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계 변위 전후 기간 동안 남한 12월 기온 변동에 대한 원격상관 패턴의 영향 변화

        김예진,우찬미,진선민,김정훈,상정,이영석,김맹기 건국대학교 기후연구소 2021 기후연구 Vol.16 No.2

        This study analyzed how the impacts of major teleconnection patterns on December mean temperature in Korea have been changed during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regime shift of 1986 for the last 61 years from 1958 to 2018. During the period before the regime shift, the teleconnection patterns originating from the North Atlantic mainly affected the temperature variability in Korea, but its influence almost disappeared after the regime shift. On the other hand, the Arctic Oscillation (AO) and warm Arctic and cold Eurasia (WACE) patterns played a more important role in the temperature variability in Korea after the regime shift.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AO could explain about 12% of the total temperature variability before the regime shift, but about 22% after the regime shift. WACE pattern also explained about 4% before the regime shift, but after the regime shift, the importance increased by about 4.5 times to 18%. On the other hand, East Atlantic pattern (EA) and North Atlantic Oscillation (NAO), which are east-west teleconnection patterns, explained 27% and 11%, respectively, before the regime shift, but had little influence within 3% after the regime shift. This means that the influence of east-west teleconnection patterns disappeared after the regime shift, and teleconnection patterns by the Arctic Circle became more important.

      • 체계 변위 전후 기간 동안 남한 12월 기온 변동에 대한 원격상관 패턴의 영향 변화

        이영석,김예진,우찬미,진선민,김정훈,상정,김맹기 한국기상학회 2021 한국기상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기후 체계 변위(Climate Regime Shift, 이하 RS)란 기후 평균값의 눈에 띄는 갑작스러운 변화를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1986년에 발생한 RS를 기준으로 이전 기간(1958 1985)과 이후 기간(1986 2018) 동안에 기온 변동을 유발하는 원격상관 패턴이 변화하였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RS 전후 기간 동안에 가장 추웠던 두 해 (1967년과 2005년)를 선정한 후, 두 해의 원격상관 패턴이 서로 다른지를 먼저 확인하고, 이러한 특성이 RS 전후의 기간 전체에도 유사하게 작동하는지를 분석하였다. RS 이전에 가장 추웠던 1967년은 북대서양에서 기원하는 원격상관 패턴인 EA(East Atlantic)와 NAO(North Atlantic Oscillation)와 밀접하게 연관된 반면, RS 이후에 가장 추웠던 2005년은 AO(Arctic Oscillation), WACE(Warm Arctic Cold Eurasia), 그리고 ENSO(El Niño-Southern Oscillation)가 주요 원인으로 나타났다. 두 해의 특성이 RS 전후의 전체 기간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나는지를 확인한 결과 유의미하게 유사한 특성을 보였다. 특히, AO는 RS 이전 기간 동안에는 12월 기온 변동의 약 12%를 설명하였으나 이후에는 22%로 증가하였으며, WACE는 4%에서 18%로 대폭 증가하였다. 반면, EA는 27%에서 3%로 크게 감소하였고, NAO는 11%에서 0%로 감소하였으며, ENSO는 12%에서 8%로 다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RS를 기점으로 남한 12월 기온 변동에 영향을 주는 원격상관이 풍상측에 있는 북대서양에서 기원한 동서 원격상관의 영향 보다는 북극으로부터 기원하는 북극 원격상관이 점차 더 중요해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향후 북극권-중위도 상호작용에 대한 기후모델의 모의 능력을 더 향상시키는 노력과 관련된 관측 등에 대한 더 많은 관심이 중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