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미지 형성 장치에서의 이산 제어 안정성

        우상범(Sangbum Woo),김성대(Sung-Dae Kim),김종태(Jongtae Kim),박영재(Young-Jae Park) 대한기계학회 2014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4 No.11

        In general, a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such as a laser printer, a digital copier, and the like, printed images are composed of multiple colors. If images of different colors overlap at misaligned positions, the resultant images will come to have blurred edges. In order to prevent deterioration of print quality, accurately aligning images of different colors to overlap them at exact positions is needed. In this paper, the stability of the image forming system controlled by averaging the registration errors is shown and the control law is proposed that guarantees the system stability.

      • KCI등재
      • KCI등재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의 평가체계 문제점 및 개선방안

        우상범(Sang Beom Woo),이상호(Sang Ho Lee)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4 産業關係硏究 Vol.24 No.4

        정부의 주요 고용정책 중 하나인 지역맞춤형 일자리 창출지원 사업은 지난 몇 년간의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지역주체의 역량개발과 다른 정부지원 사업과의 중복성 등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본 사업의 평가체계 역시 이러한 문제점을 심화시키는 주요한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되어왔지만, 이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는 거의 이루지지 못했다. 이런 배경 하에서 본 연구는 2013년 지역맞춤형 일자리창출 지원사업의 평가 자료에 대한 실증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사업의 평가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행 평가체계 문제점은 첫째, 평가지표 구성 및 영향력 측면에서 정량 평가 지표의 비중이 약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사업성과 관련 지표가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량평가 지표에 대해 구체적인 점수 부여 기준이 마련되어 있으나, 사업유형 및 평가자 개인의 성향에 따라 실제로 부여된 점수는 큰 편차를 보였다. 셋째, 시도 내 사업보다 시도 간 사업, 신규 사업보다 계속사업이 목표대비 달성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분석결과를 토대로 목표 지향적 평가체계 재구성, 평가지표의 객관성과 공정성 향상, 사업유형에 맞는 평가항목 개발 및 평가 차등화, 목표치 가이드라인 제시, 평가지표 간 배점 체계화 등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Regional customized job creating project, one of primary employment policy of government increased as a quantitative during about 10 years and appears problems of competency deficiency of regional agents and doubleness of project. The cause comes from evaluation system. Many papers, however, didn"t show objective and main cause about problems of evaluation system and index of evaluation. This paper shows problems and improvement of evaluation system of regional customized job creating project through empirical analysis of outcome, 2013. Result of analysis, we find several points; first, 50%-over influence of quantitative index, second, large deviation according to personal propensity of an appraiser, third, better achievement of inter-regional and continuing project than intra-regional and new one in terms of goal achievement ratio. Based on the result, this article suggests restructure of evaluation system, improvement of objectivity and fairness of index of evaluation, development of evaluation items according to type of project(industry-employment, welfare-employment) and evaluation differential, guideline of desired value, and differential weight between index of evaluation

      • KCI등재

        숙련 근로자의 임금격차 요인 연구

        우상범(Sang Beom Woo)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5 産業關係硏究 Vol.25 No.4

        임금은 근로자 소득의 주요 원천이자 삶의 영위 수단이기 때문에 재직자뿐만 아니라 신규자에게도 주요 관심 대상이다. 그러나 임금격차로 인한 소득불평등은 노사뿐만 아니라 노노 간 갈등의 원인이 되고 이를 해결하는 데 막대한 사회적 비용이 든다. 본 연구는 플랜트 건설업의 용접직종과 전기직종에 종사하는 숙련 근로자들의 임금격차 요인들을 살펴보고, 이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용접공과 전기공의 임금격차 발생 원인은 인적 요인보다는 비인적 요인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인적 요인은 설계도면 이해와 해독 역량, 비인적 요인은 직무특성과 작업환경 등 다양한 요인들이 임금격차에 영향을 미쳤다. 비인적 요인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다기능 보유, 둘째, 숙련관리 체계, 셋째, 작업환경의 위험 정도, 넷째, 기업규모에 따른 지불수준, 다섯째, 노동자 수급 불일치, 여섯째, 대체인력 존재, 일곱째, 시장형성임금, 마지막으로 교섭력 등이 임금격차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두 직종 간 임금격차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건설현장 내 sector council을 통한 기능등급제 시행, 둘째, 전자카드제를 통한 취업이력제 시행, 셋째, 노사공동훈련제도 활성화, 넷째, 현실을 반영한 시중 노임단가 산정, 마지막으로 정부의 관리·감독 강화를 제시하였다. Wage is main issue both workers and new workers because it is their means of living. Income inequality by wage differential is reason of conflict of trade union-employer and worker-worker and generates social cost to solve the conflict. This paper finds wage differential factors of skill workers based on the case of welders and electricians and suggests the alternative ways to reduce the wage gap between welders and electrians. Resultingly, the reason of wage differential of two occupations is more non-human factors than human factors. Human factor is interpretation of architectural designs and understanding ability for them. Non-human factors are various; first possession of multi-skills, second difference of skill system, third riskiness of working environment, fourth pay ability by size of corporate, fifth supply-demand of workers, sixth substitute worker, seventh wage of market, last bargaining power. Alternatives to reduce wage differential are as follows; first rating system of skill by sector council in construction site, second career record system by electromagnetic card, third activation of labor-management cooperation job training, fourth practical unit price sheet for labor-cost, last supervision of management by government.

      • KCI등재

        노사의 전략적 선택과 집단재 형성이 노사관계에 미치는 영향

        우상범(Sang Beom Woo)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8 産業關係硏究 Vol.28 No.1

        전 세계적으로 노조조직률이 하락하고 있고 노조는 다양한 방식의 조직화 전략을 수행하고 있지만 성과는 아직 미흡한 수준이다. 특히 국내 비정규직 노조조직화는 3% 미만으로 매우 낮다. 이제 노동자 혹은 노조는 사용자와 대립하기 보다 상황에 따라 노사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전략적으로 협력하여 공동으로 성과를 달성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노사관계의 전략적 협력모델로서 노사 공동의 집단재 형성에 주목한다. 즉 노사가 전략적 선택을 통해 집단재를 형성하면 노사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노조 생존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서울 중구 인쇄업과 광양 플랜트건설 사례를 비교하여 보이려고 한다. 분석 결과 두 업종은 비슷한 환경에 처해 있다. 원하청구조 속에서 상호의존성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처는 서로 달랐다. 먼저 인쇄 노사는 원하청구조를 극복하기 위한 상호의존성 인식이 낮았고 이를 기반으로 전략적으로 정책을 추진하지 않았으며 노사가 개별적으로 집단재를 형성함에 따라 지속성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반면 광양 플랜트건설 노사는 강력한 상호의존성을 기반으로 노사가 발주처 및 원청에 대응하고 자신들의 이해 제고를 위해 정책을 협력적으로 결정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단체교섭, 숙련체계 형성, 산업안전등에서 공동의 집단재를 지속적으로 형성했다. 두 노사의 차이는 노사관계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현재 인쇄업 노조는 존폐 위기에 있다. 본 논문은 이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했고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했다. Korea’s union density is very low and continues to decrease. Therefore, trade union accomplished various of polices and strategy, but outcome is very insufficient. Especially, union density of non-regular workers is less than 3%. Finally, worker or trade union should consider strategic collaboration to increase interest between trade union and employer instead of conflict each other. This research pays attention to jointly collective goods formation of union-management as strategic collaborative model of Industrial Relations. In other words, This paper find that trade union and employer do strategic choice and make collective goods through comparative case of printing industry and plant construction industry. Moreover this article shows that joint collective goods influences industrial relations and survival of trade union. As result research, two industries exist strong inter-dependence for supply chain of contract-subcontract but main agents of these industries selected other approaches. First of all, union-employer of printing industry in Jung-gu, Seoul did not recognize inter-dependence to overcome the supply chain structure and strategic choice but developed collective good individually. On the other hand, agents of plant industry in Gwang-yang developed strategic choice based on strong inter-dependence to get over supply chain of contract-subcontract and they made joint collective goods such as collective bargaining, skills formation and industrial safety. These difference of two industries influenced stabilization of industrial relations and survival of trade union. For example, printing trade union faces survival risk.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e study are suggested an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플랜트 건설업의 조정된 교섭에 관한 연구

        우상범(Sang Beom Woo),임상훈(Sang Hoon L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14 産業關係硏究 Vol.24 No.2

        노사 간 갈등과 반목이 심했던 플랜트 건설업은 교섭이 안정화되면서 파업이 감소하였다. 그 이유는 노사가 조정된 교섭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플랜트 건설업의 조정된 교섭을 다루는 데 광양지역 사례를 통해 교섭과정과 교섭결과에서 조정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분석하고 그 성과를 살펴보았다. 플랜트 건설업에는 산별노조에 대응할 전국단위 사용자 단체가 조직되지 않아 산별 중앙교섭이 진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광양지역에는 사용자 단체가 있어 산별노조 지역지부와 조정된 교섭을 체결하고 광양지역 교섭은 패턴세터 역할을 하여 그 결과가 전체 산별 차원으로 확산된다. 광양지역 노사는 교섭과정에서 수직적 조정과 수평적 조정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수직적 조정을 살펴보면 노사는 조직 내부의 다양한 과정을 통해 교섭 전과 교섭 중에 기계 설치와 전기통신 등 분과별 이해 차이를 줄인다. 수평적 조정에서 노사는 교섭 전과 교섭 중에 노사 간 이해를 높이고 공공재를 형성한다. 노사는 교섭 후에도 노사관계와 관련된 다양한 갈등을 줄이고자 노력한다. 수직적 조정과 수평적 조정에서는 공식적 교섭보다는 비공식적 교섭 방식이 더 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사 교섭위원들이 작업현장에서 함께 일할 뿐만 아니라 지연 등 비공식적 네트워킹을 통해 서로의 의견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교섭결과를 분석해 보면, 노사는 임금과 비임금 부분에서 공공재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의 경우, 노사는 기계 설치와 전기통신 직종간 격차를 줄이면서 공동으로 임금을 인상시키는 연대임금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비임금 부분에서 노사는 노사공동훈련 사업과 같은 초기업 수준의 숙련체제를 형성하고, 건설현장의 산업안전을 향상시키며, 노사관계 안정화를 통해 파업을 감소시키고 교섭기간을 단축하고 있다. 이들 임금과 비임금 영역에서 형성된 공공재는 노조나 사용자가 개별적으로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며 플랜트 건설업에서 종사하는 조합원 및 비조합원 모두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성과이다. 본 연구는 직종 간 교섭체계 형성, 건설업 노사 갈등 해소 방안, 비정규직 노사관계 안정화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of industrial relations in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The industry had suffered from high conflict and enmity between daily workers and employers, but their relations recently changed as strikes became shorter and weaker. Those changes implied that the industry became to adopt a coordinated industrial relations. This paper analyzed a coordinated bargaining in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Inparticular, the case of bargaining in Gwangyang region was selected. Construction daily workers organized a regional labor union in 2000, and an employers association was set up in 2004. The union and the association has continued to negotiate over wages and working conditions and sign a collective agreement covered plant construction sites and daily workers in the whole Gwangyang region. During bargaining, the union and the employer association are engaged in vertical and horizontal coordination. In vertical coordination, two organizations reduce conflicts between two main occupations in th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machine install and telecommunication. The two groups have different interests and expectations over bargaining. Both the union and the association face conflicts among their members and try to find a solution to resolve the conflicts. In horizontal coordination, the union and the employers association expose and share their internal conflicts and try to find an option to satisfy their bargaining objectives and relieve their internal conflicts at the same time. Informal bargaining between the union and the associ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finding the option. The members of the union negotiating committee and those of the employers bargaining committee have worked long together in the plant construction sites and they often belong to the same network of regions. These vertical coordination and horizontal coordination cause the two actors to produce collective goods that all daily workers and employers in the region get benefits. In wage agreements, union and employer raise wages and reduce wage differentials across occupations. In non-wage agreements, they introduce a system of skill formation and improve health and safety in the plant industry. These collective goods are not achieved by individual actors such as the union and the employers association but by joint efforts of the two.

      • KCI등재

        취약계층 노동자를 위한 이해대변 조직의 다양성 연구

        우상범(Sang Beom Woo),임상훈(Sang Hoon Lim)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2021 産業關係硏究 Vol.31 No.3

        오랫동안 노동자들의 주요한 이해대변 조직은 노동조합이었다. 최근에는 경영환경 변화로 특수고용직, 플랫폼 노동, 기간제 등 다양한 고용형태를 지닌 취약계층 노동자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의 노조조직률이 매우 저조하여 노동조합을 통한 이해대변은 취약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재 지역에서 운영되고 있는 비정규지원센터 사례를 분석하여 노조 이외에 취약계층 노동자들의 이해대변 조직의 가능성과 다양성을 제시하려고 한다. 사례 분석 결과 비정규지원센터는 지역의 산업과 노동시장의 특성을 반영하여 광역과 기초 지자체에서 운영되고 있다. 조례를 통해 설립된 비정규지원센터는 지자체의 예산이 투입되고 노사관계 전문성과 경험을 가진 상근자들이 근무하고 있다. 또한, 취약계층 노동자뿐만 아니라 청소년,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노동인권 교육을 통해 지역사회의 노동 인식 전환을 꾀하고 있다. 무엇보다 비정규지원센터는 노동법률 상담을 통해 법/제도적으로 소외받고 있는 비정규직들의 임금 및 노동조건에 관한 고충을 처리해준다. 이처럼 비정규지원센터는 다양한 사업과 상담 활동으로 취약계층 노동자들의 이해대변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례 분석을 통해 비정규지원센터와 노조 간 취약계층 노동자들에 대한 이해대변을 비교했다. 또한, 비정규지원센터가 지닌 이해대변의 가능성과 다양성을 타진하면서 현재의 문제점을 바탕으로 취약계층 이해대변에 대한 시사점과 향후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For a long time, primary interest representation organization for workers is trade union. Recently, it increases a lot of forms of employment like irregular worker, platform labor because of change of management environment. Their interest representation, however, is weak for their low union density.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possibility and diversity of interest representation organizations for vulnerable workers through cases of 4 contingent worker support centers. Centers are managed in the local government based on local industry and labor market and the local government supports the centers founded by ordinance with local budget. Many full-time employees show their career and experience for workers’ support in the centers. The centers contribute change of labor cognition for vulnerable workers, the young and citizen through labor education in local community. Most of all, the centers solve difficulties such as wage, working conditions and unfair dismissal for irregular workers by expert labor/legal advice. This paper analyzed interest representation between the centers and trade union and showed possibility and diversity of interest representation organization. Finally, this article proposed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olicy plan for interest representation of vulnerable workers.

      • KCI등재

        지역 노사정 주체의 전략적 선택과 지역인적자원개발간의 관계 연구

        우상범(Woo Sang Beom)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8 인적자원관리연구 Vol.25 No.1

        지역의 대표적인 고용 및 일자리창출 수단 중 하나가 인재를 양성하여 고용율을 제고하는 지역인적자원개발 정책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지역분권화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지역 산업특성을 반영하여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살펴본 연구는 많지 않으며, 특히 직·간접적인 이해관계가 있는 노사정 주체들을 중심으로 지역인적자원개발을 분석한 연구는 드물다. 따라서 본 논문은 지역 주체들이 전략적 선택으로 지역인적자원개발을 추진할 때 성과뿐만 아니라 사업의 지속성이 담보될 수 있음을 광양만권HRD센터 사례로 보이려고 한다. 분석결과 광양지역 환경은 제철, 조선, 석유·화학, 발전소 등 중공업이 발달하여 숙련된 용접기술이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또한 지역 환경을 고려하여 노사정 주체들은 자신들의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인적자원개발을 전략적으로 선택했다. 먼저 노조는 조직 확대 및 지역 발언권(voice) 강화, 재정지원 확보, 일자리 확보 및 노조 충성도를 제고하고, 둘째 사용자는 원청으로부터 지속적 수주 획득, 계약기간내 공사완료 및 수주 악화 방지, 안정적 기능공을 확보하며, 셋째 광양시는 고용율 70% 달성 및 민선시장 연임, 평생교육시설 확보, 온건노조를 확보하여 안정적 노사관계 형성, 고정적인 취업처 확보를 위해 전략적 수단으로 광양만권HRD센터 설립을 추진했다. 광양만권HRD센터가 제도화 된 이후 교육대상, 교육기간, 커리큘럼 등이 안정적이고 체계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또한 성과의 경우 훈련생들은 광양만권HRD센터의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에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수료생의 94%가 정규직으로 채용되는 등 높은 취업률을 달성했다. 이외에 센터는 정부로부터 우수한 인적자원개발 기관으로 평가받았다. 본 논문은 이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고, 논문한계를 바탕으로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했다. A main policy of local-based employment strategy is RHRD that trains talented person and creates new job. Recently, Korea is discussing decentralization from new government. Although discussion of decentralization increases, article for RHRD is lack. This paper shows RHRD that it is built by local actors(trade union, employers and government) based on local environment from Gwangyang HRD center case. The tripartite acted a strategic choice for RHRD. As result research, industrial environment of Gwangyang has developed heavy industry(such as steel, shipbuilding, petrochemistry, power plant) since 1990, and needed skilled welder for industry. Regional tripartite made a strategic acts to increase their interests. First of all, trade union hoped to extend size of trade union and strength of union voice in the Gwangyang, to receive financial aid for managing HRD center and to supply decent job for union member in region, second employers want to have interests for continuous order from main contracts, to secure skilled welder, and to improve profit. third, a local government wanted to achieve stable industrial relations through business union, to get constant company to employ trainee, to achieve 70% of employment rate, and to make lifelong education organization. HRD center accomplished good performance both high employment rate, satisfaction of trainee, and best class from government’s valuation(including winning the grand prize of a competitive exhibition for job cre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contributions of the study are suggested and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esented.

      • KCI등재

        비정규직 이해와 노조 조직화 방식의 다양성 연구

        우상범(Woo, Sang Bum),임상훈(Lim, Sang Hoon)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3 社會科學硏究 Vol.29 No.3

        본 논문의 목적은 1997년 외환위기 이후 비정규직이 급속히 확대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목소리를 집단적으로 내지 못해 열악한 노동조건에 처한 비정규직의 노동 현실 개선방안을 찾는데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비정규직 조직화와 관련된 문헌검토,『2011 KLI 비정규직 노동통계』분석, 비정규직 조직화 사례를 통해 노조 조직화 다양성을 제시했다. 연구 결과 비정규직 노동자 조직화에는 산별노동조합 뿐만 아니라 기업별 노동조합, 직종별 노동조합, 그리고 지역별 노동조합에 의한 조직화가 가능하다는 점을 확일 할 수 있었다. 특히 고용형태, 기업 규모, 그리고 숙련 정도에 따라 그에 적합한 조직화 방안이 달리 존재한다는 점이 드러났다. 또한 비정규직 노동자 내부의 다양한 이해를 인정해야 이를 적절하게 대변하기 위한 조직 형태를 구체화시킬 수 있고 이에 따른 효과적인 조직화 요인이 밝혀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여러 한계로 인해 조직화 변수를 일반화하고 효과적인 조직화 요인을 밝히는데 부족하지만 비정규직 내 다양한 이해가 존재한다는 점과 조직화 방안이 다양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도이다. The purpose of this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aths of various unionization of nonstandard (or contingent) workers who have been excluded in collective bargaining in spite of their rapid growth in the Korean labor market. Instead, the authors argue that the workers have a varied interests among them and, thus, diverse paths for representing their interests including industrial unions. Therefore, this paper employs three research methods: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KLI survey and cases of union organization. This study shows that non-regular workers are organized by diverse unions including enterprise unions, craft unions, local general unions, and industrial unions. These unions, as this paper suggests, provide a consistent and effective way to represent non-regular workers. They have diverse interest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type, company size, and skill level, and these diverse interests require diverse organizations to be satisfied. Thus, it is over-simplified and stereotyped to argue that industrial unions are the way to represent more than ten million non-regular workers. Though there are some limitations as a measure for skill, this article reaches the main objective to present diverse paths to organize non-regular workers and find some organizational factors. This research will provide a great contribution to unionization growth for the workers and help them improve their working conditions.

      • KCI등재

        Lyapunov 재설계 방법을 이용한 무인 수상정의 군집 제어

        우상범(Sangbum Woo),이재용(Jaeyong Lee) 한국해양공학회 2014 韓國海洋工學會誌 Vol.28 No.4

        In this paper, a practical controller for a group of USVs is proposed in order to avoid matrix inversion problems in computation. Using nonlinear mapping, a formation composed of nonholonomic agents can be stabilized even when the formation is stationary. Since there is no matrix inversion in computing the control law, the computation complexity can be resolved. A controller for stabilizing the formation errors in the presence of model uncertainty is considered using the Lyapunov redesign method. The asymptotic stability of the formation errors is shown. It is also shown that the proposed controller can be applied to guide a formation to a different shape without modifi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