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우리나라 실내원예의 현황과 전망 : 대구시 중산층 아파트를 중심으로

        金恩伶,金賢貞,柳順南 효성여자대학교 자연대학 1988 自然大論叢 Vol.1 No.-

        대구시 중산층 아파트를 중심으로 실내원예 현황에 관해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실내에 이용되는 식물유형에는 관엽식물, 선인장 및 다육식물, 관화식물, 분재, 절화순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며, 분화이외 실내원예에 이용되는 것으로는 건조꽃(Dry flower)이 가장 많았고 수경재배, 테라리움, 디쉬가든, 채소류의 이용순이었다. 2. 평형, 지역별에 있어서 소형아파트에서는 중구가 가장 많은 식물유형과 식물 수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중형아파트에서는 남구가 가장 많은 식물유형을 보유하고 있는 반면 식물수는 서구가 가장 많았다. 3. 아파트에서는 베란다에 가장 많은 식물을 두며 이용목적과 배치이유는 장식과 아늑한 분위기 때문에 이용하고 있다. 4. 식물과 자재구입 경로를 보면 꽃집에서 가장 많이 구입하며, 구입액은 평수가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났다. 5. 식물관리에 있어서 조사한 각의 83%가 분갈이를 하는것으로 나타났는데 48%가 1년에 1~2회 하고 있다. 그리고 관수방법도 식물특성에 관계없이 48%가 2~3일에 1회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시비는 81%가 하고 있으며, 주로 깻묵을 많이 쓰고있다. 그리고 병충해 발생시 약 50%가 주위에 물어 보아 집에서 약을 치고있다. 6. 용기는 주로 화분을 이용하며 용토는 거의가 흙을 이용하고 있다. 7. 실내원예에 대한 관심은 거의 가지고 있으며, 주로 월간지와 텔레비젼을 통해서 그 지식을 습득하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가정에서 식물을 키우기에 가장 어려운점은 병충해 방제법과 관수방법으로 나타났다. 이와같이 대구시내 아파트의 실내원예 현황을 보면 주로 분식물 중심에 비교적 전문지식이 없어 재배, 관리면에서 있어 소홀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화분이외에도 좀더 다양한 형태 용기 개발이 필요하고 실내에서 초보자라도 쉽게 키울수 있도록 여러가지 사회강좌등이 필요하다고 본다. 불과 얼마전만 해도 의식주 해결에만 극급한 나머지 가정에서 실내원예에 대한 인식과 관심은 별로 없었는데, 경제성장과 더불어 우리의 생활수준도 많이 향상되어 의식주문제에서 벗어나 좀더 다른 방향으로 눈을 돌리게되어 오늘날 실내원예가 많이 보급되어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발전할 수 있으리라 본다.

      • KCI등재

        Repofix 외고정 기구를 이용한 제 3형 개방성 경골 골절의 치료

        원예,전창훈 대한골절학회 1995 대한골절학회지 Vol.8 No.4

        We reviewed 18 patients with type III open tibial fracture from February 1992 to June 1995(mean follow-up period 56.7 weeks) treated with Repofix external fixator. There were 16 men and 2 wemen. According to the Gustilo's classification, there were type IIIa in ll cases and type IIIb in 7 cases. Mean period of removal of external fixator was 19.3 weeks and after removal of external fixator, cast immobillization was performed in 4 cases. Among them, bony unions were noted in 15 cases and there were nonunion in 2 cases and malunion in 1 case. The causes of nonunion were failure of accurate reduction in I cases and severe initial comminuted fracture in 1 case. Complications were nerve injury, pin site infection and ring-type osteomyelitis. After removal of external fixator, nerve injuries were recovered and pin site infections except l case were healed. Ring-type osteomylitis was occurred in 1 case after removal of external fixator and osteomyelitis was dured after curettage. When type E open tibial fractures were treated with Repofix external fixator, there were advantages of 1) early weight bearing, 2) sagittal and coronal reduction of fracture and 3) correction of rotation. With advantages, this external fixator was appropriate for the treatment of type g open tibial fractures.

      • KCI등재

        소아에서의 골반골 골절

        원예,안재인,이원익,김병석,송명렬 대한골절학회 1998 대한골절학회지 Vol.11 No.1

        The pelvic bone fractures in children were uncommon, except for avulsion injuries in the literature and authors had 21 cases of children' s pelvic bone fracture, ranging from 1 to 15 years. The mode of injury, type of fracture, associated injuries, morbidity and mortality, and out- come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ajority of injuries were from automobile-pedestrian collisions (81.0%). The Torode and Zieg type IV injury had the greatest morbidity, mortality, and complications. Sixteen patients had non-orthopedic, associated injuries and fourteen required blood transfusions within initial 48 hours after injury. Two of them passed away due to hematologic unstableness. Twenty patients were managed by conservative method, except for one operative case by using of an external fixation device. This study included only 13 cases had average I year of follow-up. One acetabular dysplasia of 5 acetabular fractures was found at 12 months after injury. The nonoperative approach for the pelvic bone injury has had a satisfactory outcome in our hospital. So, authors think that if conservative methods will be properly applied, it may be one of the methods of treatment for the children s pelvic bone fracture. Even though there is no symptoms, long-term follow-up will be inevitable for checking more severe acetabular dysplasia and leg length discrepancy.

      • KCI등재

        다발성 골절 치료시 발생한 지연성 용혈성 수혈 부작용

        원예,이원익,민병현,송명렬 대한골절학회 1998 대한골절학회지 Vol.11 No.3

        This is a case report of delayed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 due to Anti-Le*b and Anti- Jk*b in treatment of multiple fracture. The patient was a 14 year-old boy and had no history of transfusion or blood products. The patient underwent open reduction and internal fixation for fracture of supracondyle of femur with massive blood transfusion. Abnormal finding of ABO incompatibility was not found as usual method. The patient developed a marked fall in hemoglobin and hematocrit value and a marked hyperviliruvinemia at 8 day after surgery, which suggested hemolytic anemia and jaundice. After the evaluation of this hemolytic anemia and jaundice, we found the Anti-Le*b antibody and Anti-Jk*b antibody. A delayed hemolytic transfusion reaction represents an infrequent, but potentially hazardous complication of blood transfusion. The phenomenon usually originates from exposure to a blood group antigen by prior transfusion or pregnancy. Delayed appearance of isoantibodies, first detected 4 to 14 days after the transfusion of apparently compatible blood, has bee detected by the authors.

      • KCI등재후보

        한국인에서 대퇴거와 대퇴스템의 형태학적 연구

        원예연 ( Ye Yeon Won ),조재호 ( Jae Ho Cho ),최문권 ( Wen Quan Cui ),구경회 ( Kyung Hoi Koo ),김준용 ( Joon Yong Kim ),윤태봉 ( Tae Bong Yun ) 대한고관절학회 2007 Hip and Pelvis Vol.19 No.1

        목적: 한국인 대퇴거의 형태학적 자료를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얻고, 우리나라에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에 자주 사용되는 무시멘트성 대퇴스템과 대퇴거와의 형태학적 관계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한국인 54명(평균 연령 49세)의 양측 고관절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을 이용하여 대퇴거의 길이, 높이 및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대퇴거로부터 전방 피질골까지의 수직거리를 측정하여, 선정된 대퇴스템 중 많이 쓰이는 크기의 전후폭과 비교하였다. 결과: 53(98%)명의 전산화 단층 촬영 영상에서 대퇴거가 관찰되었다. 대퇴거의 길이(11.4±3.0 mm), 높이(35.1±5.96 mm) 및 두께(2.4±0.7 mm)는 연령에 따라 변화를 보이지 않았고(p>0.05), 대퇴거로부터 전방 피질골까지의 거리는 선정된 무시멘트성 대퇴스템에서 주로 사용되어진 크기의 전후폭을 대부분 수용할 수 있었다. 결론: 한국인에서 대퇴거는 나이에 상관없이 항상 존재하는 피질골 구조임을 알 수 있었으므로, 대퇴스템의 초기 회전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판단 되었다. 무시멘트성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할 경우 대퇴거를 보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orphological data of the calcar femorale using high resolution CT and to determine its relationship with the morphology of femoral stems commonly used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CT scans of the bilateral proximal femurs were randomly obtained from 54 Korean subjects(31 males and 23 females). The mean age was 49 years. The length, vertical height and thickness of the calacr femorale were measured. The medial dimension of the proximal portion of the femoral stems was investigated and matched with the distance between the anterior cortex of the proximal femur and the midpoint of the calcar femorale. Results: The calcar femorale was visible in 53 CT scans(98%). The length, vertical height and thickness of the calacr femorale was 11.4 3.0 mm, 35.1 5.96 mm and 2.4 0.7 mm, respectively,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with age. The dimensions of the femoral stems were compatible with the morphology around the calcar femorale. Conclusion: The calcar femorale is a constant cortical structure that can provide consistent rotational stability for the proposed cementless stems. It is strongly recommended that the calcar femorale be preserved during the femoral preparation.

      • KCI등재

        전자기장 네비게이션과 고식적 방법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의 방사선학적 결과와 비교

        원예연(Ye-Yeon Won),최문건(Wen-Quan Cui),이두형(Doo-Hyung Lee),박태호(Tai-Hu Piao),허준혁(June-Huyck Hur),신동선(Dong-Sun Sh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6

        목적: 전자기장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에서 하지 정렬의 정확성과 치환물 위치의 적절함을 평가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7월에서 2007년 2월까지 한 술자에 의해서 시행된 전자기장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 100예와 2005년 8월에서 2006년 7월까지 고식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한 술자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시행된 슬관절 전치환술 100예를 후향적으로 모집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에 기계적 축 편향 각도의 평균은 전자기장 네비게이션 군에서 1.2±1.9였고 고석적인 방법을 이용한 군에서 2.3±2.3°이었다(p=0.002). α각의 평균값은 전자기장 네비게이션 군에서 89.3±1.6°이었고 고식적인 방법을 이용한 군에서 88.7±2.6°이었다(p=0.034). β 각의 평균값은 각각 89.6±1.5°와 89.3±2.1°로 각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1.35). γ각의 평균값은 각각 -0.9±2.4°와 -0.6±3.4° 각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75). δ각의 평균값은 각각 87.2±2.0°와 86.0±1.9°로 각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8). 결론: 전자기장 네비게이션을 이용한 슬관절 전치환술이 고식적인 수술 방법보다 모든 방향에서 더 나은 하지 기계적 축의 정렬을 얻을 수는 없으나 관상면에서는 더 좋은 대퇴 삽입물의 위치를 얻을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다고 생각된다. Purpose: We wanted to examine the accuracy of the lower limb alignment and implant positioning that was obtained with using the electromagnetic (EM) navigation technique. Materials and Methods: We examined 64 patients who underwent 100 TKAs with using EM navigation technique from July 2006 to February 2007. Sixty-two patients who underwent 100 TKAs with using the conventional technique between August 2005 and July 2006 were used as controls. We assessed the mechanical axis and the α, β, γ and δ angles in the postoperative radiograph of each patient and we compared them among the two groups. Results: The patients in the EM navigation group achieved better accuracy than did the conventional group in terms of the postoperative mean mechanical axis (1.2° vs. 2.3°). Less variations in the coronal femoral component and the tibial component angle were observed in the navigation group (femur: 89.3° vs. 88.7°; tibia: 89.6° vs. 89.3°, respectively), although the difference in the coronal tibial component angle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The use of EM navigation technique in TKA does not always guarantee the precise alignment of the mechanical axis in all planes, as compared to using the conventional technique. Yet it is useful for obtaining better coronal alignment of the femoral component.

      • 성인 엉덩관절을 이루는 구조에 대한 형태학적 연구

        원예,장준섭,정인혁,한대용,한창동,서진석 아주대학교 의과학연구소 1999 아주의학 Vol.4 No.1

        With 77 hip joints of Korean adults available, anatomical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morphological variations of the acetabular labrum, the acetabular articular cartilage, the penetrating sites, the purchasing lengths of transacetabular screws including dangerous neurovascular structures, and the theoretical safe space of the acetabular foss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posterior superior region of the acetabulum through which the screw could be inserted more than 50 ㎜ in length was the safest region. However, depending on the insertion angle, the screw could penetrate the psoas muscle with an average 30 ㎜ of intervening space. 2. The average purchasing length of the screws penetrating the mid point (B) of the articular surface which was located on the inferior portion of the line (AB) connecting the anterior superior iliac spine and the center of the acetabulum: the mid points (C and D) of the articular surface which was located on the anterior and posterior portion of the line (CD) perpendicular to the line AB; and the mid point (G) of the articular surface which was located on the posterior inferior portion of the acetabular articular surface, was more than 20 ㎜. The screws penetrating the point "C" had a risk to damage the bladder and the screws penetrating the points "D" and "G" had a risk to endanger gluteal neurovascular bundles. 3. The screw placed in the anterior superior region of the acetabulum could be directed toward the external iliac vessels. The perpendicular bony thickness of this region averaged 13 ㎜. The topographical relationship of the external iliac artery and vein was variable and classified into 6 types. 4. At the center of the acetabulum, the most vulnerable structure was the obturator neurovascular bundle and the average thickness of bone at this point was measured as 6.5 ㎜. 5. The thickness of the compact bone became wider from the inner side to the outer side of the lunate surface. 6. The posterior inferior portion of the acetabular fossa would be a danger area when we used the screws for infernal fixation of the acetabular fracture through the acetabular fossa. 7. The morphological variations of the acetabular labrum which were measured differently at different locations should be considered during reading magnetic resonance images. 8. The anterior, anterosuperior and posterosuperior portion of the acetabular labrum might be easily torn because the labrum was attached to the bone-like "seating on a flat bony surface." 9. The shape of the articular cartilage was classified into 5 types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both ends. The above data in this study revealed new findings which should be considered at the times of diagnosis and operation of the hip joint together with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dult hips.

      • KCI등재

        인공 고관절 치환술시 디지털 가늠자[Digital Template]와 수기 가늠자 [Manual Template]를 이용한 방법에 대한 비교

        원예연(Ye-Yeon Won),최문권(Wen-Quen Cui),김광균(Kwang-kyoun Kim),손성호(Sung-Ho S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5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0 No.7

        목적: 인공 고관절 치환술시 수기 가늠자 방법과 비교하여 디지털 가늠자를 이용한 측정방법을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 받은 41명을 대상으로 4명의 관찰자가 수술 전 수기 및 디지털 가늠자 측정방법으로 비구컵, 대퇴 스템 크기, 경부 길이를 2회씩 측정하고 관찰자내 및 관찰자간 일치율과 실제 크기에 대한 예측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관찰자내 일치율 및 관찰자간 일치율에서 비구컵 및 대퇴 스템 크기는 수기 및 디지털 방법에서 모두 양호한 일치율을 보였으나, 경부 길이에서는 두 방법 모두 불량한 일치율을 보였다. 수술시 사용된 부품 크기에 대한 예측에서 비구컵 크기는 디지털 측정방법이 수기 방법보다 의미 있게 더욱 실제 크기와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고(p=0.001), 대퇴스템 크기 및 경부 길이는 두 방법간에 의미 있는 통계학적 차이는 없었다(p=0.074, p=0.140). 결론: 수기 및 디지털 가늠자 측정 방법 모두 일치율이 좋은 유용한 방법이지만, PACS의 장점과 특히 실제 수술시 사용되는 부품에 대한 예측이 디지털 방법이 수기 측정 방법보다 좋은점을 고려할 때 PACS가 보급된 병원에서는 디지털 기늠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digital with manual templating in preoperative planning for total hip arthroplasty and to assess the usability of digital termplating. Materials and Methods: Conventional and digital radiographs performed prior to hip arthroplasty in forty one patients. Preoperative templating was performed by four independent observers with manual and digital templates on a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PACS) workstation. In all cases, acetabular cup, femoral stem sizes and length of femoral neck were measured. Intra- and interobserver agreement and predictability of real component size were calculated with weighted kappa analysis and Mann-Whitney test. Results: For acetabular cup and femoral stem size, inter-and intraobserver agreement was substantial, nevertheless, for length of femoral neck, it was poor in both methods. Comparing with the real size, digital templating metho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ability for acetabular cup size (p=0.001).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emoral stem size and the length of femoral neck by both methods (p=0.074, p=0.140). Conclusion: Both inter-and intraobserver agreement was similar. However, considering advantage of PACS system and superior predictability of digital templating technique, we recommend the preoperative digital templating in hospital with PACS system.

      • KCI등재후보

        비구 골절에 대한 나사못 고정시 비구와의 안전 공간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

        원예,한대용,민병우,정인혁,김만경 대한정형외과학회 200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39 No.6

        목 적: 비구골절에서 비구의 사각형면에 평행하면서 비구와를 관통하는 나사못을 삽입하는 경우에 알아야 할 비구와의 공간적 정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성인 사체의 반쪽 골반 25쪽을 8토막으로 절단하여 절단선들이 비구와의 가장자리를 따라 만나는 7개의 측 정점을 얻었다. 사각형면으로부터 이들 점들까지의 수직선상에서 연골 및 뼈의 두께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 결 과: 비구와 바닥의 두께가 가장 얇은 부위의 평균 두께는 3.9±1.9 mm이었다. 사각형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측정한 뼈 및 연골의 총 두께의 평균은 12.7±2.1 mm에서 17.8±3.8 mm의 범위에 있었다. 비구와의 안전 공간이 제일 작은 부위는 후하방 지역으로 평균 4.8±1.6 mm (p<0.05)이었으며 다른 부위에서는 평균 8.3-10.0 mm이었다. 결 론: 본 연구의 형태학적 계측자료에 의하면 비구와의 안전 공간이 제일 작은 부위는 후하방 구역이었으므로 이 구역을 피하여 나사못을 삽입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사료된다. Purpose: To obtain spatial information on the acetabular fossa concerning ‘transacetabular screw’ insertion through the acetabular fossa parallel to the quadrilateral surface for fixing an acetabular fracture. Materials and Methods: Each hemipelvis harvested from 25 adult fresh frozen cadavers was sectioned into eight segments. This resulted in seven measuring points located along the outer margin of the acetabular fossa. At these points, we measured and compared the vertical thicknesses of cartilage and bone from the quadrilateral surface. Results: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thinnest portion of the acetabular fossa floor was 3.9±1.9 mm. The entire thickness of the bone and cartilage measured vertically from the quadrilateral surface at the 7 points ranged from 12.7±2.1 mm to 17.8±3.8 mm. The thinnest safe space of exposed threads of the ‘transacetabular screw’ inserted through the acetabular fossa was consistently just below the posterior conus of the lunate surface, measuring 4.8±1.6 mm (p<0.05). At the other points, it measured 8.3-10.8 mm. Conclusion: We suggest that ‘transacetabular screws’ can be inserted safely if due consideration is paid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on the acetabular fossa. Screw insertion into the postero-inferior portion of the acetbular fossa should be done carefu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