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근대 과학혁명과 음악의 합리화

        원준식 한국미학예술학회 2013 美學·藝術學硏究 Vol.37 No.-

        근대 과학혁명은 자연에 대한 탐구에서만이 아니라 음악의 합리화 과정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음악이 17세기 과학자들의 주요 관심분야였다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다. 17세기까지는 음악이 과학의 한 분과로서, 산술, 기하, 천문과 함께 4과(quadrivium)에 속해 있었기 때문이다. 음악에 대한 그들의 과학적 탐구는 음악이론의 중요한 주제들을 합리적으로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음악 자체의 합리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음악과 과학의 연관은 진동하는 현의 길이와 음높이 사이의 관계에 대한 피타고라스학파의 발견에서 비롯되는데, 그것은 수학적으로 정식화된 최초의 자연법칙이라고 할 수 있다. 그들은 옥타브와 5도, 4도의 완전 협화음과 그것들이 각각 1:2, 2:3, 3:4의 비를 이룬다는 것을 발견했는데, 이 협화음들에 근거한 피타고라스 음계가 고대 그리스부터 중세까지 사용되었다. 그러나 중세 말 다성음악의 발전과 함께 피타고라스 음계는 협화적인 3도와 6도를 갖는 순정률에 밀려났는데, 이는 3도와 6도 없이는 다성음악이 불가능하기 때문이었다. 차를리노(Zarlino)는 피타고라스의 테트라튀스(tetratys)를 세나리오(senario)로 대체함으로써 순정률을 체계화하는데, 이제 협화음의 비율은 6 이내의 수로 구성된다. 이처럼 수를 협화음의 원인으로 간주한다는 점에서, 차를리노의 이론은 피타고라스처럼 수 신비주의로 특징지을 수 있다. 케플러(Kepler)도 차를리노처럼 다성음악과 순정률을 옹호했지만, 그는 협화음의 원인을 수가 아니라 기하학적 도형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원에 내접하는 정다각형 즉 정3각형과 정4각형, 정5각형에 의해 잘린 원의 호들에서, 협화음과 불협화음을 구별하는 기준을 찾았다. 이런 점에서, 그도 일종의 신비주의 즉 기하학적 신비주의로 특징지을 수 있을 것이다. 음악에 대한 실험적 접근은 이탈리아의 음악가 빈센초 갈릴레이(V. Galilei)에서 시작되는데, 그의 목적은 차를리노의 이론을 반박하는 것이었다. 그는 실험을 통해, 옥타브를 산출하는 현 길이의 비는 2:1이지만 현에 매달린 추의 무게비는 2:1이 아니라 4:1이라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5도를 얻으려면 추의 무게비가 9:4가 되어야 하는데, 이는 곧 협화음의 비율이 반드시 처음 6개의 정수 안에 포함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 갈릴레오 갈릴레이(G. Galileo)는 빈센초 갈릴레이의 발견과 함께 베네데티(G. B. Benedetti)의 일치이론을 받아들여 새로운 음악이론을 구성했다. 일치이론에 따르면 음파의 펄스들이 일치하는 빈도에 따라 음정의 협화도가 결정되는데, 두 음의 펄스들이 자주 일치하면 조화로운 소리가 나고, 그렇지 않으면 귀에 거슬리는 소리가 난다는 것이다. 여러 약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치이론은 적어도 반세기 이상 동안 모든 음악과학적 탐구의 출발점이 되었다. 근대 과학혁명이 음악에 미친 영향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음악이론으로부터 신비주의를 몰아냈다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 바로 실험이다. 실험은 수 신비주의에 맞서 그 오류를 입증하고 궁극적으로 그것을 전복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이었다. The Scientific Revolution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rationalization in music as well as in the inquiry into nature. The fact that music belonged to the research interests of many major scientists of the 17th century was not due to chance, because music until the 17th century was a branch of science and held a place among the quadrivium beside arithmetic, geometry and astronomy. Their scientific inquiry into music had the major influence on rationalization of music itself as well as developed the musical theses rationally. The connection between music and science forged by the Pythagorean school's discover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a vibrating string and pitch - generally accepted as the first law of nature to be formulated mathematically. They discovered the perfect consonances of the octave, 5th and 4th, and their ratios (1:2, 2:3, 3:4), and the Pythagorean scale based on this system of consonances has been employed during Antiquity and the early Middle Ages. But with the development of polyphony in the later Middle Ages, it gave way to just intonation having consonant 3rds and 6ths, without which there can be no polyphony. Zarlino systemized the just intonation by substituting senario for Pythagorean tetractys, and thus the ratios of the consonances are contained within the numbers 1 to 6. Zarlino's theory as well as Pythagoras's can be characterized by number-mysticism, in the sense of taking the numbers to be the causes of consonances. Kepler, like Zarlino, advocated the polyphony and the just intonation, but insisted that the causes of consonances must be sought not in numbers but in geometrical figures. He looked for the criterion for distinguishing consonance and dissonance in the arcs of a circle cut off by the regular inscribed polygons; equilateral triangle, square and pentagon. In this sense, he also can be characterized by a kind of mysticism, a geometrical mysticism. The experimental approach to music began with Vincenzo Galilei, and his goal was to refute Zarlino's theory. He discovered by means of experiment that the ratio of the string-lengths to produce octave is 2:1, but the ratio of the weights suspended from the strings is 4:1, not 2:1. Thus in order to get 5th, the weights have to be in the ratio 9:4. Consequently the ratios of the consonances are not necessarily contained in the first six integers. Galileo Galilei accepted the coincidence theory of consonance from Benedetti, according to which the degree of consonance of a two-note cord is determined by rarity of frequency with which the pulses of the sound-waves exactly coincide. If the pulses of the two notes coincide fairly often, then the interval is fairly consonant, and if less often, then less consonant. In spite of several weak spots, the coincidence theory became the starting point of all subsequent musico-scientific inquiry for at least half a century. The most important thing of the effects that the Scientific Revolution had on music was to expel mysticism from music theory. It is experiment th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the expulsion. Experiment was the effective means to demonstrate the errors of number-mysticism and ultimately to overthrow it.

      • KCI등재

        과학의 미학적 차원

        원준식 한국미학예술학회 2019 美學·藝術學硏究 Vol.56 No.-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aesthetic moments in science and elucidate what a meaning they can have in scientific practices. Here the relation between aesthetics and science is examined in two respects, one being beauty of nature as a purpose of scientific inquires and the other being beauty of scientific theory itself. The former is based on the belief that such aesthetic moments constitute the principles of nature, and the latter presupposes the belief that a beautiful theory is closer to truth. These believes, of course, do not guarantee the truthfulness of the theory. Nevertheless, many great scientific achievements have been made in part based on these believes. According to Thomas S. Kuhn, a scientific theory is not an objective truth, but merely a way of explaining the nature, which is chosen by the scientific community. In most cases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the assessment and selection of a theory is the criterion of empirical adequacy but the aesthetic moments often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selection processes. Indeed many scientific theories have been selected in part by the aesthetic criterions, and there may still be a possibility for the better explanations of nature by such criterions. 이 논문의 목적은 과학에서 작용하는 미학적 계기들을 확인하고, 그것이 과학적 실천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비록 미학과 과학은 전혀 별개의 영역이라는 것이 오늘날의 일반적인 관점이기는 하지만, 실제 많은 과학자들의 작업에서 미적 계기들이 중요하게 작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 서로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 ― 두 가지 층위에서 나타나는데, 그 중 하나는 과학 탐구의 목적으로서 자연의 아름다움이고, 다른 하나는 과학이론 자체의 아름다움이다. 전자가 ― 케플러와 뉴턴의 사례에서 보듯이 ― 그러한 미적 계기들이 자연의 원리를 구성한다는 믿음에 근거한다면, 후자는 ― 아인슈타인이나 드 브로이의 사례에서 보듯이 ― 아름다운 이론이 진리에 가깝다는 믿음을 전제한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믿음이 이론의 진실성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위대한 과학적 성과들이 부분적으로 이런 믿음에 근거해서 이루어졌다는 것은 매우 흥미로운 일이다. 토마스 쿤에 따르면, 과학이론은 객관적인 진리가 아니라 자연을 설명하는 하나의 방식일 뿐이다. 즉, 그것은 자연을 설명하는 여러 방식들 중에서 과학 공동체에 의해 가장 적합한 것으로 선택된 것으로, 절대적인 진리가 아니라 상대적인 개념 체계라고 할 수 있다. 대개의 경우 그런 선택의 가장 중요한 규준은 경험적 적합성이 되겠지만, 그 과정에서 종종 미적 계기들이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금까지 많은 과학이론들이 부분적으로 미적 규준에 의해 선택되어왔고, 지금도 그런 규준에 의해 자연에 대한 보다 나은 설명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존재할 수도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장 필립 라모의 과학적 음악이론: 그의 화성이론의 과학적 토대와 방법

        원준식 한국미학예술학회 2022 美學·藝術學硏究 Vol.66 No.-

        Jean-Philippe Rameau’s theoretical work reflects the aspiration of Enlightenment for science and reason. Before he came along, music theory had consisted of abstract speculations concerning Pythagorean number-mysticism on the one hand, and desultory empirical rules of counterpoint and the thorough-bass on the other hand. Rameau sought to move music theory from numerical mysticism into science and reduce the complexity of empirical data to a rational system governed by a single principle. To this end, he presented the existence of natural overtones as evidence that musical harmony is based on nature, and adopted the methods of Descartes and Newton for the scientific system of music theory. Following such a methodology, Rameau clarified the harmonic practice of his contemporaries with remarkable concision through the “fundamental bass” principle. This paper examines Rameau’s music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history of music and science and tries to investigate its meaning and character from the relational history of music and science. 장 필립 라모(Jean-Philippe Rameau)의 이론적 작업은 과학과 이성에 대한 계몽주의의 열망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과학혁명의 성과를 바탕으로 음악을 그에 부합되는 과학으로 만들려는 것이었다. 이전까지 음악이론은 한편으로는 피타고라스적 전통의 수-신비주의와 조율체계에 대한 추상적인 사변들로 이루어졌고, 다른 한편으로는 대위법과 계속저음의 산만한 경험적 규칙들로 구성되었다. 라모는 음악이론을 수-신비주의로부터 해방시켜 합리적인 과학의 영역으로 옮기고, 경험적 자료들의 복합체를 단일한 원리에 의해 지배되는 합리적인 체계로 환원시키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는 새로운 과학적 발견과 방법론을 음악에 적용했다. ‘코르 소노레(corps sonore)’ 즉 진동하는 물체의 배음 현상은 음악적 하모니가 자연에 근거한다는 증거로 제시되었고, 음악이론의 과학적 체계를 위해 데카르트와 뉴턴의 방법론이 채택되었다. 그러한 방법론에 따라 라모는 ‘기초저음’ 원리를 통해 당시의 화성적 실천을 전례 없는 간결함으로 체계적으로 설명해냄으로써, 산만한 규칙들로 이루어진 계속 저음의 복잡한 체계를 대체했다. 본 논문은 음악사와 과학사의 전망에서 라모의 음악이론을 조망하고, 특히 음악과 과학의 관계사의 관점에서 그 의미와 성격을 규명하고자 한다.

      • KCI등재

        Th. W. 아도르노에 있어서 미메시스 개념

        원준식(Jun Sik Won) 한국미학예술학회 2000 美學·藝術學硏究 Vol.12 No.-

        N/A The object of this article is to reconstuct Adomo`s concept of mimesis, and to clarify its status in his philosophy and aesthetics. Though Adomo does not explicate the concept in any direct and comprehensive treatment mimesis is the foundation of his philosophy and, as the most important moment in Astheische Theorie, explains the nature of art and the principle of artistic mevemert In the tradition of the philosophical aesthetics, aesthetics, mimesis has been used in the sense of `imitation` or `representation`. But Adorno does not follow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mimesis. For him, `Mimetic behavior does not imitate something but assimilates itself to that something.` It is not to dominate the others in opposition to them, but the adaptive behavior to `enact` the others Mimesis, for Adomo, is an alternative to dominative reason, but it is not to be understood as the simple opposite of reason. It is the true implication of Adomo`s concept of mimesis that by virtue of the dialectic between mimesis and rationality, we can reach the conceptual knowledge that is not dominative and the non-conceptual knowledge that is not irrational.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과학혁명과 천구의 음악

        원준식 ( Jun Sik 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4 美學·藝術學硏究 Vol.41 No.-

        오늘날의 일반적인 관점에서, 음악은 주관적인 원리에 근거한 미적 영역으로, 수학적 합리성에 입각한 과학과는 질적으로 다른 것으로 이해된다. 그러나 과학혁명이 한창이던 17세기까지도 음악은 과학의 한 분과로서 산술, 기하학, 천문학과 함께 4과(quadrivium)에 속해 있었다. 음악과 과학의 연관은 진동하는 현의 길이와 음높이 사이의 관계에 대한 피타고라스학파의 발견에서 비롯되는데, 그들은 자신들의 발견을 천체의 운동으로 확장함으로써 ‘천구의 음악’ 교리를 만들어냈다. 이에 따르면, 지구를 중심으로 선회하는 행성들의 거리와 속력이 음악에서의 음정들, 특히 온음계의 음정들과 동일한 비례를 갖는다는 것이다. ‘천구의 음악’ 교리에 구체화되어 있는 이런 음악적 이론화는 일종의 원형적 과학(proto-science)이었으며, 그런 점에서 그것은 음악이론의 출발점인 동시에 우주론과 천문학의 출발점이었다. 천구의 음악 교리는 우주의 법칙을 탐구하는 데 있어 다음 시대의 과학자들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천체들의 운동에서 음악적 하모니를 발견하려는 마지막이자 가장 열정적인 시도는 케플러에 의해 이루어졌다. 그는 행성들의 운동을 지배하는 원리가 음악에서 발견되는 것과 동일한 수학적 비율로 표현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이처럼 그는 ‘음악적 하모니에 의해 지배되는 우주’라는 피타고라스학파의 개념을 고수하고 있었지만, 과학사와 음악사 모두에서 이전과는 다른 지평 위에 서 있었다. 그는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 천문학을 받아들였을 뿐 아니라, 다성음악이 발전한 시대에 살고 있었다. 따라서 행성들의 운동도 다성적이어야 했다. 그는 이 새로운 지평에서 ‘천구의 음악’ 개념을 재구성했는데, 태양중심체계에 근거해서 행성들의 각속도를 비교하고 이를 순정률의 음정으로 표현함으로써, 다성음악에 부합되는 천체 하모니를 발견한 것이다. 비록 케플러의 이런 구상은 지속적인 과학적 산물로 귀속되지 못했지만, 그 과정에서 발견된 행성운동 법칙들은 과학혁명의 중요한 성과였다. 더욱이 과학혁명을 완성한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이 그의 행성운동 법칙에서 도출된 가설에서 출발했다는 점에서, ‘천구의 음악’ 교리의 과학사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Music is today considered as an aesthetic discipline based on the subjective principles, clearly distinct from science having mathematical rationality. But it was a branch of science and held a place among the quadrivium beside arithmetic, geometry and astronomy until the 17th century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connection between music and science forged by the Pythagorean school`s discovery of the relation between the length of a vibrating string and pitch. By extending the discovery to the motions of the celestial bodies, they invented the celebrated doctrine of ‘music of the spheres’. According to this, the velocities at which the planets circle the Earth, as well as the distances from the Earth to them, are in the same ratios as various musical intervals, especially those of the diatonic scale. This musical theorizing which was crystallized in the conception of the music of the spheres was a kind of proto-science, and thus the starting point of cosmology and astronomy as well as music theory. The doctrine of ‘music of the spheres’ has served as a strong impetus for the next generations of scientists in their exploration of the laws governing the universe. The last and the most earnest attempt to find musical harmony in the motions of the heavens was that of Kepler. He believed that the principles governing the motions of the planets could be expressed in the same ratio as found in music. He held firmly the Pythagorean conception of ‘the universe governed by musical harmony’. But he was confronted by a new circumstance in aspect of science and music. He accepted the Copernican heliocentric astronomy, and lived in an age when polyphony was the musical norm, and thus the planetary music must therefore be polyphonic, too. He tried to reconstruct the conception of ‘music of the spheres’ on the basis of musical polyphony and heliocentric astronomy. He compared the angular velocities of the planets based on the heliocentric system, and expressed these ratios as musical intervals in just intonation, not Pythagorean scale, that is, the harmonies which he found are polyphonic.

      • KCI등재

        뉴턴의 통합적 자연관과 음악적 유비

        원준식 ( Jun Sik Won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5 美學·藝術學硏究 Vol.45 No.-

        음악이 자연의 수학적 원리를 구현하고 있다는 믿음은 서양문화의 오랜 전통에 속한다. 피타고라스학파에서 유래된 이 전통에서, 음악은 과학의 한 분과로서 산술, 기하, 천문과 함께 4과(quadrivium)에 속해 있었다. 이는 과학혁명이 한창이던 17세기까지 이어지는데, 당시 과학자들에게도 음악은 중요한 탐구영역 중하나였다. 갈릴레이 부자와 메르센(Marin Mersenne)의 실험적-과학적 탐구는 음악에서의 신비주의 전통을 타파하고 음악의 합리화 과정을 촉진시켰다. 이에 반해, 케플러는 음악사와 과학사의 새로운 지평에서, 다성음악과 태양중심 천문학에 근거하는 ‘천구의 음악’ 교리를 재구성하고자 했다. 뉴턴은 ‘천구의 음악’을 만유인력 법칙의 알레고리로 해석하는데, 그에 따르면, 피타고라스는 만유인력 법칙을 포함한 자연법칙들을 알고 있었으며, 이를 음악적 유비 속에 감춰 놓았다는 것이다. 즉, 피타고라스는 실험을 통해 현의 음높이가 일정할 때 현에 매달린 추의 무게가 현 길이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깨달았고, 이를 천상에 적용해서 태양을 향한 행성들의 무게가 그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다는 것을 이해했다는 것이다. 이런 해석을 통해, 뉴턴은 만유인력 법칙에 고대의 권위를 부여하는 한편, 음악이 우주의 하모니를 구현하고 있다는 피타고라스적 관점에서 자신의 통합적 자연관을 정당화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는스펙트럼과 음계 사이의 유비에서도 나타나는데, 그는 색채 스펙트럼이 음악적음계의 비율에 상응하는 비율로 분할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색채들 사이의 하모니와 협화음의 하모니가 동일한 기원을 갖는다고 생각했다. 뉴턴은 자연의 단하나의 조화로운 구조가 존재하며, 그것이 음악적 하모니 속에 구현되어 있다고 믿었다. 이것이 그의 과학적 탐구에서 음악적 유비가 갖는 의미라고 할 수 있다. The belief that music embodies the mathematical principles of nature belongs to the old tradition of Western culture. In this tradition originated in the Pythagorean school, music was a branch of science and held a placeamong the quadrivium beside arithmetic, geometry and astronomy until the 17th century of the Scientific Revolution. Music belonged to the research interests of many major scientists of the 17th century. The experimental and scientific inquire into music by Vincenzo and Galileo Galilei, Marin Mersenne expelled mysticism from traditional music theory and expedited the rationalization of music. On the contrary, Kepler was confronted by a new circumstance in aspect of science and music and tried to reconstruct the doctrine of ‘the music of the spheres’ on the basis of musical polyphony and heliocentric astronomy. Newton interpreted the doctrine of ‘the music of the spheres’ as allegory of the law of universal gravitation. He thought that Pythagoras knew the laws of nature including law of gravitation and wished to hide his knowledge in the musical analogies. According to him, Pythagoras realized through the experiments that for the same pitch the weight fastened to the string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length of the string. And he applied the proportion, discovered by means of his experiments, to the heavens and then undetstood that the weights of planets towards the sun were reciprocally as the square of their distance. Newton wished to grant authority of the ancients to the law of gravitation, and tried to justify his unifying view of nature in the Pythagorean viewpoint that music embodied the harmony of the world. This is to be found in the spectrum-scale analogy. He discovered that the spectrum can be divided up into ratios corresponding to those of a musical scale, and thus suggested that harmony between colours may have the same origin as that of musical consonance. Newton believed in a simple, harmonious structure of nature, and that it is embodied in music. This is the significance of the musical analogies in his scientific inquir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