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임원보수공시에 따른 경영자의 차별적 원가전략

        우혜진(Wu, Hye Jin),박종국(Park, Jong Kook),홍영은(Hong, Young Eun) 한국관리회계학회 2020 관리회계연구 Vol.2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원개인별보수공시가 기업의 원가전략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2013년 5월 28일 자본시장법 개정으로 상장회사들은 2014년부터 5억 이상인 임원 개인별 보수를 공시하여 오고 있다. 이로 인해 주주들은 임원들에게 주어지는 보수가 경영성과와 대비하여 적정한지를 평가할 수 있게 된 반면에 공시의무가 있는 기업에서는 임원보수와 성과간의 연동에 대한 부담이 더욱 커지게 되었다. 따라서 임원개인별보수를 공시하는 기업의 경영자들은 비공시 기업에 비해 성과에 훨씬 더 민감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아 매출액 감소시 보수와 성과를 연동시키고자 유휴자원을 적극적으로 축소시킬 유인도 더 클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임원개인별보수를 공시하는 기업과 공시하지 않는 기업 간에 원가하방경직성이 차별적으로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코스닥 및 거래소 상장기업 자료를 이용하여 임원 개인별 보수 공시 이후 기간은 처음으로 임원 개인별 보수를 공시하기 시작한 2013년~2015년까지와 보수공시 대상 공개범위를 미등기 임원과 직원으로 확대하는 내용을 담은 개정안이 통과된 2016년~2018년까지로 구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결과, 임원개인별보수 공시기업의 원가하방경직성이 임원개인별보수 비공시 기업의 원가하방경직성보다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임원개인별보수 공시여부가 경영자의 비용의사결정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보수 공시자료를 이용한 투자자들의 의사결정에도 주요한 자료원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impact of disclosure system of executive compaensation on cost strategies. On May 28, 2013, the Capital Markets Act was amended, and publicly traded companies have publicly announced compensation since 2014.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impact of disclosure system of executive compaensation on cost strategies. When the “Law on Capital Market and Financial Investment Corporat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Capital Market Law”) was amended in 2013, the details of the manager’s pay exceeding 500 million Won would be made open to the public. As a result, shareholders can evaluate whether executive compensation is appropriate compared to management performance. On the other hand, in companies that are obligated to disclose compensation, the burden on the relation between executive compensation and performance increases. Therefore, executives of companies that disclose executive compensation are more likely to respond sensitively to performance than companies that do not disclose. And thus, when sales are reduced, companies that disclose executive compensation will have a great incentive to reduce idle resources in order to increase the link between compensation and performance. This study analyzed whether the cost stickiness is differentiated between companies that disclose individual executive compensation and those that do not. [Methodology] Using data from listed companies on the KOSDAQ and the KOSPI, The period after the disclose individual executive compensation was divided into 2013-2015 when the disclose individual executive compensation began to be disclosed for the first time, and 2016-2018 when the revision bill was passed, which included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disclose individual executive compensation to unregistered executives and employees. [Finding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cost stickiness of the companies that disclose individual executive compensation was lower than companies that do not disclose individual executive compensation. [Implications] This study analyzes how management strategies of companies, particularly the cost strategy of leading companies, respond to the disclosure system of executive compensation. This research will help investors make decisions.

      • KCI등재

        감사인지정제도와 지정사유별 기업의 전략적 회계선택

        우혜진 ( Wu Hye-jin ),박종국 ( Park Jong-kook ) 한국세무회계학회 2021 세무회계연구 Vol.- No.67

        [연구목적] 감사인지정제도는 감사인의 독립성 확보를 통해 회계투명성을 증가시키고 회계정보이용자를 보호하고자 1990년부터 시행된 제도이다. 그러나 외감법인 중 극히 일부만을 대상으로 최대 3년 이내로 시행되고 있는 감사인지정제도가 회계품질을 높이기 위한 사전적 규제장치로서 역할을 하고 있는지는 꾸준히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사인지정 사유가 뚜렷이 대비되는 상장예정을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기업과 감리지적의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표본을 대상으로, 감사인지정 중 기간의 회계품질이 감사인지정 종료 이후에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더 나아가 감사인지정 종료 후 자유수임으로 감사인 지정방법이 변경되는 첫 해에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지의 여부에 따른 회계품질의 변화도 살펴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2006년~2016년까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회계품질의 변화는 수정된 Jones모형(Dechow et al., 1995)을 사용하여 재량적 발생으로 추정하였다. [연구결과] 실증분석결과 첫째, 상장예정을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기업의 경우 감사인지정 종료 후 2번째 연도와 3번째 연도에서 재량발생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사인지정 기간의 지정 감사인은 공모 주식의 최초 발행가를 높이기 위해 이익을 상향 조정하고자 하는 경영자의 유인을 억제하지 못한 반면, 감사인 지정 종료 이후의 자유수임 감사인은 높아진 감사위험으로 인해 보다 보수적인 감사를 할 유인이 높아진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상장예정을 사유로 감사인 지정을 받은 표본을 대상으로 감사인지정 기간의 지정감사인을 감사인지정 종료 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지의 여부에 따른 회계품질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할 경우 감사인지정 마지막 연도와 지정 종료 이후 기간의 재량발생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지 않은 경우는 감사인지정 마지막 연도보다 감사인지정 종료 후 2번째와 3번째 연도에 재량발생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 것보다 새로운 자유수임 감사인의 독립성이 더 높은 결과로 해석될 수 있다. 셋째, 감리지적을 사유로 감사인지정을 받은 표본에서는 감사인 지정 마지막 연도와 지정 종료 이후 기간의 재량발생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리조치 기업 자체에 내재된 높은 감사위험으로 인해 회계품질을 계속 유지하려는 경영자와 감사인 간의 유인이 일치한 결과로 해석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감리지적 표본의 계속감사인 선임여부에 따른 회계품질의 변화에서는 지정감사인을 계속감사인으로 선임하는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감사인지정 마지막 연도와 지정 종료 이후 기간의 재량발생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실증분석결과를 종합해 볼 때, 감사인지정제도가 사전적 규제장치로서 기능하고 있는지의 여부는 감사인 지정사유별로 차별적으로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감사인지정제도에 관한 법제도나 제반환경에 대한 보완책을 감사인 지정사유별로 구체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최근 도입 예정인 주기적 감사인지정제도 역시 감사인지정 사유에 따라 경영자 및 감사인의 유인이 달라질 수 있음을 고려하여 정책이 입안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was implemented to ensure the professionalism of the auditors. After the existing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was considered to hurt each auditor’s independence, a new system was created in 1990 to increase accounting transparency and to protect accounting information users. However, only very few external auditing firms us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for a maximum of only three years. Therefore,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e system is truly useful as a preliminary regulation device that increases accounting quality. This research observed companies that received auditor designation as a result of becoming a listed corporation (IPO) compared to those that received auditor designation due to point out of Supervision. Using these samples, the research will compare how the accounting quality changed during and after auditor designation. Furthermore, whether or not the designated auditors will be brought back as consecutive auditors during the first year of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following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the change in accounting quality that follows. [Methodology]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companies listed on the KOSPI and KOSDAQ markets from 2006 to 2016. Accounting quality is determined by the discretionary accruals measured by the Jones Model (Dechow et al., 1995), and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ndings] First, for corporations that received a mandatory auditor due to IPO saw a decrease in discretionary accruals between 2nd and 3rd year after auditor designation ended. This is caused by the designated auditor not being able to stop the manager raising the issue price of stocks in a public offering to increase profits, and the auditor by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following the auditor from auditor designation carrying out a conservative audit due to the increased audit risks from the said action by the managers. Second, the difference in accounting quality of when the designated auditors are brought back as consecutive auditors during the first year of Free Audit Engagement System following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and cases where they were not were analysed.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amount of discretionary accruals remained unchanged after the auditor designation ended. On the contrary, the latter showed a higher discretionary accrual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year following end of auditor designation. This can be extrapolated to show that auditor by free audit engagement has a higher independence than existing designated auditors that are brought back as consecutive auditors. Third, cases in which auditor designation was received as a result of point out of Supervision was analysed. The discretionary accrual had no difference after the system ended. This is due to the agreement between the manager and auditors who are wishing to maintain the accounting quality due to increased audit risks. Lastly, discretionary accruals remained unchanged when designated auditors became consecutive auditors in point out of Supervision samples. [Implications] In conclusion, whether or not the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is a functioning regulation device depends on the reason of auditor designation. Therefore, legal changes of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or revisions to general environment must be specified per each reason of auditor designation. Moreover, periodic mandatory auditor designation, that is expected to be implemented in the near future, must be implemented with the understanding that consequences will differ depending on the reason for auditor design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