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Klopfer 의 科學敎育目標 分類體系에 의한 학력고사 문항과 地球科學 敎科의 目標分析과 비교

        원혜영,최승언,정희옥 한국지구과학회 1990 韓國地球科學會誌 Vol.11 No.2

        One of fundamental bases for the desirable Science Education is effective evaluation, and the objectives of the Science Education can be used for the reasonable basis of this evaluation. In this paper, to study the current state of the high school Earth Science Education, comparison was made between the objectives of Education proposed by textbook and those to be measured by Scholastic Achievement test, and the result was analyzed. 1. The objectives of both the textbook and Scolastic Achievement test are highly oriented to obtain theory and comprehension. 2. The objectives which measure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are to some extent satisfied by the textbook but not by the Scholastic Achievement test. Consequently the future evaluation process should be modified in order to evaluate properly the ability for the process of Scientific Inquiry of the students properly.

      • KCI등재

        탈종교를 지향하는 불교적 황금률: 우주와 자연법에서 자아와 무아

        원혜영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20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6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moral golden rule. The Golden Rule, which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go(我, self) and the absence of ego(無我), can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way: If the self has a selfish disposition, and moral and ethical standards are strictly enforced, it is necessary to respect the religious morals brought by the strict system as much as possible. Unfortunately, it is not that simple. However, it is hard to conclude that absence of ego (無我) is in line with the golden rule. Even if the equality and fairness of the absence of ego(無我) in a community are entirely in line with the ideals of the golden rule, the indiscriminate views and liberties of the absence of ego(無我) can only encourage meaningless situations of the community. For the absence of ego(無我) does not think of others in light of herself, but rather applies the principle of starting from others, not discriminating between others and oneself. Therefore, it is called the Buddhist Golden Rule, because what is related to the absence of ego(無我) is ideal, and discussions related to self are secular and therefore not easily classified as appropriate to apply to the Golden Rule. At a point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the ego(我) and the absence of ego(無我) are properly distributed within the Golden Rule, moral ethics can be spread with metaphysical character, so it is necessary to define such a basis for existence. It may be argued that the ego (我) and the absence of ego(無我) owned the Golden Rule as ideal and universal truth because they owned this allocation, and we would like to try to discuss it. Discuss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ego(我) and the absence of ego(無我) can be seen as a golden rule different from vague and active guidelines. It belongs to the Golden Rule in that the application based on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he laws of the ego(我) and the absence of ego(無我), and what came to be done with the knowledge of it, are the ideal rules for the community. If the Golden Rule is applied as a consideration for others, and it is applied to the harmony of the community, the Golden Rule through the self(ego) of Buddhism and absence of ego(無我) has the same purpose. However, as the golden rule mentioned in each religion is well adapted to the present times, the way in which Buddhism's absence of ego(無我) and Self's ethics are understood and performed is important so that they can be revealed in a high- dimensional manner. 자아와 무아 사이에서 다루어지는 황금률은, 자아 자체가 이기적인 성향을 지녀서 도덕 윤리적 잣대를 엄격하게 하고, 그래서 엄격한 계율이 가져오는 종교적인 성향들을최대한 존중할 필요가 있다고 가정할 수 있지만,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그렇다고 무아가 황금률에 부합한다고 단정하기도 어렵다. 무아가 가진 공동체의 평등성과 공평성 등이 황금률이 가진 이상성에 전적으로 부합한다고 하더라도, 무아가 가진 무차별적인 보시나 해방성은 자칫 공동체의 무의미한 상황들을 조장할 수 있다. 무아는 남을 자기에비추어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남과 나를 차별하지 않는 것에서 출발하는 원리를 내포하기 때문이다. 무아에 관련된 것이 이상적이라 불교적 황금률이라고 하고, 자아에 관련된 논의들이 세속적이라 황금률에 적용하기 알맞다고 쉽게 분류할 수도 없다. 자아와무아의 경계가 황금률 안에서 적절하게 배분되는 지점에서, 도덕윤리가 형이상학적인성격을 내포하면서 펼쳐질 수 있기에 그런 존재근거를 규정할 필요가 있다. 자아와 무아가 이런 배분을 소유했기에 이상적이고 보편적 진리로서의 황금률을 소유했다고 주장할 수도 있어서 관련된 논의를 시도해보고자 한다. 자아와 무아의 법칙들의 적절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적용, 그리고 그것을 숙지한 상태에서 행하게 된 것들이 공동체를 향한 이상적인 규칙이라는 점에서는 황금률에 속한다. 황금률이 남을 위한 배려 차원에서 적용되고, 공동체의 화합을 위해 적용한다는 목적을 가졌다면 불교의 자아와 무아를 통한 황금률은 같은 목적을 갖는다. 다만 각각의종교에서 언급되는 황금률이 현시대에 잘 적응되고 있듯이, 불교의 무아와 자아의 윤리가 고차원적인 방식으로 드러날 수 있도록 이해하는 방식이 중요하다.

      • KCI등재후보

        오분율 10사(事)

        원혜영 사단법인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7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3 No.3

        This paper explains why the ten points received interpretations which varied according to the sources. One hundred years after the Buddha's Nirvana, bhiksus of Vaisali promulgated ten practices as being licit, 1. salt in a horn, 2. two finger, 3. another village, 4. dwelling in the same district. 5. approbation, 6. rule of conduct. 7. sour milk. 8. new palm-wine 9. mats with fringes, 10. gold and silver. In the choice of their interpretations, the various Vinayas were not guided by mere fantasy. They took the trouble to find in their rules, which had already been codified. passages dealing with the points and enabling them to be condemned. In the Mahisasaka Vinaya, it is an extension of that matter to deal with the problem of the ten points. 이 논문은 10사(事)에 자료에 따른 여러 가지 해석을 설명한다. 붓다열반 100년후 바이샬리 비구들이 10사를 합법적으로 발표했다. 1. 염정, 2. 이지정, 3. 취락간정, 4. 취처정, 5. 수의정, 6. 구주정, 7. 생화합정, 8. 수정, 9. 불익루니사단정, 10. 금은정 등 이다. 각각의 율장들은 자신들이 원하는 해석을 선택하는 데 있어 상상력에 좌우되지 않았다. 각 율장들은 이미 편찬된 그들의 계율 가운데 논쟁점들을 찾았고 그것들을 유죄로 선고할 수 있는 구절들을 찾는데 고심했다. 오분율에서 10사 문제를 다루는 것은 그것의 연장선상에 있다.

      • KCI등재후보

        마라(Māra)의 악몽 -불교 경전에서 마라의 역설적 해석을 중심으로-

        원혜영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0 禪文化硏究 Vol.8 No.-

        As the greatness of Buddha is recognized, the demonic characteristic of Māra is generally recognized. In the traditional Buddhist scrip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Buddha and Māra is described clearly. This paper will include legends and stories on Māra. Everything with demonic characteristics is with excess and cruelty. The hidden and aggressive demonic qualities of Māra described in the Buddhist scripture are different from the corresponding demonic characters of other religions. The conversation between Buddha and Māra described in the Scripture is respectful, kind to each other. And the excessive quality of Māra is not clearly shown. Episodes w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devils and humans are explained in Buddhist Scripture allows to us to think different interpretations on their relationship. Contrasted with Buddha, Māra plays a role as a dark shadow. In Buddhist Scripture, as images and symbols, Māra means temptation, interference or death. These meanings are sometimes displayed or hidden by the relationship with Buddha. This paper aims at interpreting Māra’s common images by a different approach, which sees Māra not as ugly or horrible being but as a part of humans. According to Buddhist Scripture, humans are not the absolute or complete prisoner of Māra, but Māra is a part of humans. Māra is involved in human affairs more extensively than we think it is, and is deeply intertwined with human minds. This means that humans are beings which can do the goodness and evil as beings of free will. Humans can be liberated from Māra’s temptation if they want to and if they do not try, they can be trapped by Māra’s demonic intention. Māra satisfactorily reveals its existence in a common way. I think the existence of Māra is essential for Buddha or his followers to complete their religious practices. 붓다의 위대함을 인정하듯이, 마라가 가진 악마성을 인정하는 것은 일반화되어 이해하기 쉽다. 전통적인 불교 경전에서 붓다와 마라의 관계를 위장하거나완화할 수는 없을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마라와 관련된 예전의 전설이나많은 지식을 가볍게 전달하려고 하지는 않겠다. 악마성을 가진 모든 것들은 무절제하고 거침없이 퍼붓는 잔인함이 크게 작용한다. 불전에서 보인 마라의 매복성과 공격은 악마적 기질을 가진 다른 종교에서, 그와 같은 위치에 있는 대상들과차이가 있다. 붓다와 마라는 서로를 정중하고 친절하게 대우하는 듯이 느낄 정도로 불전의 텍스트에서 그들의 대화는 점잖다. 마라의 무절제성도 거의 찾아볼수 없다. 악마와 인간 사이의 문제에 매력을 느끼게 하는 여러 다른 종교의 에피소드에 비하면 불전에 나타난 마라는 다른 흥미로운 시각을 열어둔다. 붓다라는 상징을 뒤로 하고 마라는 항상 어두운 그림자 역할을 한다. 불전에서마라가 의미하는 이미지, 상징은 다양하다. 유혹하거나 방해하거나 죽음을 의미하는 것 등이며, 다각적인 방법 안에서 마라는 붓다에 의해 한편으로는 부각되고다른 한편으로는 좌절된다. 필자는 그런 일반적인 이미지에 긍정하면서 마라에 관련된 다른 해석을 해보자 한다. 정면으로 바라본 마라가 아니라 다층적으로 바라본 마라는 흉하지도끔찍하지도 않았다. 불전에서 인간은 마라의 절대적이고 완전한 포로가 아니라, 부분적 성향을 가졌거나 인간 외부의 존재하는 것으로 각인된다. 마라는 대중이 생각하는 것보다훨씬 광범위하게 세상에 관여하며 우리 정신에 깊이 침투해 있다. 불교경전에서마라의 존재에 관련한 상정은 인간이 선과 악에 자유롭게 넘나드는 자유로운 정신의 소유자임을 밝히는 일인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마라는 그를 극복하려는 마음먹음이 있으면 자유롭게 마라에게서 해방될 수 있으며, 그렇지 않다면 마라의의도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마라의 입장에서 보면, 만족스럽고 점잖게 그 위치를 드러낼 수 있기에 흡족했을 것이다. 이런 관계를 전진적으로 바라보면서,필자는 붓다와 수행자의 완벽한 완성을 위해 마라라는 대상이 존재한다는 새로운해석을 하고자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베산따라왕의 보시는 정당한가 -정치와 윤리를 중심으로-

        원혜영 한국여성철학회 2015 한국여성철학 Vol.23 No.-

        베산따라의 보시가 개인적으로 다루졌지만, 그것은 공동체의 유대감을 이끄는 정치적이고 윤리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베산따라왕의 에피소드가 추구하는 목적은 무아설의 존재론적 철학적인 문제를 실천적이고 직관적으로 경험하게 한다. 베산따라왕에게서 우리는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를 경험할 수 있다. 보시를 하려는 대상, 보시물, 보시 후에 어떠한 보답 등에 차별이 없는 것으로, 최상의 보시이다. 베산따라 스토리에서 코끼리 보시는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며, 자신이 가진 모든 소유물들을 보시한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어려운 일이다. 베산따라가 가족을 보시하는 것에서, 우리는 그가 아이들까지 보시함으로 인해 그의 잔인한 보시에 대해 참을 수 없는 감정을 느낄 것이다. 아내 마띠를 보시한 것은 아이들의 보시 후에 이루어지는 또 다른 에피소드로, 베산따라의 마지막 행동이 ‘나에 대한 집착을 포기함’이기에, 사실상 이 부분은 에피소드의 절정이다. 하지만 독자들은 이 부분에서 곧 절망하게 될 것이고 아이들을 보시한 이야기와 심각하게 비교하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의 문제제기는 이러한 에피소드의 내용에 근거한다. 고대 인도사회에서 왕이 가진 신성함은 관대한 보시와 권력 사이에서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가. 또한 베산따라왕이 아내와 아이들까지 보시하는 것에, 윤리적인 문제는 없는 것일까. 마띠와 아이들은 독자에게 동정심을 불러일으키지만 도덕적 주체자는 아니다. 윤리적인 문제는 베산따라에게 있다. 놀랍게도 강력한 권력에 복종하는 일은 불교 텍스트에서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이러한 점을 집중적으로 거론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