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어교육

        원진숙 국립국어연구원 2001 국어학 연감 Vol.2001 No.-

        지금까지 2000년 한해 동안 나온 국어교육 관련 연구 성과들을 개관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서 지난 한해 동안 국어교육 분야에서는 국어교육학의 학적 체계화는 물론이고 다양하고 심도 깊은 연구 주제와 방법론의 모색 등으로 연구의 지평이 훨씬 더 넓어졌고 양적으로나 질적으로나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지난 한해의 두드러진 연구 경향으로는 선언적인 수준의 논의나 피상적인 이론의 모색 차원을 벗어나 실제적인 실험 연구가 늘어났다는 점, 국어교육 못지않게 한국어 교육 분야의 연구 성과가 현격하게 늘어났다는 점, 학제적 성격이 강한 실용 학문답게 텍스트 언어학, 대화 분석, 문학 이론, 매체 이론, 문화론 등 인접 학문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국어 교육학에 적용한 일련의 연구 성과가 많았다는 점, 7차 수준별 교육이나 수행평가 등의 교육 정책의 변화에 따른 실제적이면서도 현실적인 국어교육학의 대처 방안 모색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는 점, 21세기 지식 정보화 사회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다방면의 학문적 노력이 이루어졌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연구 성과들은 그 어느 해보다도 국어교육학의 학문적 역량을 튼실하게 다지고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바람직한 국어 교육학의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그 연구사적 의의가 적지 않다고 할 것이다. 제한된 지면 사정으로 본고에서 미처 거론하지 못한 연구 가운데 훌륭한 연구들이 많을 줄 안다. 또 거론된 연구 중에서도 연구 성과에 걸맞게 응분의 대접을 받지 못한 연구나 제대로 소개되지 못한 것들이 있을 수 있다. 모쪼록 너그러운 양해를 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구성주의와 작문

        원진숙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18 No.-

        이 논문의 목적은 우리 작문 교육 분야에서 구성주의적 작문 이론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되어 왔는지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작문 교육의 지향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구성주의 작문 이론은 5차 교육과정기 이후 과정을 중심으로 하는 작문 교육의 방향을 주도해 오면서 우리 작문 교육 분야의 학적 토대를 제공해 왔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고에서는 구성주의 작문 이론의 전개 양상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바탕으로 하여 바람직한 작문 교육의 대안으로 사회인지적 관점에서의 문제해결적 접근 방법, 다양한 목적과 장르, 여러 유형의 독자와 이들로부터의 다양한 반응 등을 경험할 수 있게 해 주는 글쓰기 교육, 과정과 결과의 균형잡힌 워크샵 중심의 작문 교육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iew critically how the constructive paradigm has been developed in our writing study and education field and to suggest desirable direction of writing education. Constructive writing theory has been leaded process-oriented writing education since 5th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Arts period. This constructive writing theory has very special meaning in that it has provided strong scientific foundation of our writing education field. In this paper, we suggest three alternative methods of writing education in our elementary writing classroom-problem solving approach in the view point of social cognitive theory of writing, writing experience based upon various writing purpose, genre, audience and response, writing workshop activity balancing process and product.

      • KCI등재
      • 한방병원에서 가정의학과 진료 내용 분석

        원진숙,신선호,김혜정 圓光大學校 醫科學硏究所 1998 圓光醫科學 Vol.14 No.2

        Background: Recently social requirement for collaborated treatment of medical practice with oriental medicine has been increasing. This study is designed to provide the guidance of role of family medicine physician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to help the establishment of interdepartmental cooperation between western and oriental medicines. Methods: Medical records of a total 973 patients administered in Chonju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Wonkwang University from January Ito June 30 were reviewed. Data including sex, age distribution, periods of administration, past history, major clinical manifestations, diagnosis, laboratory tests, medications were collected and expressed as a percentage. The classification of Diseases was made according to ICPC. Results: Of 973 patients, sex ratio was 1:1.4 with female predominance and age distribution was highest in fifties and sixties (48%). Past history was dominated in cardiovascular disease (30.1%), postoperative sequele (16.4%) and diabetes (12.2%). Chief complains were ordered in frequency as arthralgia and myalgia (42%), hemiplegia (26%), dysphagia (17%), headache (13.8%), dizziness and vertigo (11.5%). Major diagnoses were cerebrosclerosis (39.7%), HNP (21.4%), cerebral hemorrage (11.2%) and arthritis (8.79%). Diseases of the administered patients were classified as cardiovascular (50.8%), musculoskeletal (31.8%), gastrointestinal (6.2%) and nervous systems. Conclusion: The main categories of the patients who were aided by family medicine physician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were chronic debilitating diseases including cardiovascular disease and diabetes. To establish an effective collaboration of family medicine physicians in oriental medicine hospital, the doctors needed expert skills for treatment of supportive cares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and their complications.

      • KCI등재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의 평가

        원진숙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16 No.-

        이 논문은 제7차 국어과 수준별 교육과정이 지향하는 바람직한 국어과 평가의 방향을 초등단계를 중심으로 정리하고 그 구체적인 대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습자의 개인차-학습 능력, 학습 속도, 관심사 및 흥미 등-를 인정하고 각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의미있는 학습 경험을 제공해 주고자 하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평가는 무엇보다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하는 발달직 관점에 토대를 두어야 할 것이다. 본고에서는 제7차 수준별 교육과정의 본질 추구에 이바지할 수 있는 평가가 되기 위해서는 평가에 대한 근본적인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전제 아래, 그 구체적인 대안으로 생태학적 평가 패러다임과 그 구체적인 평가 원리를 제안하였다. 교수·학습 과정과 평가의 통합을 특성으로 하는, 이 생태학적 평가는 학습자마다 개인차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하고 획일적인 평가보다는 좀더 다원화되고, 개별화된 평가를 통해서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을 도보하는 데에 가치를 둔다. 따라서 일회적인 결과적 수행보다는 일정 기간을 두고 지속적으로 학습자들이 교수·학습 과정에서 보여 주는 다양한 수행 국면들을 포착하여 해석하고 기술해 가는 평가 방식을 지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desirable evaluation direction based on the 7th Korean Literacy Curriculum. 7th level-based Curriculum presupposes individual differences-learning capacity, learning pace, interests etc-to affect the Korean literacy. So the 7th Curriculum is intended for giving the meaningful learning experience appropriate to each student's level. The focus of level-based curriculum is developmental view to aim the growth of each students. In this paper, I propose an ecological assessment paradigm as an alternative and several kinds of concrete literacy performance-based principles. Ecological assessment paradigm is based on the developmental view. For assessment to be ecological, it must be ongoing and integrated with instruction and learning-part of the classroom ecosystem. In this paradigm, teachers who are creating authentic literacy environments assess ecologically by capturing, describing, and interpreting authentic literacy events and behavi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