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장년의 경력역량이 적응수행에 미치는 영향: 경력만족의 매개효과

        우혜정,김우철,김봄이 한국성인교육학회 2022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5 No.2

        인구구조 변화에 따라 생산가능인구가 감소하면서 미래사회의 주요 노동력으로 중장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중장년은 자신의 퇴직 준비에 미흡할 뿐 아니라, 길어진 노동기간에 대한 미래 경력 준비 또한 부족한 편이다. 본 연구는 중장년의 경력개발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는 시점에서, 경력역량, 경력만족, 적응수행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구조방정식모델링 분석을 수행 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력역량은 경력만족, 적응수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력만족은 적응수행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경력역량과 적응수행 간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효과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장년의 경력개발을 도모하는 것이 조직과 개인 모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살펴본 초기 연구로서 의의를 가진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중장년의 경력개발 및 조직 및 국가의 지속가능한 성과 창출을 위한 실무적,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기계계열 학과 직업기초능력 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 요구 분석 - 충남 소재 기업 규모별 접근

        우혜정,배광민,윤관식 한국직업교육학회 2016 職業 敎育 硏究 Vol.3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ing training needs analysis to suggest educational curriculum for basic job skill in specialized high school, analysing level of basic job skill for workers who graduated from specialized high school, and deciding the training needs priority of the basic job skill in the field of mechanic.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conducted the literature review about NCS, basic job skill, and training needs analysis. To confirm industrial needs about basic job skill of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in Chungnam based on the theoretical examination, the survey has been distributed to supervisors and personnel managers of machinery business where graduates of specialized high school in Chungnam are working in, and 344 has been collected. The collected surveys were analysed using t-test, Borich’s Needs Analysis and The Locus for Focus Analysis. Through these analysis, after confirming the gaps of the recognized present basic job skill and importances, the order of priority of training needs about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basic job skill has been deducted.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 Large companies had shown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importance and present level for all 34 subordinate fields of basic job skill excluding fundamental calculation skill, fundamental statistical skill, graphical analysis skill.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had shown the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for all 34 subordinate fields of basic job skill. Second, 5 fields including document making skill, listening skill, language skill, career development skill, time management skill were appeared as the highest priority in common. According to company size, In large companies, 12 fields including document making skill, listening skill, language skill, thinking skill, problem solving skill, self development skill, career development skill, time management skill, material resource management skill, teamwork skill, computer application skill were confirmed as the highest priority, and basic foreign language skill, conflict management skill, information processing skill, technology understanding skill were indicated as secondary priority. In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9 fields including document making skill, listening skill, language skill, self development skill, time management skill, conflict management skill, technology application skill, task understanding skill, community ethic skill were appeared as the highest priority, and thinking skill has appeared as secondary priority.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의 직업기초능력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으로 기업분야 중 기계계열 영역의 기업체 근로자들을 중심으로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현재수준과 중요도를 파악하고, 교육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가직무능력표준(NCS), 직업기초능력, 요구분석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실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충남 소재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이 근무하고 있는 기계분야 산업체를 위주로 산업체의 관리자와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배포하였으며, 총 344부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설문지는 t-검정, Borich 요구도 분석,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산업체에서 인식하고 있는 특성화고등학교 졸업생의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수준을 확인하고 교육요구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에서는 직업기초능력 34개 하위영역 중 기초연산능력, 기초통계능력, 도표분석을 제외한 31개 영역에서, 중소기업에서는 모든 직업기초능력 34개 하위영역에서 중요도와 현재수준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둘째, 대기업과 중소기업에서 공통적으로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의 교육요구가 최우선순위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대기업에서는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사고력, 문제처리능력, 자기개발능력, 경력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물적자원관리능력, 팀웍능력, 컴퓨터활용능력, 근로윤리 등 12개 항목이 최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중소기업에서는 문서작성능력, 경청능력, 언어구사력, 자기개발능력, 시간관리능력, 갈등관리능력 기술적용능력, 업무이해능력, 공동체윤리 등 9개 항목이 최우선순위로 도출되었다.

      • KCI등재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한 성인 근로자의 경력역량 유형 분류 및 유형별 특성 분석

        우혜정,정혜경 한국성인교육학회 202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24 No.1

        The paradigm of career development changes emphasizing the self-directed role of individuals. Related to this, special attention has been paid to career competencies as an important factor to lead a desired working environment or career path.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otentially homogeneous subgroups of adult workers based on the individual's career competencies. With survey data from 624 adult workers, we conducted a latent profile analysis,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for the identified latent groups based on demographic information and performance variables. Four latent group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values of career competencies of adult workers, which were named ‘high level', ‘upper intermediate level', ‘intermediate level' and ‘low level',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s in demographic variables between the latent groups appeared insubstantial except gender factor, whereas the higher groups in career competency tend to have higher average scores in employee engagement, career satisfaction, and adaptive performanc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career development and workplace learning were provided. 경력개발의 패러다임은 개인의 자기주도적 역할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자신이 원하는 근로 환경 또는 경력을 달성할 수 있는 경력개발을 위해 요구되는 역량으로 경력역량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의 경력역량에 근거하여 성인근로자의 잠재유형을 파악하고, 경력역량 잠재유형별 인구통계학적 변인, 성과변인(직원몰입, 경력만족, 적응수행) 특성을 기술통계적으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국내 성인 근로자 624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을 실시하였으며, 잠재집단 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 성과변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인 근로자의 경력역량 잠재집단 유형은 수준에 따라 ‘경력역량 고수준’, ‘경력역량 중상수준’, ‘경력역량 중수준’, ‘경력역량 하수준’과 같이 4개 집단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경력역량 집단유형별 인구통계학적 특성은 성별을 제외하고 두드러지는 특징이 드러나지는 않았다. 셋째, 경력역량 수준이 높은 집단일수록 직원몰입, 경력만족, 적응수행 수준이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도출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경력개발 및 일터학습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대졸 청년의 취업 전 직업가치 중요도와 취업 후 직업가치 만족도가 직장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혜정,김지영,윤관식,김우철 한국취업진로학회 2018 취업진로연구 Vol.8 No.1

        Recently interests about factors which influence job satisfaction have been increasing in organizations. Among various factors, job values are regarded as one of main precursors which strongly influence job satisfaction. However,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research that which components of job values affect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ime. Recognizing this lack,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job values affect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tim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mploy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method with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data from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The results indicate that individual’s interest, working environment, social reputation, amount of work, fringe benefit, relation with individual’s major, employment stability, level of job task and size of company affect job satisfaction at the time of looking for a job. On the other hand, individual’s interest, wage, working hours, working environment, individual’s development possibility, autonomy and degree of control, promotion policy and employment stability affect job satisfaction after getting a job. Implications of this study at the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national levels are discussed.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침체되었던 고용시장의 점진적인 개선의 이면에는 청년층의 실업률 증가, NEET족 증가, 취업준비기간 증가 등 다양한 질적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 특히 대학진학률이 70%에 육박하는 우리나라에서 대졸 청년의 짧아진 근속기간은 개인, 기업, 사회적 손실과 연결되는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대졸 청년들이 회사를 그만두는 주요 원인으로 직장에 대한 불만족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직장만족도를 제고시키는 예측 변인 중 직업가치에 주목하여 취업 전 직업가치 중요도와 취업 후 직업가치 만족도가 개별적으로 직장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대졸자 직업이동경로조사(GOMS) 2013년도 패널 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취업 전 직업가치 중요도의 세부 요인은 자신의 적성·흥미, 근무환경, 일자리에 대한 사회적 평판, 업무량, 복리후생, 전공분야와의 관련성, 직장(고용) 안정성, 업무내용의 난이도, 회사규모 등의 순으로 직장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20.4%의 설명력과 medium to large effect size의 실질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 후 직업가치 만족도의 세부 요인은 자신의 적성·흥미의 일치, 임금 또는 소득, 일하는 시간(근로시간, 근무일수), 근무환경(시설, 안전, 위생상태 등), 개인의 발전가능성, 하고 있는 일의 자율성과 권한, 인사체계(승진제도), 고용의 안정성 등의 순으로 직장만족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며, 53.5%의 설명력과 large effect size 이상의 실질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개인 및 교육기관의 진로 및 취업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 나아가 조직 및 국가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조직 구성원의 무형식학습 참여를 통한 직무능력향상, 직무만족, 조직몰입 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연구

        우혜정,박민주,윤관식,김우철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7 직업능력개발연구 Vol.20 No.2

        Job competency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core factors to increase organizational performances. Also, organizations have been paying their attention to informal learning to improve employees’ job competency. Extant studies show that non-financial performance leads to financial performance and tha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considered as pivotal variables related to non-financial performance.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relationships between job competency improvement by informal learning (JC) and job satisfaction (J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JC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OC. Secondly, the relationship between JC and J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JS and OC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Lastly, J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JC and OC. Implications and recommendations were discussed. 조직 구성원의 직무능력은 조직의 재무적․비재무적 성과를 제고하는 핵심요인으로 인식되어 왔다. 최근 지식의 수명 주기가 짧아짐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무형식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비재무적 성과가 재무적 성과의 선행요인임이 검증되었으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은 대표적인 조직의 비재무적 성과 중 하나로 여겨진다. 이에, 무형식 학습을 통해 나타난 직무능력향상이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어떠한 구조관계를 가지는지를 검증하고자 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HCCP) 6차 근로자용 설문자료를 바탕으로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의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무형식학습 참여를 통한 직무능력향상과 조직몰입 간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다. 둘째, 무형식학습 참여를 통한 직무능력향상과 직무만족 간의 정적 상관관계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간의 정적 상관관계는 유의하다. 셋째, 직무만족은 무형식학습 참여를 통한 직무능력향상과 조직몰입간의 관계에서 완전매개역할을 한다. 위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실천적 HR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CIPP 모형 기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양성과정) 진단 및 개선 방안 연구

        배광민,우혜정,최명란,윤관식 한국직업교육학회 2017 職業 敎育 硏究 Vol.36 No.2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must complete the training course for the training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instructor and get the qualification of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from the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with the criteria set by the Presidential Decre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H_university 's educational performance, which is the only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in Korea and that plays a role of mass production in the labor market, has a great influence on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of actual condition of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education based on CIPP model, Furthermore, it was aimed to suggest improvement plan of qualification training educa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raining course for the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 training students was grasped. And We conducted a survey to draw out the improvement plan and utilized the results of 173 copies. We conducted interviews by selecting eight subjects for in-depth analysis and Understand the details of the results of the surveys conducted. As a result of the study, positive responses were obtained from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educational resources in the context factors. On the other hand, there were negative opinions about the curriculum reflecting the learner and social needs. In the input factors, positive opinions were derived from the educational objectives and training requirements. However, there were many negative opinions about the achievement of the learner's educational goals. In addition, there were many negative opinions of online contents education. In the process factors, positive evaluation was high in class related part, learner attendance management, and institutional support. However, negative opinions were drawn o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of qualification training period, and the learner's burden due to lack of learning period appeared to be the main reason. In the factor of calculation, Positive opinions were derived from the applicability of the business curriculum for training courses for training teachers who are in charge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industry occupations. However, there were negative opinions such as learning time, concentration of learning, and communication of instruct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operation of vocational competency training teacher qualification training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flexibly manage the training schedule for the weekly training course for vocational competency development training teach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seek to improve the online education curriculum centered on consumers. Third, it is necessary to seek access to qualification training for local residents. Fourth, pre - education support for qualified applicants is required. Finally, follow-up care of qualified trainees is necessary.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는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양성을 위한 훈련과정을 수료하는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을 갖추어 고용노동부 장관으로부터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이에 국내 유일의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를 담당하고, 노동시장에 양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H대학교의 교육성과는 직업능력개발훈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IPP모형에 기초하여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교육운영의 실태 분석을 통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자격연수 교육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양성교육 이수자를 대상으로 교직훈련과정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73부의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설문결과에 대한 세부현황 파악과 심층 분석을 위해 8인의 교육 대상자를 선정하여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상황요인에서 교육과정의 목표, 교육자원 등에서 긍정적인 답변이 도출되었다. 반면 학습자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한 교육과정에 대한 부정적 의견이 있었다. 투입요인에서는 교육목표와 훈련요구 항목에서 긍정의견이 도출되었으나 학습자들의 교육목표 성취여부는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또한 온라인콘텐츠 교육의 부정적 의견이 많았다. 과정요인에서는 수업관련 부분, 학습자 출결관리, 기관지원 등에서 긍정평가가 높았으나, 자격연수 종합평가에 대해 부정의견이 도출되었으며 학습기간 부족에 따른 학습자 부담이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산출요인에서는 교육과정의 현업적용가능성에서 산업직종별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훈련교사들에게 교육학 및 직업훈련 운영과 관련된 학습이 편성된 자격연수에 긍정적인 의견이 도출되었다. 그러나 학습 성취도에서 교육수준 대비 학습시간과 학습 집중도 문제, 교수자의 커뮤니케이션 등 부정적 의견도 있었다. 연구결과를 기초로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교육운영의 개선 방안을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능력개발훈련교사 자격연수 평일과정 연수일정의 탄력적 운영이 요구된다. 둘째, 수요자 중심의 온라인 교육과정 개선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방거주 교육이수자들의 자격연수 접근성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넷째, 자격연수 합격자들에 대한 사전 교육지원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자격연수 수료자에 대한 사후 관리가 필요하다.

      • KCI등재

        대학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및 타당화 연구: K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언,우혜정,김지영,김우철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8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6 No.4

        This study aimed to improve and validate the tool of lecture evalu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eds for improvement regarding lecture evaluation throug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result during the last two years. The study also conducted a perception survey to 61 faculty members on the lecture evaluation. The items of the lecture evaluation tool were revis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focus group interview results, which were validat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lecture evaluation tool has validity, but faculty members concluded that it should be improved. Second, items of the lecture evaluation tool were revis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after being modified by the instructional design theory. Third, the revised lecture evaluation tool was tested and validated with the normality test,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is study offers practical implication to the university. 본 연구는 강의평가 도구 개선에 대한 실증적 연구 필요성에 따라 K대학의 강의평가 도구 개선 및 타당화에 관한 연구이다. 강의평가 개선 필요성을 도출하기 위해 기존 2년간 데이터를 바탕으로 K대학의 강의평가 문항 타당화 분석 및 강의평가에 대한 교내 구성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고, 이론적 검토를 바탕으로 개선된 강의평가 문항에 대해 교내 보직자 FGI 및 전문가의 자문을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강의평가 도구를 개선하였다. 개선된 강의평가 도구는 실제 K대학 전 과목에 대해 강의평가를 실시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타당성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대학의 기존 강의평가 도구는 타당성 분석 결과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내 구성원 인식 조사 결과 및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수설계 이론을 바탕으로 기존 강의평가 문항의 일부 영역을 조정하여 도구를 개선하였으며, 교내 FGI 및 전문가 자문을 통해 최종적으로 강의평가 도구를 개선하였다. 셋째, 최종 개선된 강의평가 도구가 타당한지 검토하고자 데이터의 정규성 검정, 신뢰도 검정,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타당성은 양호하게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강의평가를 개선하고자 하는 대학에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개선 사례를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