 사용기회를 늘리고 영어 사용에 대한 자신감이 주며, 단원 주제에 대한 더 나은 이해를 제공하는 데보다 유리하지만 인터뷰결과를 살펴보면 학생들이 그룹토론이나 영어로 말하는 것에 불안감을 느끼고 어려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영어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영어로 말하는 것이 불편하고 예상치 못한 준비 시간이 필요하다고 인식했다. ESP 수업을 실시할 때 학생들의 언어수준과 학습영역에 따른 다른 교수방법의 적용이 필요하겠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SP teaching of medical English on the English proficiency of Chinese medical major students. A content-based language instruction was given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on the basis of traditional grammar-translation method. Both groups were freshmen majoring in clinical nursing and were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ir college learning. The findings showed that the content-based ESP course was significantly effective for the students when it came to improving their English proficiency. Compared with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it manifested a more significant advantage in improving the students’ listening and speaking abilities. However,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was proved to be more beneficial in improving students’ writing ability. Moreover, content-based ESP learning didn’t have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reading performance in comparison with the grammar-translation method. Additionally, the survey results revealed that content-based ESP learning was more beneficial to the students in developing their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increasing their English speaking opportunities, giving them confidence in using English, and providing them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unit topics. However, the interview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experienced some difficulty concerning group discussions or impromptu speeches. In particular, low-level students perceived that speaking in English was uncomfortable and required an unexpected amount of preparation time. ESP learning looks promising, but it is necessary for us to apply a different teaching method according to the students’ proficiency levels and for the skills that they acquire.

      • A Case Study: Effects of Analogy on EFL korean College Sutdent's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유경아 목원대학교 교양교육혁신연구센터 2019 지식과 교양 Vol.- No.4

        제 2 외국어 학습자들이 수정되지 않은 실제 영어 원문을 읽을 때 익숙 하지 않은 개념이나 단어를 만나 독해를 성공적으로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 다. 이전연구에서 보여주듯이 제 2외국어 독자들은 과학과 같은 내용중심 기반 수업에서 실제 모르는 단어를 만나 독해에 어려움을 겪어 지문의 수정 이 다양하게 시도 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영어 능숙도가 높은 집단과 낮 은 집단이 유추적 표현을 사용한 영어지문과 사용되지 않은 지문을 읽을 때 읽기 이해력이 어떻게 달라지는 알아보았다. 읽기 이해력 측정이전에 학습자들의 배경지식을 측정되었으며 이후에 지문을 읽고 회상과업과 객 관식 문항을 각기 풀었다. 지문을 읽고 기억나는 것을 쓰게 하는 회상과 업에서는 두 집단 모두 유추적 표현지문을 읽을 때보다 원래 지문을 읽을 때 기억을 더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두 집단 모두 유추적 지문 을 읽을 때 지문에 대한 이해력은 그렇지 않을 때보다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A Case Study of Teacher Coaching on Question Use

        Yu, Kyung-Ah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교육연구소 2017 대학교양교육연구 Vol.2 No.1

        본 논문에서는 대학생들에게 영어를 가르치는 원어민 교수가 수업시간에 어떤 종류의 질문을 많이 사용하는지와 질문 유형에 대한 코칭 이후에 교실에서 질의하는 질문 유형에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질문 유형에 따른 학습자들의 발화 길이와 문장의 복잡성을 단어수와 문장의 절, 발화 단위로 비교하였다. 이를 위해 수업 관찰을 두 번 하여 수업시간에 사용한 교사의 질문을 빈도 분석하였다. 두 번째 교실 관찰 이전에, 교사 코칭이실시되었는데 주로 질문 유형을 스스로 파악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코칭 전에 교수는 수업시간에 전시형(display question) 질문을 참고형(referential question) 질문보다 더 많이 사용하였으나 코칭 이후에는 참고형 질문을 더 많이 사용하였다. 또한 질문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응답 길이와 구문론적 복잡성을 살펴본 결과, 학습자들이 전시형 질문보다 참조형 질문 일 때 응답이 훨씬 길고 구문론적으로 복잡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교수자는 영어 질문 유형과 교실에서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질문 유형을 인지함에 따라 효과적인 의사소통 수업을 위해 자주 사용하는 질문유형이 달라질 수 있으며 학생 참여를 보다 더 활발하게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is paper mainly focused on what types of questions were more employed in a Korean college-level English class and whether English-speaking teacher’s questioning behavior has been changed after the coaching on the teacher’s question use. To do this, classroom observations were conducted two times, and the teacher’s verbal talks were transcribed. Before the second observation, a teacher coaching session on question use was provid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more display questions than referential in the teacher talk before the coaching. However, the teacher utilized referential questions more frequently than he did at the first observation. The findings also revealed that the students’ responses to referential questions were much longer and more syntactically complex than their responses to display questions, which led the class more interactive and let the students have responsibility for their 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