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격의불교(格義佛敎)에 대한 재고(再考)

        원필성(Pil Sung Wo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1 佛敎學報 Vol.0 No.58

        중국불교의 다양한 특징 중의 하나인 격의불교에 대해 가장 일반적인 정의를 내린다면 아마도 ``외래종교인 불교를 전래자들이 중국고유 사상과의 이질적인 면을 해소 시키는 방법으로써 중국 고유사상 가운데 불교교리와 비슷한 개념을 이용하여 불교를 보다 쉽게 중국인들에게 접근 시키는 방법``이라고 정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과 필요성은 魏晉南北朝 시기의 혼란기를 맞이하여 당시 玄學의 기풍을 타고 상당한 결과를 보게 되었다. 그러나 어디까지를 격의불교라 할 것이며, 격의불교는 왜곡되고 잘못된 불교인가? 아니면 불교의 전래과정에 있어서 어쩔 수 없는 선택인가? 등의 물음에 대해 지금까지의 방식 혹은 정의로써는 이에 대한 대답이 간단하지 않다는 것이다. 그것은 격의라는 개념을 단순히 고정된 범주로서 취급한다면 이러한 문제제기는 계속해서 이어져 그 순환을 끊을 수가 없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제기한 격의불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안으로서, ``중국불교는 역사의 진행과 더불어 멈추지 않는다``라는 중국불교의 가장 일반적인 특징에 의거하여 격의라는 개념을 과정과 흐름의 개념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논문에서는 이러한 해석방향과 논증을 위해 먼저 격의불교와 관련한 일련의 전개과정을 살펴보고, 이와 더불어 동진초기의 육가적 격의가 올바른 반야공사상의 이해로 넘어가는 과정에 있어서 도안이 어떠한 역할을 하였으며, 또 그의 전기 내지 사상에서 보이는 連類라는 개념이 이전의 격의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하여 격의의 가장 일반적인 정의가 특정 시기 혹은 시대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중국불교 전면에 걸쳐 전개하였고 또 지금도 진행 중이라는 점을 검증하고자 한다. According to tradition,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to China in the first year of the Yuan-shou(元壽元年) era (哀帝 B.C.2) under the reign of West Han(西漢). The Buddha(浮屠) was worshiped by Chinese emperors via both religious rules and sacrifice under reign of prince Ying(英) and Emperor Huan-Ti(桓帝) of the Han Dynasty. This rapprochement shows that Buddhism, as a foreign religion, embraced the ideas and practices of Chinese native cults in order to domesticate in China soil. Buddhism counted upon the Chinese thought and embraced the Huang-Lao(黃老) philosophy as a magic method. This refers to Huang-ti, the Yellow Emperor, and Lao-tzu. The followers of Huang-Lao emphasized the suppression of passion because wealth and sensual pleasures were considered to be the roots of passion. They also claimed the removal of unconditioned method and birth-dying of soul. Because these thoughts were considered to be the dominant ideas at that time, people believed Buddhism was an immortal method taught by believer of Huang-Lao, and they thought Buddhist thought was one Taoist magic. Prince Ying mentioned that I worshiped the valuable teaching of Huang-Lao, and I enshrined the Buddha. Also Emperor Huan set up an altar where he sacrificed to Huang-Lao and the Buddha. This fact suggests that the Buddha was worshiped by them with Lao-tzu together. Speaking generally Buddhism under the Han dynasty was aperiod of Buddhist magic because of these reasons. Buddhism was not considered an independent religion during the Three Kingdoms. The circumstances of Buddhism under the Han dynasty were changed by pedantic scholarship during the end of Wei(魏) to the beginning of Western Chin(西晉). Because the pedantic scholarship was very much in vogue, Buddhism shifted to mutual induction. That is, since the Buddhists of this period were familiar with the external or Taoist literature, it is not surprising to find them having recourse to Taoist texts for words and phrases to use in their translations. This practice of the Buddhists of searching through Chinese literature, mainly Taoist, for expressions to explain their own ideas is known as Ge-I(格義), or the method of matching the meaning. This method was used especially by the translators of the Prajna sutras for the purpose of making Buddhist thought more easily understood by the Chinese. This tendency brings various scholarship such as 六家七宗. Since the Ge-I was interpreted by 六家 even divergent from the original teaching of Lao-tzu(老子), the existent come into being through nonbeing (無中生有) which focused on the origin of universe, the Ge-I considered both the emptiness of Prajna and nonbeing of Taoist as metaphysical being or absolute essence. And, the method of Ge-I distinguished the interpreted system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ssence and existent(本末關係). That is, the pedantic scholarship suggesting universal ontology or substantialism such as nonbeing was essence and existent was event(本末有無). This tendency was presented by both 何晏 and 王弼. They interpreted the Yi Jing (易經) and the Confucis (論語) and prove ideas or concepts such as 本末·體用·一多·靜動·常變·言意 in terms of philosophical thought. In Buddhism Prajna philosophy also changed from former Ge-I to a new way of interpretation of when they met this frequency. In this paper, all processes as above mentioned were set up after Kumarajiv(鳩摩羅什) arrived in 401 to present the authoritative interpretation of Buddhist thought and translated the Buddhist texts correctly. These processes were considered the evolution any process of Ge-I as a transitional period for the connecting of righteous interpretation and under standing of Prajna emptiness thought. That is, the interpretation of 六家 as a method of Ge-I, and the concept of emptiness in Buddhism as existent which caused the universe, under the Eastern Chin seems to be a transitional period of Ge-I. I believed that this method of interpretation was also a transitional period for the bringing of proper understanding of Prajna emptiness

      • KCI등재후보

        部派佛敎의 佛身에 대한 논쟁과 龍樹의 佛身觀 성립에 대한 一考

        원필성(Won, Pil-Sung) 한국불교연구원 2009 불교연구 Vol.31 No.-

        석존입멸 후, 불교는 점점 교화의 영역을 확대하여 인도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달되었으며, 또 이러한 과정 속에서 몇 가지 본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에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초기불교부터 佛陀觀 내지 佛身觀에 있어서 붓다를 점점 신화적 인물로 만들려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다. 즉 석존이 열반하고 나서 시간이 점점 흘러감에 따라서 석존의 인격에 대한 생각도 점점 불확실해지게 되었으며, 석존과 관련 있는 몇 가지 신비적인 전설은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석존이 神으로서 세상에 내려왔다고 생각하여 각종 신비한 이야기들을 조금씩 첨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에 반대하는 이들은 석존의 위대성이 신통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충만한 지혜와 자비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부파불교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북방과 남방이 서로 다른 이야기를 전하고 있지만 이들의 전설 속에서 다음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즉 석존의 가르침에 대해 불교교단에서 진보적 경향과 보수적 경향을 가진 세력이 서로 다른 해석으로 인해 충돌이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부파들 사이에 발생한 충돌은 비단 교법과 계율의 문제뿐만 아니라, ‘열반 후 더 이상 눈앞에 존재하지 않는 석가모니 부처의 존재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라는 불신관에 대한 문제도 중요한 분열 원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說一切有部(Sarvāstivādin)와 大衆部(Mahāsaṇghika) 사이에서 위와 같은 견해 차이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 서로 견해가 나타나는 가장 근본원인은 이 두 분류의 사상적 경향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유부는 전통을 중시하였기에 시종일관 인간적 불타에 그 초점을 맞추는 보수적 경향을 유지하려 하였다. 따라서 불타라 하더라도 식사와 수면 등의 육체적인 활동이 일반 범부와 다를 수 없다고 보았으며, 정신적인 면에서도 어느 정도의 제한이 불가피하다고 본 것이다. 그러나 대중부는 시종일관 이상화 혹은 신앙적으로 승화된 불타에 그 초점을 맞추는 진보적 경향을 유지하려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진보적 경향이 결국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공간에 존재하며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초인격적인 神과 같은 절대적 존재로 불타를 승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서로 다른 경향에서 출발하여 돌출된 불신관이 불교교단이 분열의 길로 걸어가게 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음은 분명하다. 그리고 부파불교에서의 불신에 대한 논쟁은 이후 대승불교의 흥기의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며, 특히 용수는 『대지도론』에서 부파불교의 대중부와 유부의 위와 같은 논쟁에서 얻어지는 불신관을 흡수하여 자신의 법신관과 생신관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불신관에 대한 부파불교의 논쟁이 용수의 『대지도론』에서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파불교의 불신관의 논쟁에 이어서 용수가 시도하고자하는 새로운 방향의 불신관이 어떤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의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은 불신관 전체의 전개방향을 파악하는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After the demise of the Buddha, Buddhism has spread from the India to the other countries and the spread of Buddhism, it has brought a few of fundamentals changes of views on the bodies of the Buddha. In these changes, we have to consider a tendency which is that deification of the Buddha since the Buddhist communities were established by Śākyamuni's grieving followers. After that time, the view of the Buddha has been getting as well as uncertain because of the Buddha's death and at the same time many of mysterious story of Śākyamuni Buddha have been spread rapidly. According to this influence people who is member of one of the Buddhist communities believed that Śākyamuni Buddha has came to people as God and they also made other mysterious stories. However, people who is not agree this view of Śākyamuni Buddha as God, they believed that Śākyamuni's greatness is not transcendental power but the wisdom and the compassion. There is a common sense of the cause of the School Buddhism, even though Northern and Southern Buddhism does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cause of the School Buddhism. In the centuries after the death of the Buddha there arose a number of schools, often their own view on the bodies of the Buddha. In other words, it is true that there is the conflict between conservative trends and progressive trends on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n Buddhist schools. Futhermore, this conflict does not only concern the teaching of the dharma and the discipline but also the issue is that how to interpret the Buddha, Śākyamuni Buddha, since there is no human being after the Nirvāṇa of the Buddha. This issue is one of the main cause of Buddhist schism in the historical event. There do differ, and their difference indicate past schism and form fruitful fields of minute comparison for modern scholar. Therefore, I will focus on the essential nature of the Buddha, the view of on the bodies of the Buddha, through both Sarvātsivādin and Mahāsaṇghika as well. In School Buddhism, the debate of Buddhakāya, the view of on the bodies of the Buddha, has been closed the arose of Mahāyāna Buddhism. One of the famous Buddhist scholar, Nāgārjuna has developed both dharmakāya theory and Sambhogikakāya theory in Mahāprajñapāramitā śastra, one of the important śastra in Mahāyāna Buddhism, because he has used the view of on the bodies of the Buddha which is the debate between Sarvāstivādin and Mahāsaṇghika. It means that the debate of the Buddhakāya in school Buddhism has been interpreted as a new direction in the Mahāprajñapāramitā śastra. Therefore, the examine of both the content of Nāgārjuna's view of on the bodies of the Buddha, what Nāgārjuna wants as a new direction, and the significances of itself will be an important key to understanding of developing of the bodies of the Buddha.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