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원경아(Won Kyung-A),임승주(Lim Seung-Ju),박혜연(Park Hae Yean),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2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중과제 훈련(Dual-task training)의 효과를 알아본 연구들을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NDSL, RISS, PubMed, CoChrane, EMBASE를 통해 지난 10년 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검색하였고, 최종적으로 10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를 전통적 단일계층 근거 모형에 따른 질적평가를 시행하고,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통해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선정된 10편의 논문의 질적 수준은 모두 전통적 단일계층 근거 모형의 Ⅰ과 Ⅱ에 해당되어 높은편에 속했다. 이중과제 훈련을 구성하고 있는 운동과제로는 7편의 문헌에서 보행 또는 균형 과제를선택했으며, 3편의 연구에서 상지운동 관련 과제를 선정하였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상생활활동수행능력이 0.65, 인지기능이 0.64로 보통(medium) 효과크기로, 하지운동 기능과 상지운동 기능은 각각0.34와 0.22로 작은(small) 효과크기를 보였다.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인지기능의 효과크기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및 인지기능 회복에 유용한중재기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내 임상 환경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절한 중재방법을선정할 때 도움이 될 만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dual-task training on stroke patients. Methods : We searched the databases such as NDSL, RISS, PubMed, CoChrane and EMBASE for publications in the past decade. Finally, 10 papers were selected. Qualitative assessment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single-layer evidence model, and meta-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program. Results : The quality level of each of the 10 selected papers all correspond to I and II in the traditional single-layer evidence model. The motor tasks that constitute dual-task training comprised walking or balancing tasks in 7 articles and the motor tasks related to upper extremity were selected in 3 studies. The effect sizes for ADL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were 0.65 and 0.64 (medium size effect) respectively. Moreover, the effect sizes of Lower extremity and Upper extremity motor function were 0.34 and 0.22 (small size effect) respectively. The effect size of ADL function and Cognitive fun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 : This study confirmed that dual-ask training can be a useful intervention technique for recovering a stroke patient s ability to perform daily activities and cognitive functions. This could be used as a helpful data when selecting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stroke patients in the clinical setting.

      • KCI등재후보

        생활습관 교육을 접목한 인지자극 그룹 프로그램의 효과 : 농촌지역 치매안심마을 경로당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원경아(Won, Kyung-A),박지혁(Park, Ji-Hyuk),김정란(Kim, Jung-Ran)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19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1 No.2

        목적: 본 연구는 농촌지역 치매안심마을 경로당 이용 노인을 대상으로 생활습관 교육을 접목한 인지자극 그룹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인지기능과 우울 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강원도 H군 치매안심마을 경로당 이용 노인 16명이 연구에 참가하였으며, 단일집단 사전-사후 검사 설계를 사용하여 연구를 설계하였다. 생활습관 교육을 접목한 인지자극 그룹 프로그램은 10주 동안 주 1회씩 실시되었다.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판 치매 선별도구(MMSE-DS), 주관적 기억저하 설문지(SMCQ), 한국어판 단축형 노인우울 척도(SGDS-K)를 프로그램 전, 후로 진행하였다. 결과: 사전 및 사후평가를 통해 얻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MMSE-DS(p=.009)와 SMCQ(p=.239)에서 인지기능은 유지 및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울 증상(p=.001)에서도 의미 있는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를 통해, 생활습관 교육을 접목한 인지자극 그룹 프로그램은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 및 우울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치매안심센터 또는 복지관이라는 시설을 넘어 지역사회 경로당에서도 효과적인 프로그램 운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향후 경로당을 통해 지역사회 건강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장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lement cognitive stimulation group program combined with lifestyle education for the elderly who use dementia care village in rural area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ognitive function and depressive symptom.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using one group pre-post design and 16 elderly who use the senior community center in rural area participated into the study. Cognitive stimulation group programs combined with lifestyle education were conducted once a week for 10 week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MSE-DS, SMCQ, and SGDS-K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Resul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data obtained through the pre- and post-assessment, Through MMSE-DS(p=.009) and SMCQ(p=.293), we have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function has been maintained or improved. Significant changes were also seen in depression symptoms(p=.001).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he cognitive stimulation group program combined with lifestyle education is an intervention that can positively affect the cognition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we confirmed that various programs can be operated effectively in the senior community center beyond facilities such as dementia care center or welfare center. We look forward to expanding opportunities to contribute to the health of the community through the senior community center.

      • KCI등재후보

        조기발현 치매(초로기 치매)의 특징과 비약물적 접근법에 관한 연구동향 조사

        원경아(Won, Kyung-A),이민아(Lee, Min-A),심주영(Sim, Ju-Young)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0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2 No.1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발현(초로기) 치매의 행동심리·인지적 특징과 더불어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을 알아보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비약물적 중재법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국내외 데이터베이스 중 NDSL, RISS, Google Scholar를 통해 조기발현(초로기) 치매와 관련된 문헌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문헌들의 제목·초록·전문 순으로 검토하여 조기발현(초로기) 치매환자의 특징과 비약물적 중재법에 대한 내용을 추출한 후 결과를 체계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결과 : 조기발현 치매 유형에는 알츠하이머형 치매, 혈관성 치매, 전측두엽 치매 등이 있으며, 노인성 치매와는 다른 양상을 보이며 비전형적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동심리·인지적 증상뿐만 아니라 수단적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의 감소가 두드러지며, 증상 완화 또는 악화 지연을 위해 인지활동, 신체활동, 사회활동 등과 관련된 다양한 비약물적 중재법들이 적용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 본 논문은 노인성 치매가 아닌 조기발현 치매의 특징과 비약물적 중재법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조기발현 치매 관련 연구가 적은 상황에서 조기발현 치매의 원인, 증상, 비약물적 중재법 등에 대해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병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 가정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psychologic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early-onset dementia, as well as patients ability to perform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to systematically analyze and introduce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Methods : Literature related to early-onset dementia was collected through NDSL, RISS, and Google Scholar. We reviewed the articles in order of title, abstract and full text, and tried to show systematically the results after extracting the contents from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early-onset dementia. Results : Types of early-onset dementia include Alzheimer s dementia, vascular dementia, and frontotemporal dementia. Patients with early-onset dementia are different from senile dementia and are often non-typical. In patients with early-onset dementia, behavioral·psychological and cognitive symptoms, as well as a decreased ability to perform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re noticeable. It was confirmed that various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related to cognitive, physical, and social activity are applied to relieve symptoms. Conclusion : This paper clearly describes the characteristics of early-onset dementia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early-onset dementia.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ystematically summarizes the causes, symptoms, and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of early-onset dementia as studies related to early-onset dementia in Korea are scarce.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not only for hospitals, but also for communities and families dealing with early-onset dementia.

      • KCI등재후보

        뇌졸중 환자의 상지 경직 감소와 기능 향상을 위한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원경아(Won, Kyung-A),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8 재활치료과학 Vol.7 No.3

        목적 : 본 연구는 국외 학술지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를 통해 경직을 가지고 있는 뇌졸 중 환자를 대상으로 진동자극의 효과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전자 데이터베이스인 NDSL과 RISS를 사용하여 2009년 4월부터 2017년 10월까지의 논 문을 검색하였다. 주요 검색 용어로 ‘Vibration therapy’, ‘Focal vibration ’, ‘Somatosensory’, ‘Upper limb’와 ‘Spasticity after stroke를 사용하였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통해 최종적으로 6 개의 논문이 선정하였다. 결과 :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중재방법으로는 진동자극만을 적용한 중재부터 과제 기반 진동자극 중재부터 다양하였다. 중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경직, 상지기능, 일상생활동작 평 가도구가 사용되었다. 국소 진동자극은 뇌졸중 환자의 경직 감소와 상지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뇌피질의 활성화에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치료사들은 국소 진동자극 적용에 필요한 정보 및 근거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다양한 국소 진동자극의 적용 방법으로 인해 효율적인 진동수, 진폭의 크기 및 진동을 적용 할 위치를 확인하는 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국내연구에서는 국소 진동자극의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체계적인 중재 프로토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 : This systematic review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ocal muscle vibration in patients with post-stroke spastic hemiplegia. Methods : We searched literature published between April 2009 and October 2017 using PubMed and RISS databases. The main search terms were Vibration therapy, Focal vibration, Somatosensory, Upper limb, and Spasticity after stroke. Based on inclusion/exclusion criteria, 6 articles were selected. Results : Articles on focal muscle vibration intervention ranged from evaluation of application- only vibration to muscle vibration with task-oriented activity. Intervention effects on upper extremity spasticity and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assessed. There were significant effects on upper extremity spasticity, function, and cortical excitability. Conclusions : This study can provide information on focal muscle vibration for use by clinical therapist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dentify the optimal stimulation site and frequency/amplitude of application to maximize the effects of focal muscle vibration.

      • KCI등재후보

        A Study 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hedoke Arm and Hand Activity Inventory (CAHAI)

        원경아(Kyung-A Won),한대성(Dae-Sung Han),박혜연(Hae Yean Park),박지혁(Ji-Hyuk Park)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 2022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Vol.4 No.1

        목적 :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과 관련된 양측상지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평가도구인 Chedoke Arm and Hand Activity Inventory (CAHAI)를 한글로 번안하고,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여 국내 도입을도모하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19년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간 진행되었으며, 뇌졸중 환자 51명과 뇌졸중 관련전문가 17명이 참여하였다. 한글판 CAHAI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와 수렴타당도를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신뢰도는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조사하였다. 통계분석 프로그램으로 IBM SPSS Statistics 25를 사용하였다. 결과 :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17명의 전문가에게 조사한 결과, 한글판 CAHAI 13항목의 평균 I-CVI 값은0.81로 나타났다. 수렴타당도의 경우, Y-BAT과 CMDT의 두 손 뒤집어 놓기 검사와의 상관계수가 각각0.584(p<.01), -0.444(p<.01)로 확인되었다. 내적일치도는 평균 Cronbach’s α 값이 0.847이었으며, 검사?재검사 신뢰도의 평균 ICC 값은 0.977이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한글판 CAHAI는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양측상지기능 평가도구임을 확인할 수있었다. 양측상지기능의 문제로 일상생활활동 수행에 어려움을 경험하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한글판CAHAI를 적용함으로써, 양측상지기능 회복을 통한 일상생활활동 수행의 독립성 증진 목적의 평가도구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translate the Chedoke Arm and Hand Activity Inventory (CAHAI), which can measure bilateral upper extremity function into Korean, and to verify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Methods : This study was conducted over three months, involving 51 stroke patients and 17 stroke-related experts. The Korean version of the CAHAI was verified through content and convergence validity. Reliability was verified through internal consistency and test-retest reliability. For statistical analysis, IBM SPSS Statistics 25 was used. Results : The average Item-level Content Validity Index (I-CVI) value of 13 items of Korean CAHAI was 0.81. For convergence validity,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 Yonsei-Bilateral Arm Test (Y-BAT) and turning test of the Complete Minnesota Dexterity Test (CMDT) were 0.584 and –0.444, respectively (p<.01). The average Cronbach’s α value for internal consistency was 0.847, and the average ICC value for test-retest reliability was 0.977. Conclusion : We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CAHAI is a appropriate tool for evaluating bilateral upper extremity (U/Ex) function, showing high validity and reliability. Therefore, the Korean version of the CAHAI can be considered useful in the therapeutic approach to recover bilateral U/Ex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KCI등재

        인천광역시 고령자의 보건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한국의료패널자료를 이용하여

        원경아(Kyung-A Won),양민아(Min Ah Yang),박지혁(Ji-Hyuk Park) 한국노년학회 2020 한국노년학 Vol.40 No.4

        본 연구는 한국의료패널을 통해 인천광역시 고령자의 보건의료이용 행태 예측요인을 확인하여 고령자의 보건의료접근성을높이거나 보건의료이용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서비스 또는 제도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의료패널 중 인천광역시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대상자 총 305개의 자료를 SPSS와 AMO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개인속성과 건강수준, 건강수준과 보건의료이용행태에서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났다. 또한, 구축된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효과 분석을통해 개인속성 요인, 생활습관, 건강수준이 모두 보건의료서비스 이용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이를 통해 인천시가 다른 지역들에 비해 보건의료서비스 수요 및 공급에서 불균형이 심한 편이므로 고령화 사회에 맞춰 인천시의보건의료체계 정립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으며, 인천시 거주 고령자에게 제공할 보건의료서비스의 방안과 관련 정책 제도 수립 시본 연구 결과를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services or systems that can enhance the accessibility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or enhance the efficiency of health and medical use of senior citizens by identifying factors for predicting health and medical use behavior of senior citizen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through the Korea health panel data(version 1.5).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established through the SPSS and AMOS,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disposing factors, health behaviors and needs factors had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the use of health care services. Since the imbalance in demand and supply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s is more severe than in other reg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when checking whether the current health and medical system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can operate effectively in an aged society and discussing how to provide health and medical services to the elderly in Incheon.

      • KCI등재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에 대한 경두개 직류자극술 효과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원경아(Won, Kyung-A),양민아(Yang, Min Ah),박혜연(Park, Hae Yean),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0 재활치료과학 Vol.9 No.1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DCS on the recovery of upper limb function in stroke patients. Methods : We searched for papers published in journals between 2009 to 2018, using NDSL and RISS. A total 14 experimental research pap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quality of the 14 articles was evaluated using the PEDro scale and 12 article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program. Results : All of the 14 articles that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in this study were published in foreign journals. The effect sizes for upper extremity(U/Ex) strength and U/Ex motion were 0.19(small size effect) and 0.49(medium size effect) respectively. Furthermore, the effect sizes of anode mode and cathode mode were 0.71(large size effect) and 0.41(medium size effect), respectively .The effect size of U/Ex motion and the anode mod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Conclusion : We identified that tDCS can be a useful rehabilitation technique for stroke patients with limited upper body function.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help with suggestions for basic data on new rehabilitation techniques for stroke patients and the planning of effective interventions.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회복에 대한 경두개 직류자극(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tDCS)의 효과를 살펴본 연구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 2009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NDSL과 RISS를 통해 검색하였 다. 선정기준과 배제기준을 통해 총 14개의 실험연구 논문이 선정되었다. 이를 PEDro 척도를 사용하여 질적 평가를 시행하고, 이 중 12개 논문에 대해서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에서 고찰한 문헌 14편은 모두 국외 학술지에 게재된 문헌들이었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효과 크기는 상지 근력 0.19로 ‘작은 효과크기’, 상지 움직임 0.49로 ‘보통 효과크기’를 보였다. 상지 움직임의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던 것으로 분석되었다(p<0.05). 또한 양극 (anode) 모드는 ‘큰 효과크기’를. 음극(cathode) 모드는 ‘보통 효과크기’를 보였으며, 양극 모드의 효과크기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상지기능이 제한된 뇌졸중 환자에게 tDCS는 유용한 재활 기법이 될 수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내 임상가들에게 뇌졸중 환자를 위한 새로운 재활 기법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 효과적인 중재를 계획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지역사회 거주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 측정도구에 관한 조사: 경향과 활용전망

        박강현(Park Kang-Hyun),원경아(Won Kyung-A),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9 재활치료과학 Vol.8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의 다면적 라이프스타일 프로파일 개발을 위해 라이프스타일을 포괄적으로평가하는 도구 뿐만 아니라, 라이프스타일의 기본요소인 신체적 활동과 영양 그리고 활동 및 참여를평가하는 도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포괄적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의 경우 2001년 1월부터 2019년 6월까지 CINANL, NDSL, PubMed, Riss을 사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으며, 검색어는 lifestyle assessment OR lifestyle profile OR lifestyle test 를 사용하였다. 라이프스타일 구성요소별 평가도구 관련 문헌 검색의 경우 2010년부터1 월 부터, 2019년 6월까지 CINANL, NDSL, PubMed, Riss을 사용하여 문헌을 수집하였으며, 검색어는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 OR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profile , nutrition assessment 그리고“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 OR “activity participation and lifestyle”을 사용하였다. 결과: 검색결과로 얻은 4,165편의 문헌 중 선정기준에 부합하는 31편의 연구가 최종적으로 선정되었으며, 총 31편의 논문에서 포괄적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는 총 5종류로 모두 자가응답식 평가도구이며, Health Enhancement Lifestyle Profile(HELP)와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HPLP)이 각각 3편(33%)으로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신체 활동 평가도구의 경우 자가응답식 설문형식의 평가도구가 7편(58%)으로가장 많았고, 설문 형식의 평가 방법의 보완으로 객관적 평가도구인 가속도계를 기반으로 한 평가도구4개(33%), 고령자를 위한 식이 평가도구는 Mini-Nutritional Assessment(MNA)가 3편(42%)로 가장 많이사용 됨을 알 수 있었다. 활동 참여의 평가도구의 경우 총 5종류의 평가도구가 노인의 활동 참여를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그 중 Meaningful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MAPA) 가 3편(43%)으로 가장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31편의 문헌 고찰 결과, 고령자의 라이프스타일과 관련된 평가도구는 총 21개로 나타났다. 포괄적평가도구는 자가보고식의 평가가 기반이 된 항목이 많았고, 주로 음주, 흡연, 운동 및 식이와 사회적 활동에 관한 참여 빈도 및 시간을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라이프스타일의 주요 구성 요소로평가도구로는 대부분 자가보고식의 평가형식이며, 활동에 대한 참여여부와 빈도를 측정하는 것으로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포괄적 라이프스타일 평가도구와 라이프스타일의 각 항목별 평가도구의 종류, 평가항목 및 측정방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고령자의 다면적 라이프스타일을 평가 할 수있는 표준화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prehensive lifestyle assessment and other assessments which evaluate essential lifestyle factors, including physical activity, nutrition and activity participation. Methods: To analyze the comprehensive lifestyle assessment, from January 2001 to June 2019, a literature search was conducted using the CINANL, NDSL, PubMed, and RISS databases. The search terms were ‘lifestyle assessment’ OR ‘lifestyle profile’ OR ‘lifestyle test’. In terms of other assessments of essential factors of lifestyle, from January 2010 to June 2019, articles were searched using similar databases. The search terms were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OR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profile’, ‘nutrition assessment’,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 OR ‘activity participation and lifestyle’. Results: A total of 4,165 articles were obtained, and finally 31 articl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inclusion criteria. Among 31 articles, there were five with comprehensive lifestyle assessments, and all of them were self-report questionnaires. The most popular assessments were the Health Enhancement Lifestyle Profile (HELP) and the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HPLP), which were used in three articles (33%). In terms of assessment of physical activity, the most frequently used evaluation method was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which was used in seven articles (58%) followed by objective assessments, which were used in four articles (33%).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Mini-Nutritional Assessment (MNA)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for nutrition assessment in the elderly. There were five types of assessment tool used for activity participation. Among them, meaningful activity participation assessment (MAPA)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tool.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ystematic review, it was found that there are 21 assessment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lifestyle in the elderly. Most assessments employ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and mainly evaluated frequency and duration of participation in drinking, smoking, exercise, nutrition and social activities. Assessments of essential lifestyle factors were the self-report questionnaire method and the participation and frequency of activity. Therefore, by analyzing assessment tools, types of items and measurement methods of comprehensive lifestyle assessments and other assessment of essential lifestyle factors,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ata on which to develop a standardized assessment tool that can evaluate the multifaceted lifestyle profile of the elderly.

      • KCI등재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형태와 효과에 관한 체계적 고찰

        원경아(Won Kyung-A),신윤찬(Shin Yun Chan),박상미(Park Sangmi),한아름(Han Areum),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19 재활치료과학 Vol.8 No.2

        목적 :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에게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형태와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며, PRISMA 가이드라인를 통해 체계적 고찰을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2008년 1월부터 2017년 12월까지 국·내외 학술지에 개제된 논문을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RISS, PubMed, CINAHL을 통하여 검색하였다. 선정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20편 의 연구를 분석하였으며, PEDro scale(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ale)을 사용하여 문헌의 질 평가를 하였다. 문헌에서 사용된 중재는 참가자들의 질환적 특성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과 :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주요 구성요소는 중등도 이상의 운동과 같은 신체활동 증진과 건강한 식습관 형성을 위한 교육 및 훈련으로 확인되었다. 최종 분석된 20편 중 17편의 연구에서는 운동프로그램과 교육 또는 식단 관리와 운동과 같이 두 가지 이상의 구성요소를 갖는 형태로 중재가 적용되었다. 노인의 건강 및 삶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다면적인 평가가 이뤄졌으며 그 중 생화학적 요인(biochemical factor)과 건강 및 웰빙(Health and well-being)을 평가하는 도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분석 결과 지역사회 노인을 대상으로 한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효과는 연구별로 상이하게 나타났으나, 14편의 연구에서 중재 직후 실험군과 대조군 간에 건강 및 삶 의 질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노인의 질환적 특성에 따른 라이프스타일 중재기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국내 지역사회 상황에 부합되는 중재의 개발 및 효과에 관한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적 라이프스타일 중재의 실행가능성에 관한 연구들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ormat and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 provided to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This systematic review was written following the PRISMA guideline. Methods : The 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NDSL), RISS, PubMed, and CINAHL were used to search for articles published from January 2008 to December 2017. In total, 20 articl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and the risk of bias was screened through the Physiotherapy Evidence Database Scale. Lifestyle interventions in the articl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isease of the participants. Results : Major contents of the lifestyle interventions were increased physical activity like moderately intensive exercise and education or training to help participants have a healthy diet. Of the 20 articles, 17 included more than 2 types of contents. Examining biochemical factors was the most common measurement among the multifaceted measurements used to assess the effects of lifestyle interventions. The results of the lifestyle interventions described in each article did not indicate congruent effects. 14 of the 20 articles reported the lifestyle interventions had significant effects.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help practitioners select the contents of and provide lifestyle interventions to older adults. Further study on the various applications of lifestyle interventions in a community setting is necessary.

      • KCI등재

        Development and Usability Test of the Prototype of the “Smart Stacking Cone” Based on Dual-task Using ICT

        임승주(Lim, Seung-Ju),원경아(Won, Kyung-A),김대겸(Kim, Dae-Gyeom),김영(Kim, Young),박지혁(Park, Ji-Hyuk) 대한신경계작업치료학회 2021 재활치료과학 Vol.10 No.2

        목적 : 본 연구는 중추신경계 손상 환자의 상지기능과 이중과제 수행능력의 평가 및 훈련을 위해 개발중인 스마트 스태킹 콘을 시제품 단계까지 개발하여, 사용성을 파악하고 수정 및 보완점을 점검하여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ICT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 스태킹 콘’의 시제품을 개발하였으며, 평가 및 훈련으로부터 생성되는 피험자의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 회로 및 소프트웨어 기능을 설계하였다. 또한, 피험자의 수행을 올바르게 측정할 수 있도록 구체화된 측정변수를 설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단일과제 평가모드’, ‘이중과제 평가모드’, ‘단일과제 훈련모드’, ‘이중과제 훈련모드’로 콘텐츠를 구성하였다. 또한, 개발된 시제품의 임상적 적용 가능성과 전반적인 만족도를 평가하고자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사용성 평가 결과 개발된 시제품에 대해 전반적으로 보통 이상의 수준으로 긍정적인 응답이 나타났다. 특히, ‘콘텐츠 적절성’ 영역은 적절 수준이 가장 높게 응답된 영역이자 부적절 수준이 가장 저조하게 나타난 영역으로 확인되었고, ‘전반적 만족도’ 영역은 매우 적절 수준이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임과 동시에 부적절 수준 또한 가장 높게 나타난 영역으로, 기기에 대한 전반적 만족도는 안정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기를 수정하여 완성한 후 실제 환자군에게 적용해봄으로써, 기기의 임상적 효과성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is study aimed to develop prototypes of “smart stacking cones” by combining ICT to evaluate and train the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dual task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central nervous system impairment, and to identify the complementary point to the completion of the device through a usability test. Methods : This prototype comprised of a hardware and software system that enabled the evaluation and training of patients and the management of data obtained from patients’ performance. Specific measurement variables were established so that patient performance could be measured correctly. Based on the measurement variables, a the prototype included a ‘single task evaluation modes’, ‘dual task evaluation mode’, ‘single task training mode’, and ‘dual task training modes’. Additionally, a usability test was conducted to assess clinical applicability and overall satisfaction for the prototype. Results : The results of the usability test were generally found to be appropriate. The ‘content adequacy’ in the usability test was the area with the highest level of adequacy and the lowest level of inadequacy. Additionally, overall ‘satisfaction’ in the usability test was the area with the highest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levels. Hence, the overall satisfaction results were unstable. Conclusion :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to identify the clinical effectiveness of the device by applying an upgraded smart stacking cone to an actual patient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