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니체와 ‘불의 연금술’ 융합모델로서의 ‘문화복합’과 ‘카오스모스’

        원동훈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8 No.-

        In “Die fröhliche Wissenschaft” bezeichnet Nietzsche sich als Feuer, welches nicht nur die drei Dimensionen, das Wahre (Licht), das Gute (Kohle), das Schöne (Flamme), in sich schliesst, sondern auch die Gleichzeitigkeit von Sein und Werden, Entstehen und Vergehen, letztendlich Leben und Tod symbolish zum Ausdruck bringt. Ausgehend von zwei Feuermythen, nämlich Prometheus-und Agnimythos, analysiert die vorliegende Arbeit diese drei Dimensionen des Feuers,die unter dem Begriff der “Alchemie” als “Kunst der Transformation” zu subsumieren sind, und dann zeigt, wie der Prometheusmythos im Unterschied zum Agnimythos, von Wahrheits-und Nützlichkeitsdiskurs befangen, die dritte (physio)ästhetische Dimension vernachlässigt, die allerdings im Nitzscheanischen Sinne zu verstehen gilt. Der tanzenden Flamme, die im Rythmus von Ein-und Ausatmen das Wechselspiel des Erscheinens und Verschwindens zutage bringt,schreiben die ‘Upanischaden’ deswegen die heilige Göttlichkeit zu, weil hier der Gott des Feuers, Agni, zugleich als ‘Gott der Atmung’ jenseits der Wahrheit des Lichts und Nützlichkeit der Energie den Rhythmus der Atmung und ‘die dazwischenliegende Leere’ als ‘Wesen des Leben’ anerkennt und aufwertet. Wir werden sehen, wie Nietzsche’s ‘Alchemie des Feuers’ im Unterschied zu den heutigen Modebegriffen wie ‘Fusion, Konvergenz, Concilience’ und gegen alle totalitǟre und systematische Fusionsbegriffe uns das neue subtile und dynamische Ganzheitsmodell zum Vorschein bringt. 본 논문은 생명과 문명의 탄생, 진선미(眞善美: 빛과 열과 꽃)의 일체성,생성과 소멸의 동시성, 창조적 변형의 연금술, 그리고 중력에 저항하는 초월성을 떠올리게 하는 불의 상징을 통해 융합, 복합, 통합의 개념에 내재한 불의연금술적 의미를 밝히고 이를 통해 니체 사상의 생명미학적 융합모델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 기존의 유기체론적이고 기계론적인 전체성의 토대가되는 서구적 인간관을 넘어 새로운 ‘으로서의 인간’이 소개되며 제 3의 전체성을 상징하는 ‘문화복합’과 카오스적 혼돈과 코스모스적 질서가 공존하는 제 3의역동적 상태를 개념화한 ‘카오스모스’가 논의된다.

      • KCI등재

        부정성과 무한성의 놀이로서의 공간의 기호학 비판 - ‘광기’의 문제를 통해서 본 푸코의 니체해석의 문제점-

        원동훈 한국니체학회 2008 니체연구 Vol.14 No.-

        Gegegen die übliche Vorstellung und Annahme, dass zwischen Die Geburt der Tragödie von Nietzsche und Wahnsinn und Gesellschaft von Foucault ein enger diskursiver Zusammenhang bestehe, wie Michel Serres uns aufzeigt, geht die vorliegende Arbeit von einer Gegenthese aus, dass gerade zwischen den beiden Diskursen über den Wahnsinn, die im folgenden untersucht werden sollen, ein gebrochenes Verhältnis besteht. Aufgrund der Tatsache, dass der Begriff des Wahnsinns in Wahnsinn und Gesellschaft nicht definiert worden ist, wenden wir uns einer anderen Vortragsschrift von Foucault, Nietzsche, Marx, Freud, zu, wo er deren drei neuen Diskurse semiologisch als 'Spiele der Negativität und Unendlickeit' bezeichnet und den Wahnsinn als den absoltuten Punkt der Erkenntnis mit dem Unvollständigkeitscharakter der Interpretation in Verbindung setzt. Nach Foucault war die Wahnsinnserfahrung von Freud eine Grenzerfahrung, wogegen die von Nietzsche eine Erfahrung der Grenzüberschreitung war. Es wird gezeigt, dass der Foucaultsche Begriff des Wahnsinns als einer intellektuellen Transgression ursprünglich von Bataille herkommt, der seinerseits von Hegel und Freud inspiriet, Die Geburt der Tragödie ohne die orgiastischen Hintergründe von Musik und Tanz als die Schrift des Grenzüberschreitung in der Form des Tabubruchs auslegte. 푸코는 자신의『광기의 역사』가 니체의 『비극의 탄생』 의 영향아래 쓰여 졌다 고 고백하였고 세르 (Michel Serres)는 전자가 고전주의 시대의 문화와 갖는 관계는 후자가 고대 그리스 문화에 갖는 관계와 같다고 단언하였다. 그러나 푸코와 세르가 주장하는 것처럼 양자가 아폴론적 질서에 억압되어 있는 디오니 소스적 요소에 빛을 비추는 동일한 광기에 관한 담론일까? 본 논문은 푸코가 ‘광기’와 ‘니체’를 이해하는 방식과 프랑스 후기구조주의의 ‘니체 읽기’의 그 기본적 골격을 압축적으로 드러내고 있는 푸코의 글 「니체, 프로이드, 맑스」을 토대로 니체에 대한 푸코의 기호학적 해석과 이에 근거한 광기해석을 비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비극적 인간’과 ‘이론적 인간’의 문제를 다룬 『비극의 탄생』 에 비추어 보면 고대 그리스의 광기가 배제된 채 ‘이성과 비이성’이라는 전통적인 이항대립에 의존해 이성에 의해 배제되고 억압된 비이 성으로서의 광기의 역사를 다루고 있는 『광기의 역사』 는 ‘비극적 인간’보다는 ‘이론적 인간’의 광기와 더 관련이 있음이 밝혀진다. 또 니체가 비극의 탄생 에 서 디오니소스적 현상으로 설명한 중세 무도병이 어떻게 도덕의 계보학 에서 기독교적 규율과 억압에 의한 집단적 정신착란으로 재인식되고 재평가되는지 푸코의『광기의 역사』와 관련되어 설명된다.

      • KCI등재

        차라투스트라의 ‘이중의지’와 ‘황금지팡이’

        원동훈 한국니체학회 2015 니체연구 Vol.28 No.-

        Zarathustra’s ‘double will’ to all things high and low (’will to power’), the thoughts on the circular convergence of opposite poles (’the eternal recurrence’) and the ‘Übermensch’ are explicitly expressed in the symbols of ‘eagle and serpent’ and ‘golden staff’. The combination of the eagle and serpent together is not only famously the central symbolism of Nietzsche’s Also Sprach Zarathustra, but also the predominant symbols of alchemy and Hermes’ staff (caduceus), which appear in Also Sprach Zarathustra as a ‘golden staff’ presented by his disciples. In this thesis we will discuss a new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Zarathustra using caduceus as an allegory of alchemical wisdom and self-transformation, and as a metaphor for happiness and healing.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the meanings of this alchemical symbol better, we will look to the ‘Garuda’ and ‘Naga’ of Indian mythology, as depicted in the Indian ancient epic Mahabharata, in order to reveal the deepest allegorical dimensions of caduceus. Furthermore, we will put this into context with the Korean expression ‘Nalgogida’ (fly and crawl), which is a reference to the most exalted state of human beings and corresponds to Nietzsche’s word ‘Übermensch’. Both of them (Nalgogida and Übermensch) imply the alchemical synthesis of two opposite powers, eagle and serpent, or Zarathustra’s double will to things high and low. Caduceus, as symbol of alchemical wisdom and self-transformation converges to and, at the same time, diverges from the ‘rod of Asclepius’, which nowadays is mostly associated with healing and medicine. We will evaluate them both and show how they converge and diverge as it relates to the aspects of happiness and healing. 차라투스트라의 높은 곳과 낮은 곳을 향한 이중의지(힘에의 의지)와 대극적인 것의 원환적 수렴(영원회귀) 그리고 위버멘쉬 사상은 ‘독수리와 뱀’과 차라투스트라의 ‘황금지팡이’의 상징에 극명하게 표현되어 있다. 본 논문은 차라투스트라의 주요상징을 고대 연금술의 상징인 카두세우스와 이로부터 파생된 아스클레피오스의 지팡이와 어떻게 관련을 맺는지 밝혀내고 또 이 상징들이 어떻게 ‘행복과 치유’의 메타포로 읽혀지고 해석될 수 있는가를 탐구한다. 궁극적으로 니체가 ‘행복과 치유’의 조건으로 본 ‘위대한 건강’은 대극적인 것의 통합과 융합을 통한 연금술적 가치창조와 힘에의 의지에 달려 있으며 소상인의 황금과 최후의 인간의 ‘왜소한 건강’과는 대척점에 놓이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특히 우리말 ‘깨닫다’와 ‘날고 기다’의 표현에 숨어있는 연금술적 사유와 차라투스트라의 상징들(독수리와 뱀)에 숨어있는 고대적 사유가 어떻게 조우하는지 분석되며 인도의서사시 ‘마하바라타’에 등장하는 나가(Naga)와 가루다(Garuda) 신화가 어떻게이 양자를 소통시키는 매개물의 역할을 할 수 있는지 ‘알’의 상징을 통해 설명된다. 이 밖에도 ‘깨닫다’와 ‘날고 기다’는 차라투스트라의 동굴에서의 깨달음과 그이후의 ‘상승과 하강’이라는 이중의지의 통합과정에도 정확히 상응하는 것으로보며 ‘빛과 그림자’의 사유에서 출발한 플라톤의 동굴과는 달리 차라투스트라의 동굴에는 ‘볕과 그늘’의 사유가 내재된 것으로 본다. 끝으로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에 등장하는 ‘원숭이와 진흙 위의 왕관’의 비유를 통해 차라투스트라가 (부정적 의미의) ‘광기’라 부르고 ‘날고 기다’와는 정반대의 의미를 가지고있는 ‘기어오르다’의 의미맥락이 분석되며 순환적이고 시중(時中)적이며 심신통합적인 ‘날고 기다’의 연금술적 의미를 다시 회복하고 이중의지의 원환적 수렴인‘둥근 고리’로 회귀하는 것이야말로 ’행복과 치유‘의 관건임이 강조된다.

      • KCI등재

        ‘깃털 달린 인간’의 ‘변신’ 이야기 - ‘숨’의 생명미학을 통해서 본 디오니소스적 인간과 소크라테스적 인간

        원동훈 한국니체학회 2011 니체연구 Vol.20 No.-

        Wie man heute im Museum, ursprünglich als Heiligtum der Musen, keine Muse, im Symposium kein geselliges Trinken oder in Lyrik keine Lyra finden kann, so kann man auch nicht im gegenwärtigen Theater eine Erscheinung der ursprünglichen dionysischen Kunst wieder erkennen. Nietzsche zufolge ging die dionysische Kunst doch bereits in der Antike durch die sokratische Kunst und Ästhetik, die an den sogenannten ‘nous’ glaubten, zugrunde und was wir heute das Dionysische nennen, ist im Grunde genommen eher als das dionysisch maskierte Sokratische zu bezeichnen. Die vorliegende Untersuchung stellt dem griechischen Begriff “hypokrites” den asiatischen “俳優” entgegen, welches, direkt übersetzt, “der beflügelte Mensch in Sorge” bedeutet. Zwei Begriffe bestimmen den dinonysischen Menschen von den diametralen Standpunten her gegesätzlich,hier unter der Optik des kritschen Sokratischen Menschen als “Unter-Mensch”,dort unter der Optik des normalen durchschnittlichen Menschen als “Über-Mensch”. Die Metamorphose des beflügelten Menschen ist daher im zweiten Fall weiter als eine vermittelnde Verwandlungsinstanz angesehen, die nicht nur im irdischen und ausserirdischen Bereich stattfindet, sondern auch im kosmischen. Wir wollen zeigen, wie das asiatische Denken, das von “Atmung” ausgehend den Menschen in erster Linie als untrennbare Einheit der drei Dimensionen von Shum(Atmung), Mom(Leib, Körper), Maum(Seele,Geist), bestimmt und wie die dinonysische Ästhetik mit der asiatischen Lebensästhetik(oder-praktik) der Atmung innig korrespontiert. ‘마음’이나 ‘정신’ 또는 ‘누스(nous)’에 대해 ‘몸’의 차원을 중시하는 니체의 사유와 ‘몸’과 더불어 ‘숨’의 차원에 주목한 아시아적 사유를 동시에 아우를 수 있는 키워드는 우리 고유낱말인 ‘’이다. 본 논문은 아시아적 생명사상의 근원이 ‘숨’에서 출발하여 니체가 얘기하는 ‘비극적 인간’과 ‘이론적 인간’ 또는 ‘디오니소스적 인간’과 ‘소크라테스적 인간’의 관계를 ‘깃털 달린 인간’의 ‘변신 이야기’속에서 재조명한다. 소크라테스적 인간에 의해 규정된 연기자와 위선자를 동시에 뜻하는 그리스어 ‘hypokrites’와는 반대로 한자어 ‘배우(俳優)’는 일상적 구속과 한계를 넘어서는 ‘초월성’과 ‘즉흥성’을 상징하는 ‘깃털 달린 인간’의 ‘변신(metamorphose)’과 관계되며 니체가 얘기하는 디오니소스적 인간의 원형을 더 잘 보존하고 있다고 생각된다. 이 밖에 한자문화권의 독특한 사유가 응축되어 있는 인간(人間), 시간(時間), 공간(空間)의 삼간(三間)에 보여 지는 ‘틈(間)의 사상’이 ‘숨’과 관련되어 설명되며 우리말 ‘숨, 꿈, 춤’에 내재된 생명사상과 서양 미학과 대립되는 ‘라사(Rasa)’와 ‘맛’의 생명미학이 논의된다.

      • KCI등재

        니체와 ‘그늘’의 사유

        원동훈 한국니체학회 2014 니체연구 Vol.26 No.-

        The korean word ‘grimja’, translatend in shadow’, is a world of appearance comprehended by the sense organ of ‘eyes’ from the perspective of ‘light and darkness’. In contrast ‘gnul’ as a world of reality experienced by the ‘body’ from the percpective of ‘heat and coolness’ could be translated in ‘cool shade’. The two traditional streams of western thoughts, summed up as ‘idealism and materialism’, are the thoughts of ‘grimja(shadow)’ that grasp ‘eye-centered’ the true and false of objects from the point of view of ‘light’. With his famous ‘allegory of cave’ Plato regarded the material world of phenomenon as grimja of transcendental world of idea and grim (painting) as grimja of grimja (simulacre), namely appearance of appearance. According to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the material world was considered as shadow-like, grimja, of the ideal world and the beauty as sensorial grimja of idea. The dialectic materialism of Marx, who turned over this relation, is not so different from Plato’s and Hegel’s grimja discourse. The ‘Interpretation of Dreams’ of Freud is no exception in this case, because he looks upon dream as the encoded grimja(hierogryphics) of the reality too. In contrast to Hegel, Marx and Freud, the thought of Nietzsche corresponds to the thought of ‘gnul’ which looks at the values of things from the point of view of ‘energy’ which is body centered. ‘Gnul’ is neither like ‘grimja’ the absence of light nor the defect copy or phantom but the cool territory of yin which is made just by the ‘difference’ of energy and equivalent to the hot territory of yang. The concept of Orgia which Nietzsche valued as keyword for understanding of the dionysian world in the ancient greek is described and discussed in the context of ‘Gnul’ perspective as well as Plinius’ theory of painting and Zorba’s dancing. 본 논문은 ‘그림자와 그늘’과 ‘숨, 꿈, 춤’이란 우리말 개념을 가지고 동서양의 사유의 근원적 차이를 밝혀내고 니체 사상의 근저에 놓여있는 생리학적 사유가 어떻게 ‘그늘’의 사유 와 조우하는지 또 이것이 ‘춤’과 더 나아가 ‘예술’이란 주제와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가를 조망함을 목적으로 한다. 유심론과 유물론으로 압축되는 서구의 전통적 사유는 ‘빛’의 관점에서 ‘눈’을 중심으로 사물의 ‘진위’를 파악하는 ‘그림자’의 사유이다. 이에 반해 ‘볕(열)’의 관점에서 ‘몸’을 중심으로 사물의 ‘가치’를 따지는 ‘그늘’의 사유는 동양과 니체의 사유가 만나는 지점이며 ‘빛과 그림자’ 또는 ‘실재와 가상’을 둘러 싼 서구의 전통적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의 패러다임이 붕괴하는 지점이기도 하다. ‘빛의 형이상학’에서 출발한 ‘그림자’와 ‘시각 중심’의 사유는 필연적으로 ‘망각’을 피하고 ‘기억’을 중시하게 되지만 ‘볕의 생리학’과 관련된 ‘그늘’과 ‘몸 중심’의 사유는 ‘기억과 망각’을 동시에 중요시 해 ‘알맞은 때’ 즉 시중(時中)과 적시(適時)를 중시하게 된다. ‘그늘’의 사유를 통해서 보면 예술은 ‘가상’도 ‘(감성적)인식’도 ‘허구’도 아니며 ‘시중(時中)’과 ‘적시(適時)’ 속에 삶의 간절함과 절실함이 피어낸 ‘기억술’이자 ‘망각술’이며 생명의 욕구로부터 터져 나오는 ‘에너지의 춤’인 동시에 건강술이자 존재변형술다. 플리니우스의 ‘그림의 기원’이 우리말 ‘그림, 그림자, 그리움’과 관련하여 새롭게 해석되며 이것이 니코스 카잔차키스의 소설에 등장하는 ‘조르바의 춤’이 보여주는 ‘생명의 욕구(tanha)’와 어떻게 만나는지 분석된다. 니체는 괴테가 그리스 문화를 이해하는 열쇄인 ‘오르기아(Orgia)’라는 현상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리스인을 이해하지 못했다고 얘기하는데 이 오르기아는 그늘의 사유와 관련된 ‘에너지’란 말의 뿌리이기도 하다. 이 오르기아라는 현상이 우리말 ‘숨, 꿈, 춤’과 ‘신(神)나다’에 숨어있는 핵심적인 사유와 어떻게 만나는지 설명되며 끝으로 ‘ 그늘’과 ‘ 그늘’의 키워드를 통해 새로운 ‘그늘론’이 제시된다.

      • KCI등재
      • KCI등재

        헤르메스의 지팡이와 마술피리 - 동서양의 마술피리에 대한 연금술적 해석

        원동훈 한국니체학회 2013 니체연구 Vol.24 No.-

        Hermes, who is normally regarded as the herold of Zeus in greek mythology,originally belonged to the pre-Olympian God in Sumerian period like Medusa before he was integrated in the new Olympian pantheon, as Arthur Frothingham had demonstrated. The god Pan, appearing as the son of Hermes in Greek mythology, was also an Oriental deity, who served the Great Mother Cybele just as Satyros did. The stories of Apollo and Pan, Midas and donkey ears in ‘Metamorphoses’ of Ovid mark the decline of the ancient alchemical wisdom which was represented by Hermes’ Caduceus and Pans flute, both of which symbolized alchemical unity of celestial and earthly energy. The process of exclusion of the earthly dimension from the alchemical unity revealed itself in the monopolization of Apollonian power of sun and light, and the killing of the snake goddess who represented the power of darkness and the invisible world. The korean version of the story of King Midas, namely the story of King Kyongmun, where the pan flute was replaced by the snakes, shows how the Magic Flute and snake confront the same fate, as soon as the alchemical union of Yin and Yang is lost. According to the alchemical ideal, the ‘Magic Flute’ of Mozart - where the snake and the Queen of night were also destroyed - is nothing else than the reproduction of the same story which exists since the story of the King of Midas. 오비디우스의 ..변신이야기..속에 나오는 판 플루트와 미다스 왕 이야기와..삼국유사..에 등장하는 만파식적과 경문왕 이야기는 헤르메스와 여와(女.)에서 출발하는 동서 마술피리 이야기를 그 원형으로 하고 있으며 ‘헤르메스 지팡이’와 ‘복희여와도’로 상징되는 고대 연금술의 지혜와 관계된다. 니체가 ..비극의탄생..에서 전하는 로마 티베리우스의 시대에 울려 퍼졌다는 ‘판의 죽음’은 비극의 죽음뿐만 아니라 연금술적인 지혜의 종말을 의미하며 고대 수메르 시대까지거슬러 올라가는 여신과 뱀 숭배의 최후의 몰락을 의미한다. ..변신이야기..의 판플루트와 미다스 왕 이야기와 ..삼국유사..의 만파식적과 경문왕 이야기는 아폴론의 시각이 아니라 헤르메스의 시각에서 볼 때만 그 진의(眞意)가 드러나며 비의(秘儀)와 선도(仙道)에 입문한 미다스 왕과 경문왕의 이야기가 주목되었을 때그 연금술적 의미가 드러난다. 니체가 ‘그리스적인 것’, ‘영원회귀’, ‘비의신앙’을같은 것으로 보고 ‘독수리’와 ‘뱀’의 상징을 통해 차라투스트라를 등장시키고 ‘자기 초극의 인간(Ubermensch)’을 설파하는 것은 고대 연금술의 지혜의 부활을꾀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미디어 시대의 ‘지혜’와 호모 사피엔스의 ‘혀’ -니체의 생리학적 정보미학-

        원동훈 한국니체학회 2009 니체연구 Vol.15 No.-

        In der Schrift Die Philosophie im tragischen Zeitalter der Griechen bezeichnet Nietzsche die griechischen Philosophen in diesem Zeitalter als ‘Weise’, die sich sowohl von den ‘Heiligen’ anderer Völker wie von den ‘Gelehrten’ oder ‘Wissenschaftlenr’ der jeweiligen Zeit grundsätzlich unterscheiden. Sie sind aber auch keine zwiespältige Wanderer oder Kämpfer, die in feinseliger und öder Umgebung mit geballten Fäusten oder erhitzten Gemütern auftauchen. Im Gegensatz dazu erschienen die griechischen Weisen des fünften und sechsten Jahrhundert vor Christus als ‘edle Mahner’, wobei die Griechen aus der ‘Höhle des Trophonios’ in die Üppigkeit, das Entdeckerglück und in den Reichtum und die Sinnlichkeit der griechischen Kolonien hineinschreiteten und dadurch den ungeheueren Gefahren und Verführungen der Verweltlichung ausgesetzt wurden. Nietzsche stellt fest, dass die griechischen Weisen als edle Mahner zu demselben Zweck in die Welt kamen, zu dem in jenen Jahrhunderten die Tragödie geboren wurde und die orphischen Mysterien ihren Glauben an ‘der ewigen Widerkunft’ praktizierten. Die vorliegende Arbeit zeigt, dass Nietzsche bei der Verwendung des Begriffs der ‘Weisheit' auf die ursprüngliche Bedeutung des griechischen Wortes 'Homo Sapiens’ zurückgreift, die sich etymologisch korrekt auch mit ‘der schmeckende Mensch’ wiedergeben lässt, und daraufhin seine ganze Philosophie, Ästhetik, Geschichts-, Gesellschafts- und Kulturtheorie auf diesem physiologischen und ästhetischen Boden aufbaute. Es handelt sich also bei Nietzsche um Homo Sapiens mit der herauschmeckenden und - erkennenden Zunge, die sowohl physiologisch als auch ästhetisch fungiert, und nicht etwa um einen mit einer sprechenden und widersprechenden Zunge, die logisch wie dialektisch vorginge. Wir werden sehen, welche Konsequenzen dieser physiologische und ästhetische Weisheitsbegriff des Homo Sapiens in den Bereichen von Kunst, Philosophie, Historie, Gesellschaft, Kultur nach sich zieht und welche unerwartete Aussagekraft er besonders für unser Medienzeitalter zutage fördert. 그리스 비극시대의 철학을 논하는 글에서 니체는 동시대의 그리스인들은 다른 민족, 다른 사회, 다른 시대의 ‘성자’나 ‘반사회적 혁명가’ 또는 ‘식자’나 ‘학자’와 구별되는 ‘현자’를 갖고 있었다고 말하면서 이 시대에 그리스 현자들은 이 시기에 비극이 탄생하 게 된 목적과 오르페우스의 비의들이 갖고 있던 목적과 동일한 실존적 목적을 갖고 ‘고귀한 경고자’로서 세상에 왔다고 얘기한다. 본 논문은 니체가 기원전 6~5세기 위험 과 유혹이 공존하는 ‘세속화’와‘ 세계화’의 시대에 ‘확고한 필연성’을 갖고 등장했다고 얘기하는 그리스 비극시대의 철학, 예술, 비의와 호모 사피엔스와의 관계를 밝히고 ‘심미적 인간’으로서의 호모 사피엔스의 지혜가 역사, 사회, 문화와 미디어 시대에 갖는 정보 미학적함의를 기존의 미디어 담론의 패러다임을 넘어 성찰한다. 우리가 일반적으 로 ‘이성적 인간’으로 알고있는 ‘호모 사피엔스’의 원의는 ‘말하는’ 주체인 로고스적인 혀가 아니라 ‘맛보는’ 주체인 퓌지스적인 혀에서 유래하며 ‘지혜로운 자’를 의미하는 그리스어는 ‘맛보는 자’, 즉 ‘섬세한 미각의 소유자’란 의미를 담고 있다. 니체는 섬세한 식별과 인식을 상징하는 호모 사피엔스의 ‘혀’에서 출발하여 ‘삶 또는 생명을 위한 정보’ 란 의미의 생리학적이고 심미적인 ‘지혜’의 개념을 도출해내고 이를 바탕으로 철학, 예술, 역사, 사회, 문화에 관한 새로운 ‘퓌지스’의 사상을 전개한다.

      • KCI등재

        美 CMMC 제도와 한국 방산보안 대응방안

        원동훈,홍수표,황문경,김동현,김찬혁,김대현 국방보안연구소 2023 국방과 보안 Vol.5 No.1

        South Korea's defense export market has grown rapidly in size since 2021 and is recognized worldwide. Meanwhile, as cyber threats against defense companies have continued to increase, making it even more important for defense companies to have the ability to respond to them, as any damage could lead to a weakening of their competitiveness.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ybersecurity in the defense sector, the U.S. devised the CMMC system to certify the security level by presenting security requirements to companies that contract with the U.S. Department of Defense. It will be applied not only to the U.S. But also to defense contractors in other countries, so it is necessary to prepare for it. In this paper, we examine the CMMC model and Ecosystem, and analyzes the domestic systems to derive optimal measures to strengthen the cybersecurity capabilities of Korean defense companies. The items and procedures of the Defense Security Measurement and Integrated Actual Survey, which are similar to the CMMC, were compared and verified for defense companie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the detailed analysis and comparison between control items will be used for research on the CMMC and mutual recognition agree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