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어학과졸업생의 취업상황 및 대안 -연대대학교 한국어학과를 중심으로

        영란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6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4 No.-

        山東省的韓國語敎育, 于1992年中韓建交之后開始, 幷經過十余年的發展呈現前所未有的景象。 其主要原因在于韓國語專業百分之百的就業率。 目前, 全國高校畢業生均遇到就業難問題的時候, 韓國語專業的就業率達百分之百成爲該專業最大的優勢。 不過, 筆者以烟台大學等山東省的高校爲對象進行調査的結果, 韓國語專業雖然就業率高, 但出現就業質量和滿意度偏低等問題。 今后, 韓國語專業不應該僅滿足于就業率高的表面現象, 而努力提高就業質量, 幷爲此培養旣掌握韓國語又掌握其他專業知識的高水平人才。

      • KCI등재
      • KCI등재

        영문 ; 한-칠레 자유무역협정하의 무역전환 분석

        타이우프라센 ( Utai Uprasen ) 국제지역학회 2014 국제지역연구 Vol.18 No.2

        본 논문은 2014년 한-칠레 자유무역협정이 발효된 이후 한국의 15대 주요 교역상대국으로부터의 수입이 감소한 현상에 대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한-칠레 자유무역협정이후 15대 주요 교역상대국으로부터 수입이 감소한 것은 한-칠레 FTA때문에 한국의 무역구조에서 무역전환효과가 발생했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한-칠레 FTA 때문에 한국에서 무역전환효과가 발생했음을 양자무역협정에 대한 중력모델을 활용하여 증명하였다. 위의 분석은 PPML (Poisson Pseudo Maximum Likelihood) 고정효과 모델을 이용하여 1998년 부터 2002년까지의 기간동안에 50개 교역상대국의 84개 산업에 대해서 HS 2단위에서 수행되었다. 본 논문에서 수행된 실증분석 결과는 한국의 여러 교역상대국에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한-칠레 FTA에 따른 무역전환효과가 실제로 발생했음을 입증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에 따르면, 한-칠레 FTA에 따른 무역전환효과는 분석대상 84개의 산업 중 25개의 산업에서 발생하였다. 무역전환효과는 대개분의 경우 한국의 주요 교역상대국과의 무역에서 혹은 칠레와 유사한 대한국 무역구조를 지니고 있는 교역상대국과의 무역에서 발생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한-칠레 FTA로 인해 발생한 무역전환효과 때문에 한국의 15대 주요 교역상대국에서 한국으로의 수입이 감소한 것을 입증하고 있다.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the evidence that share of imports of Korea from the 15 main trade partners reduced after the Korea-Chile FTA has been enforced since 2004. This phenomenon may imply that there exist trade diversion emanated from the Korea-Chile FTA. Therefore, the trade diversion in the point of view of Korea is examined by using a refined gravity model of bilateral trade. The experiment has been conducted at industry level of HS 2-digit for 84 industries of 50 trade partners during 1998-2012 using fixed-effects PPML (Poisson pseudo maximum likelihood) approach. The empirical findings affirm that trade diversion indeed occurs in various industry across different trade partners of Korea. Trade diversion exists in 25 industries out of 84 industries. Mostly, the trade diversion presents on trade between Korea and trade partners which either they are the major trade partners of Korea or the partners have similar trade structures to Chile. The empirical findings of this study also exhibit that one of the reasons of the reduction of share of total imports of Korea from 15 trade partners come from trade diversion caused by the Korea-Chile FTA.

      • KCI등재

        태국-말레이시아 무역수지 및 제이커브효과에 미치는 실질환율의 역할: 산업 단계별 분석

        타이우프라센 ( Utai Uprasen ) 한국외국어대학교 동남아연구소 2018 東南亞硏究 Vol.28 No.2

        실질환율의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기존 연구는 다양한 실증적 결과를 나타낸다. 기존 연구가 제시한 이런 결정적이 아닌 결과에 대한 주목을 해야 하는 주장 사항은 연구에서 집계 편의가 거래 파트너 및 거래하는 대상 상품 두 개 모두에서 내뽑아서 집계되 있다는 점에 있다. 본 연구는 자기회귀시차분포 모형(ARDL model) 을 응용하여 2자리 숫자 단계의 27개 SITC(표준국제무역분류) 산업분야에 대한 분해 수준의 연별 데이터(1971-2017)를 이용하여 환율의 태국과 말레이시아 이 두 나라 간의 무역수지에서의 역할 요인을 조직한다. 우리가 수행한 분석과정에서 제기된 분석결과에 의하여 태국의 공식 화폐인 바트(THB) 의 말레이시아 공식 화폐 링깃(MYR) 대비 가치 하락이 단기적으로 태국에서 제이커브 현상을 야기하기 보다 오히려 태국의 무역수지 향상을 불러온다는 것을 보여준다. 분석결과에 따라서 6개 산업분야에서 제이커브 효과가 발견되었으며 이 6개 산업분야가 태국의 말레이시아와의 총 무역 값의 8.94%를 차지한다. 말레이시아 링깃(MYR) 대비 태국 바트(BTH)의 가치 하락으로 인한 긍정적인 장기적인 효과가 태국-말레이시아 간 총 교역 값의 29.75%를 차지하는 10개 산업부문에서 발견되었다. 우리 연구에서 실행한 추정작업이 제공한 결과는 말레이사를 대비로 한 태국의 특정 산업 분야에서 무역 수지의 개선을 위해서 환율정책이 아직도 중요한 방안임을 시사한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말레이시아 링깃(MYR) 대비 태국 바트(THB)의 가치하락은 제이커브효과로 인하여 6개의 산업분야에서 단기적인 무역수지 악화 현상을 일으킨다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그래서 정부당국은 정책을 신중히 시행해야 한다. The existing literature regarding the role of real exchange rate on balance of trade reveals mixed empirical findings. The remarkable argument for the inconclusive results is the aggregation bias emanating from aggregating either trading partners or trading commodities in the study. This paper scrutinizes the role of exchange rate on trade balance of Thailand vis-à-vis Malaysia at disaggregated level using annual data (1971-2017) at 2-digit level of 27 SITC industries with the autoregressive distributed lag (ARDL) model. Our findings show that a depreciation of Thai Baht (THB) against Malaysian Ringgit (MYR) causes improvement on Thailand’s trade balance rather than generating a J-curve phenomenon in the short run. The J-curve effects are detected in 6 industries which account for 8.49 per cent of Thailand’s total trade share with Malaysia. The positive long run effects of a real depreciation of THB against MYR on Thailand’s trade balance are found in 10 industries which represent 29.75 per cent of Thailand-Malaysia total trade values. Our empirical findings provide an important policy implication for Thailand. The estimation results imply that the exchange rate policy is still an important measure to improve trade balance of certain industries of Thailand against Malaysia. Nonetheless, a depreciation of THB against MYR will also worsen trade balance of 6 products in the short run, caused by the J-curve effects. Therefore, the authorities should implement the policy cautiously.

      • KCI등재

        영문 ; EU 신규회원국의 기술이전과 생산성 증가에 관한 연구: 무역과 해외직접투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타이우프라센 ( Ytau Yorasen ) 국제지역학회 2011 국제지역연구 Vol.15 No.3

        본 논문은 거시경제와 산업별 차원에서 수입과 해외직접투자가 EU 신규회원국의 기술이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직접투자 유치국의 해외기술을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효과적인 흡입지수(Effective Absorption Index)라는 새로운 지수를 만들어 해외직접투자 유치국의 해외기술 활용도를 추정하였다. 1998년-2009년 기간 동안 12개국의 해외투자국과 10개국의 해외투자 유치국의 자료를 이용한 거시경제적 차원의 연구결과를 보면, 국내 연구개발로 인한 EU 신규회원국의 총요소생산성 증가보다는 외국 연구개발(R&D)의 기술전파효과(technical spillovers)가 더 컸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해외직접투자보다 수입이 기술전파효과에 더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쌍무적 기술전파효과의 경우, 독일이 EU의 신흥국에 대한 기술이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내 R&D보다 해외 R&D의 기술이전효과가 총요소생산성 증가에 더 많은 기여를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업별 차원의 연구를 위해 1998년-2009년 기간에 10개국의 해외투자국과 6개국 해외투자 유치국의 17개 산업별 자료를 이용한 연구결과를 보면, 기술이전의 유형이 국가별로 다르지만 고기술산업에서 기술전파효과가 총요소생산성 증가에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studies the contribution of imports and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as a vehicle of technology transfer onto the EU new member states at both macroeconomic and industry level. The paper takes the effectiveness of the recipient`s utilization into account by constructing a new index, the so-called Effective Absorption (EA) Index, to measure ability to absorb and utilize the foreign technology in the recipient country. Using data from 12 donors and 10 recipients from 1998 to 2009, the study at macroeconomic level indicates that technical spillovers of foreig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play more crucial role relatively to domestic R&D on total factor productivity (TFP) growth of the new member states. Imports are found as the major vehicle of technical spillovers rather than inward FDI. The study at industry level is conducted by using data from 17 manufacturing industries of 10 donors and 6 recipients during 1998 to 2009. The empirical results also support the findings at country level. The patterns of technology transfer are different across industries. Nonetheless, technical spillovers exhibit significantly high contribution on TFP growth in high-tech manufacturing industries.

      • KCI등재후보

        立本特異的 方法과 ₁₃C-NMR 技法에 의한 잣기름의 트리아실 글리세롤의 構成脂肪酸의 分布에 관한 硏究

        효경(Woo Hyo Kyeng)(禹孝京),김성진(Kim Seung Jin)(金成眞),조용계(Joh Yong Goe)(趙鏞桂) 한국유화학회 1998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Vol.15 No.4

        All the triacylglycerols including the molecular species having △^5-unsaturated fatty acids from the seeds of Pinus Koraiensis, were split into a mixture of diacylglycerols by a Grignard reagent prepared with allyl bromide without arousing acyl chains of a glycerol moiety to migration, and were also easily partially hydrolyzed to diacylglycerols by pancreatic lipase. (S)-(+)-(1-naphthyl)ethyl urethane(NEU) derivatives of the diacylglycerol mixture derived from the triacylglycerols were fractionated into sn-1, 3-, sn-1, 2- and sn-2, 3-DG-NEU by silica-HPLC and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se fractions was analysed. C_18:1ω9 is distributed evenly in the three positions of TG with C_18:2ω6 mainly located in sn-2 position, while △^5-unsaturated fatty acids such as △^5.9-C_18:2, △^5.9.12-C^18:3 and △^5.11.14-C_20:3 are exclusively present in the sn-3 position. These results could be confirmed by ^13C-NMR sepctroscopy : the signals at δ173.231 ppm and δ172.811 ppm of the carbonyl carbon of acyl moieties indicate the presence of saturated acids and/or C_18:1ω9 (oleic acid) in the α(α`)-or β- positions, and C_18:2ω6 including C_18:1:ω9 in the β-position,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resonance at δ173.044 ppm suggested a location of △^5-unsaturated fatty acid moiety in the α(α )-position.

      • KCI등재

        공공서비스 관리이론의 한국적 적실성에 관한 비교연구 - 신공공관리론과 신공공서비스론을 중심으로

        양호(禹良昊) 한국지방정부학회 2008 지방정부연구 Vol.12 No.2

          The prim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evance of the New Public Management theory and the New Public Service theory for public management in Korea.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s of the two models, the New Public Management and the New Public Service, on the service outcomes of public service deliveries of 30 city governments in Korea. The o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civil administration service, the public health service, the environmental protection service and the consumer protection service. In the primary results of this study, there were some different aspects between the two models in public management among service types. Moreover, both models were hav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evel of public service outcome. In conclusion, we know that the current New Public Management and the New Public Service for public management models have several problems on their acceptance and application as public service delivery systems in Korean government. It is necessary to accept after that to make a thorough comparative study and a verification of each model.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공공서비스 분야에서 신공공관리론과 신공공서비스론의 적실성을 이론적, 실증적으로 비교하여 규명하는 논문이다. 연구를 위해 전국 30개 도시에서 4가지 서비스분야의 관료와 시민 121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으며, 신공공관리론과 신공공서비스론의 특성 및 통제변수가 주관적 측정치를 통한 서비스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든 서비스 유형에서 지금의 신공공관리론적 특성이 적실성이 높고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었다. 어떤 서비스에서는 신공공관리론의 적실성이 높고 좋은 결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어떤 서비스에서는 신공공서비스론의 적실성이 높고 좋은 결과를 가져 왔다. 둘째, 서비스 유형에 따라 두 이론의 적실성은 상대적인 차이가 있었다. 민원과 보건소서비스와 같은 배분적 분야에서는 신공공관리론의 특성이 강할수록 좋은 결과가 나타나지만 환경보호와 소비자보호서비스와 같은 규제적 분야에서는 신공공서비스론의 특성이 강할수록 좋은 서비스 결과를 가져왔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공공서비스 관리에 있어서 좋은 결과를 가져오기 위해서는 두 이론의 특성과 서비스 유형에 따라 그 관리방식을 달리해야 한다는 상황이론이 적합하였다. 이는 우리나라 모든 공공서비스 관리에 신공공관리론을 획일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못하며, 신공공서비스론도 신공공관리론에 대해 완전한 대안적 처방은 될 수 없음을 시사했다.

      • KCI등재

        책임운영기관의 시장지향성의 고객만족과 서비스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호(禹良昊),홍미영(洪美英),문경주(文景柱) 한국지방자치학회 2005 韓國地方自治學會報 Vol.17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service performance, and examines how employees satisfactio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play a mediating role between market orientation and service performance in the Driving License Test Center(ROA: responsible operation agency).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a DLTC's market orientation efforts improve not only its service performance but also its customer satisfaction. For these purposes the authors developed a structural model which consists of several variabl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eleven DLTC. Some employees and customers of each DLTC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eater the market orientation, the greater the employee satisfaction. Second, the greater the market orientation, the greater the customer satisfaction and service performance. Third, the greater the market orientation, the greater the service performance. Fourth, the greater the employee satisfaction, the greater the service quality. Fifth, the greater the service quality, the greater the customer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