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이 청소년의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원두 한국건강심리학회 201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5 No.3

        본 연구에서는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이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210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국판 개정된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척도(K-CAMS-R)로 측정한 마음챙김이 개정된 다차원 대처척도로 측정한 적응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매개로 정적정서와 삶의 만족으로 이루어진 주관적 웰빙에 영향을 주는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이 적응적 대처로 알려진 정서적 진정, 긍정적 해석 및 적극적 대처를 통해 주관적 웰빙에 정적 영향을 준다는 본 연구의 가설적 모형이 수용되었다. 즉, 인지적 및 정서적 마음챙김 수준이 높은 청소년들은적응적 대처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주관적 웰빙 수준도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마음챙김이 주관적웰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적응적 대처방식들의 매개역할을 확인하였으며 적응적 대처방식들 간의 관계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와 관련된 시사점 및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on the stress coping and subjective well-being of adolescents. The hypothetical model where adaptive stress coping(measured by Multidimensional Coping Scale) mediates the relation between mindfulness(measured by K-CAMS-R) and subjective well-being(positive emotion and life satisfaction) was tested for 210 adolescents using structure equation modeling. It was found that cognitive and affective mindfulness affected th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adaptive coping which involves emotional pacification, positive interpretation, and active coping. The hypothetical model of this study was thereby accepted.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adaptive coping was confirmed in the process where mindfulness affects the subjective well-being. Additionally, the relations among the adaptive coping strategies were specifi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후보

        염의 농도에 따른 DOPC 리포좀의 안정성에 관한 연구

        원두현 ( Doo Hyun Won ),김선영 ( Sun Young Kim ),임규남 ( Gyu Nam Lim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1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에서는 DOPC 리포좀의 안정성에 대한 염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증류수, phosphate buffer, 그리고 phosphate bufferd saline으로 리포좀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염의 추가에 따른 리포좀의 입자크기 및 제타전위 등 기본적인 물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에 앞서 희석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고자 리포좀을 각각 제조시 용매로 40배와 80배로 희석하였고 그 결과 같은 용매로 희석시킬 경우 40배 희석까지는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증류수로 제조한 리포좀을 증류수, phosphate buffer, 그리고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희석하였고, phosphate buffer로 제조한 리포좀은 phosphate buffer, 그리고 phosphate buffered saline으로 희석하여 염 농도 증가에 따른 리포좀의 입자크기 및 제타전위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리포좀 분산액 내에 존재하는 염의 양이 증가할수록 리포좀의 입자크기가 약간씩 작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제타전위 또한 염의 양이 증가할수록 0에 가까워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리포좀의 입자크기와 제타전위는 리포좀의 안정성을 판단할 수 있는 좋은 요소이며 또한 리포좀 제조시의 용매와 다른 조건의 염농도는 리포좀 입자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In this study, DOPC liposomes were prepared with distilled water, phosphate buffer and phosphate buffered saline to evaluate the effects of salt on the stability of DOPC liposome. The changes in physical properties (like 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l) of liposome were measured after adding the salt. Liposomes were diluted 40 times and 80 times with hydration solvent to confirm the effect of dilution. Consequently, the stability of liposome was maintained up to 40 times dilution with hydration solvent. The liposome that prepared with distilled water was diluted with distilled water, phosphate buffer and phosphate buffered saline, and the liposome that prepared with phosphate buffer was diluted with phosphate buffer and phosphate buffered saline to evaluate the salt-induced changes in 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 As results, the particle size increased slightly and zeta potential became closer to 0 when the sal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In conclusion, particle size and zeta potential of liposome could be reasonable factors to evaluate the stability of liposome. In addition, we suggest that salt concentration of hydration solven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tability of liposome.

      • KCI등재
      • 전기화학적 수소장입 시간에 따른 Hastelloy C-276 의 수소손상 평가

        원두일(Doo Il Won),마영화(Young Wha Ma),윤기봉(Kee Bong Yoon) 대한기계학회 2010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0 No.11

        Hydrogen damage in Hastelloy C-276, which is one of the candidate materials to be used in nuclear hydrogen plant, was studied. For this study, electrochemical hydrogen charging technique and small punch test method were employed. By the former method, two sets of the specimens with four different charging time were prepared. For one set, hydrogen concentrat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for another set, the strength characteristic was assessed by small punch test. The hydrogen concentration increased very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charging time. On the other hand, the strength value assessed by small punch test decreased slightly. This result shows that Hastelloy C-276 has little change in the strength even though hydrogen damage occurs.

      • KCI등재후보

        생강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

        원두현 ( Doo Hyun Won ),한샛별 ( Saet Byeol Han ),황준필 ( Jun Pil Hwang ),김수지 ( Su Ji Kim ),박진오 ( Jino Park ),박수남 ( Soo Nam Park ) 대한화장품학회 2012 대한화장품학회지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생강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과 타이로시네이즈 저해 활성을 살펴봄으로써 화장품 원료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모든 실험은 생강나무의 50 %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을 이용하여 진행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소거활성은 기존에 잘 알려져 있는 항산화제인 (+)-α-tocopherol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e<sup>3+</sup>-EDTA/ H<sub>2</sub>O<sub>2</sub>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에 대한 세 분획의 소거활성(총항산화능)은 대표적인 항산화제인 L-ascorbic acid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Rose-bengal로 증감된 <sup>1</sup>O<sub>2</sub>에 의한 적혈구 파괴에서, 50 % 에탄올 추출물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세포보호 효과는 농도 의존적(1 ∼ 25 μg/mL)으로 증가하였다. 10 μg/mL 농도를 기준으로 비교하였을 때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τ<sub>50</sub>은 361.0 min으로 가장 높은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타이로시네이즈 저해활성에서 에틸아세티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은 알부틴보다 높은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로부터 생각나무 추출물은 활성산소종을 소거하는 항산화제로 여러 산업 분야에 응용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또한 알부틴을 대체하는 미백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In this study, the antioxidative effects and inhibitory activities on tyrosinase of Lindera obtusiloba Blume (L. obtusiloba Blume) extracts were investigated. 50 % ethanol extract, ethyl acetate and aglycone fractions of L. obtusiloba Blume were used in experiments. The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scavenging activities of ethyl acetate fraction of L. obtusiloba Blume was higher than (+)-α-tocopherol, known as a typical antioxidant. Reactive oxygen species (ROS) scavenging activities of extract and fractions of L. obtusiloba Blume on ROS generated in Fe<sup>3+</sup>-EDTA/H<sub>2</sub>O<sub>2</sub> system were similar to L-ascorbic acid, well known as a strong antioxidant. The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50 % ethanol extract and ethyl acetate of L. obtusiloba Blume on the rose-bengal sensitized photohemolysis of human erythrocytes were increased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1 ~ 25 μg/mL). Ethyl acetate fraction in 10 μg/mL concentration showed the most protective effect among extracts (τ<sub>50</sub> = 361.0 min). The inhibitory effects on tyrosinase of ethyl acetate and aglycone fractions were higher than arbutin, known as a whitening agen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 obtusiloba Blume extracts can be used as antioxidant, and could be applicable to functional cosmetic ingredient.

      • KCI등재

        성격 강점이 청소년의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원두 한국건강심리학회 201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16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haracter strengths on the well-being and adaptive coping style among 267 Korean adolescents using the Values in Action Inventory for Youth(VIA-Youth). It is found that the character strengths of vitality, gratitude, hope, and love predicted life satisfaction, the character strengths of vitality, hope, love, and integrity predicted emotional well-being, the character strengths of hope, love, gratitude, love of learning, self-regulation, and bravery predicted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character strengths of hope, bravery, love of learning, and fairness predicted adaptive coping style significantly. We discussed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results of precedent studies and this study. In this study, the character strengths that Korean adolescents need to build for enhancing well-being and the adaptive coping were specified and confirm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성격 강점이 청소년의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중고생 267명을 대상으로 청소년용 강점척도(VIA-Youth)를 사용하여 알아보았다.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방식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성격 강점들을 알아본 결과 활력, 감사, 희망, 및 사랑 등의 성격 강점은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활력, 희망, 사랑 및 정직 등은 정서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희망, 사랑, 감사, 학구열, 자기조절 및 용기 등은 심리적 안녕감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마지막으로 희망, 용기, 학구열, 및 공정성 등은 적응적 대처양식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또한 본 연구 결과와 국내외의 선행연구 결과들과의 유사점 및 차이점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들의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를 촉진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함양해야할 성격 강점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결과와 관련된 시사점 및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