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중고령층의 성별ㆍ교육수준별 건강기대여명 차이

        우해봉(Haebong Woo) 한국사회학회 2009 韓國社會學 Vol.43 No.1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이 수집하고 있는 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중고령층의 성별 그리고 교육수준별 건강기대여명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성별 총기대여명에서의 차이는 유의미하지만 이러한 성별 격차는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나 분석 결과는 또한, 비록 여성이 총기대여명에서 우위를 보이지만, 이러한 연장된 생존 기간은 건강하지 못한 상태일 개연성이 높음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 고졸 미만은 고졸 이상에 비해 총기대여명과 건강기대여명이 짧은 동시에 불건강기대여명이 긴 모습을 보임으로써 생존 기간 동안 건강하지 못한 상태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 결과는 또한 교육의 영향이 총기대여명보다는 건강기대여명에서 더욱 뚜렷하게 관측되는 경향이 있으며, 결과적으로 총기대여명에 비해 건강기대여명이 사회계층별 건강 불평등 현상을 보다 적절히 반영할 수 있는 지표임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는 교육수준별 총기대여명에서의 차이는 남성의 경우 더욱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건강기대여명의 경우 교육수준별 차이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뚜렷하게 관측되는 현상임을 보여 주고 있다.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Study, this study examines healthy life expectancy by gender and education for middle-aged and older Koreans. First, the data indicate that Korean men have higher total life expectancy but that the gender gap decreases with age. However, while women live longer lives than men, they are more likely to live more years in an unhealthy state. Second, persons with a less than high school education have shorter total and healthy life expectancies than those with a high school education or more but they are also more likely to live more years in the unhealthy state. This study also shows that education has a greater impact on healthy life expectancy than total life expectancy, indicating that healthy life expectancy is a better measure of health inequalities. Finally, the difference in total life expectancy by education is greater among men but the effect of education on healthy life expectancy is substantial for both men and women.

      • KCI등재

        부부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혼인 해체

        우해봉 ( Woo Haebong ),장인수 ( Chang Insu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3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KLIP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sbands` and wives` socioeconomic resources and marital dissolution. Compared to prior researc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s of husbands` and wives` individual and couple characteristics using longitudinal couple data compiled from the KLIPS. Overall, despite the wide range of socioeconomic variables investigated, such as education, earnings, work status, ratio of wives` earnings relative to total couple earnings, dual-earner status, only limited variables a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marital dissolution. First, consistent with prior research, this study finds that husbands` educa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rital dissolution. Second, with respect to wives` socioeconomic resources, this study finds that the effect of wives` education is contingent upon marital cohorts and marital duration. The data indicate that the positive impact of wives` education becomes weaker across marriage cohorts and marital duration.

      • KCI등재

        한국의 혼인과 출산 생애과정

        우해봉(Haebong Woo) 한국인구학회 2012 한국인구학 Vol.35 No.1

        본 연구는 Hernes 모형을 활용하여 출생코호트의 관점에서 최근까지 한국 사회가 경험한 혼인 및 출산 생애과정에서의 전반적인 변화 양상과 교육수준별 차이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는, 첫째,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생애 혼인율이 매우 높은 수준이지만 상대적으로 가장 최근 출생코호트(1965~74) 남성의 경우 혼인율 감소폭이 다소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 주었다. 둘째, 출생코호트를 가로질러 관측된 생애 혼인율 감소는 추가적으로 교육수준별로 분화되는 모습을 보여 주었는데, 남성의 경우 저학력자 그리고 여성의 경우 고학력자의 생애 비혼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출생코호트를 가로지른 출산 경험과 관련하여 첫째 및 둘째 출산에서는 출생코호트별 격차가 작은 반면 셋째 출산에서의 격차가 크게 나타남으로써 출생코호트를 가로질러 나타난 출산력에서의 양적 변화는 대체로 셋째 이상의 고순위 출산과 밀접히 연관됨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출산에서의 교육수준별 격차와 관련하여 출산순위가 높아질수록 교육과 출산 사이에 보다 뚜렷한 역관계가 관측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혼인 및 출산이 교육수준과 연계되는 방식이 다소 상이함을 보여 주었다. 남성과 여성 모두 최근의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교육수준별 생애 혼인율에서의 격차가 커지는 경향을 보여 주지만 고순위 출산에서 관측되는 교육수준별 패턴은 최근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교육수준별 격차가 오히려 감소하는 상반된 패턴을 보여 주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birth cohort and educational differences in the marital and fertility life course using the Hernes model. First, lifetime marriage rates remain high across birth cohorts but men in the youngest birth cohort(1965-74) experience a somewhat significant reduction in ever-marriage rates. Second, this study also finds educational differences in lifetime marriage rates across birth cohorts. The likelihood of being never married is particularly high for poorly educated men in the youngest birth cohort but women show the opposite pattern. Third, quantum changes in the fertility transition are more likely to be the changes in higher-order births, while the changes in first and second births are mainly tempo changes. Fourth, the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 and fertility is significantly larger for higher-order births. Finally, marriage and fertility show the opposite pattern in their association with education. Overall, educational differences in lifetime marriage rates become stronger across birth cohorts but the association between education and higher-order births shows the opposite pattern.

      • KCI등재

        확률적 인구추계

        우해봉(Haebong Woo) 한국인구학회 2010 한국인구학 Vol.33 No.1

        인구추계 분야에서 경험한 최근의 발전 상황은 불확실성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이에 대한 적절한 방법론적 대처가 핵심적인 이슈 중의 하나임을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1980년대 이후 점차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는 확률적 인구추계의 주요 내용과 방법들을 소개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첫째, 인구변동 요인들의 미래 추세 예측에 수반된 불확실성의 특성 그리고 이러한 불확실성의 처리 방법으로 전통적인 시나리오 접근과 상대적으로 최근에 주목을 받기 시작한 확률적 접근을 개관하였다. 시나리오 접근의 한계와 관련해서는 확률적 해석의 불가능, 시나리오의 경직성, 예측구간의 비일관성의 문제를 검토하였다. 둘째, 확률적 인구추계의 특성들을 살펴봄과 함께 인구변동 요인들에 대한 확률적 예측을 위해 현재까지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는 전문가 판단법, 통계적 모형에 기초한 방법, 그리고 과거의 예측 오차를 활용한 방법의 주요 내용과 장단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논의를 기초로 인구추계에 있어서 확률적 접근이 해결해야 할 과제와 향후 발전 방향 그리고 인구추계 분야에서 이루어진 최근의 발전 상황들이 갖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Dealing with uncertainty has been a critical issue in demographic and population forecasting since 1980. This study reviews methodological developments in demographic and population forecasting over the last several decades. First, this study reviews the important issue of the uncertainty surrounding demographic forecasts. Several limitations of the traditional scenario approach to dealing with uncertainty are also discussed. Second, in forecasting demographic processes such as mortality, fertility, and migration, three approaches of stochastic forecasting are identified and discussed: expert judgment, statistical modeling, and analysis of historical forecast errors.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current issues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in stochastic demographic forecasting.

      • KCI등재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영향 : 결혼 연기 혹은 독신?

        우해봉(Haebong Woo) 한국인구학회 2009 한국인구학 Vol.32 No.1

        본 연구는 한국노동연구원이 수집하고 있는 노동패널 자료를 사용하여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고등교육의 획득이 단순한 결혼의 연기로 이어지는지 아니면 결혼의 연기뿐만 아니라 생애 동안 결혼을 하지 않을 개연성 또한 증가시키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는 남녀 모두 최근의 출생 코호트로 올수록 결혼을 연기할 뿐만 아니라 결혼을 하지 않는 개인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러한 출생 코호트별 격차는 모든 교육수준에서 공통적으로 관측되는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분석 결과는 또한 교육의 효과가 출생 코호트별로 상이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는데, 1970년 이전에 출생한 코호트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개인들은 초기에는 결혼을 하는 비율이 낮지만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상대적으로 빠른 속도로 결혼을 함으로써 교육으로 인해 연기된 결혼을 사후적으로 따라잡기 하는 현상이 남녀 모두에서 관측되었다. 그러나 1970년 이후에 출생한 코호트의 경우 교육수준이 높은 개인들의 따라잡기 현상은 남성의 경우에 뚜렷하게 관측되는 현상으로 나타나지만, 여성의 경우 고학력 여성들이 결혼을 하지 않고 미혼으로 남아 있는 비중은 저학력 여성들에 비해 지속적으로 높게 나타나는 상이한 패턴을 보였다. 기존연구들이 지적하는 바와 같이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최근으로 올수록 남성들의 경우 저학력 남성들이 배우자를 찾을 기회가 상대적으로 취약해지고 있음을 반영하고 있으며, 여성들의 경우 고학력 여성들을 중심으로 결혼을 연기할 뿐만 아니라 생애 동안 결혼을 하지 않을 개연성 또한 점차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본 연구의 분석 결과는 성분리 규범이 강하게 작용하는 사회의 경우 교육이 초혼 형성에 미치는 효과가 성별로 상이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ducational attainment on first marriage formation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whether higher education is associated primarily with delayed marriage or with a higher likelihood of never marrying. The results show that the trend toward later and less marriage is occurring at all levels of educational attainment in Korea. The data also indicated that educational attainment showed differential effects on the risk of first marriage formation for Korean men and women. For those born before 1970, both highly educated men and women delayed marriage but caught up by marrying at higher rates at later ages. However, for those born after 1970, highly educated women were increasingly more likely to show the trend toward later and less marriage, while highly educated men were more likely to delay marriage but caught up by marrying at higher rates at later ages. Overall the evidence in this study is consistent with the argument that gender divisions make it difficult for women to balance work and family in Korea.

      • KCI등재

        노령연금 수급자의 소득계층별 사망력 차이에 관한 연구

        우해봉 ( Woo Haebong ),한정림 ( Han Jeongli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사회보장연구 Vol.33 No.1

        Using the old-age pension recipient database of the Korean national pension, this study analyzes mortality differentials by income level. Consistent with previous research in the field of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mortality, this study also finds significant mortality differences by income level among the old-age pension recipients. However, in addition to income level, the data indicate that the type of pension benefits also plays a crucial role in mortality. In particular, the data show that early retirement pension recipients are at risk of higher mortality compared to other old-age pension recipients. Given the existence of differential mortality by income level and benefit type, policy implications for pension scheme design are discussed in terms of progressivity and pension eligibility age.

      • KCI등재

        한국인의 재혼 패턴에서의 성별 차이에 관한 연구

        우해봉 ( Woo Haeb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保健社會硏究 Vol.32 No.4

        Using the Korean Labor and Income Panel Study(KLIPS), this study analyzes gender differences in remarriage formation after first marriage dissolution. First, overall, the data indicate that males are more likely than females to remarry after marital dissolution. However, the gender gap in remarriage hazards first increases and then decreases with time after first marriage dissolution. Second, higher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a higher likelihood of remarriage and the effect of educational attainment on remarriage remains consistent across both sexes. Third, more recent birth cohorts are less likely than earlier birth cohorts to remarry among males but females show the opposite pattern. In particular, contrary to earlier female birth cohorts, females born after 1960 are more likely to remarry than their male counterpart. Fourth, age at first marriage dissolu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marriage. In particular, marital dissolution after age 50 significantly reduces the likelihood of remarriage. Fifth, with regard to the effect of types of marriage dissolution, widowhood significantly reduces the probability of remarriage among females, while for males, divorce has a greater impact on remarriage. Lastly, first marriage duration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ikelihood of remarriage for males but females show the opposite pattern.

      • KCI등재

        소득계층별 다층노후소득보장 전망과 정책적 시사점

        우해봉 ( Woo Haebong ),한정림 ( Han Jeonglim ) 한국사회보장학회 2017 사회보장연구 Vol.33 No.4

        This study investigates future prospects and policy implications of multi-pillar old-age income security, including public, occupational, and personal pension schemes in the Republic of Korea. Using the Korean National Pension administrative data, in particular,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the public-private pension mix by income level. Despite relatively optimistic scenarios with regard to occupational and personal pension plan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roles of private pension schemes will remain limited for quite a long period. More specifically, the results indicate that occupational and personal pensions are more likely to play a crucial role in providing retirement income security for middle- or upper-income groups, while persons in lower income groups are projected to have difficulty even providing retirement income from the public pension, not to mention the private pens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future directions of the public and private pension mix in the Republic of Korea.

      • KCI등재

        소득과 기대여명

        우해봉 ( Woo Haeb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2

        Using multi-state life table models, this study analyzes the association between income and life expectancy in Korea. Compared to previous research efforts, which mainly focused on total life expectancy, this study simultaneously examines total, active, and inactive life expectancies to capture the quality of life as well as the length of life. This study also employs several measures of income, such as current individual/household income and individual lifetime income, to take a closer look at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otal, active, and inactive life expectancies by income level. This study finds that on average individuals in the top half of the income distribution tend to have a longer total life expectancy than those in the bottom half. Further, individuals in the top half are also expected to live a larger share of their lives in an active state. However, this study also finds some inconsistencies in life expectancy estimates (in particular, total life expectancy) across income measures, indicating that some caution should be paid in measuring social class in terms of income.

      • KCI등재

        지니계수를 활용한 생존기간 불평등의 변화 양상 분석

        우해봉 ( Woo Haebo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4

        Using the mortality database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WHO), this study analyzes the patterns and evolution of life expectancy and inter-individual life span inequality in South Korea for the period 1990-2011. This study also investigates life expectancy and inter-individual lifetime disparity patterns across OECD countries. The data indicate that South Korea showed a remarkable increase in life expectancy while life span inequality, measured by Gini coefficients, dropped significantly over the past 20 years. This study also observes a similar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life expectancy and life disparity among other OECD countries. In terms of relative performance in life expectancy and length of life inequality, South Korea outperformed most OECD countries over the past 20 years (especially, female). However, a further decline in life span inequality may slow down in the future since age patterns of mortality in South Korea follow those of low-mortality countries such as Jap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