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허버트 스펜서와 옌푸(嚴復)

        우남숙(Woo namsook) 한국정치학회 2012 한국정치학회보 Vol.46 No.5

        본 논문은 한국·중국·일본의 근대 정치사상가들이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각기 구국책으로 제시한‘민의 지·덕·력(체)의 향상에 의한 국가부강의 달성’론은 스펜서의‘사회유기체의 적자생존은 내적 속성인 지·덕·체가 결정한다’는 사회유기체이론이 사상적 원형임을 해명하기 위해 이를 중국 최초로 수용한 옌푸를 중심으로 이론적 특징과 사상사적 의의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스펜서는 개인주의적 사회유기체론을 전제로 진화란 사회조직과 질서의 진화를 의미하였는데, 이는 구성원인 개인의「지·덕·체」의 진화에 의존하며 이를 위한「지·덕·체 교육」의 자유방임을 최대한 존중할 때 사회진화의 성과를 가장 크게 가져올 수 있다는 자유방임적 사회진화론이다. 이는 당대의 국가 간섭이 점증하는 경향인 사회적 자유주의(1차 신자유주의)를 진화론이라는 가장 강력한 생물학을 동원하여 사회의 발생을 계약이 아닌 진화에 의한 성장으로 사회의 본질을 정태·기계적이 아닌 동태적 유기체임을 해명하고, 사회진화 양식의 보편적 인과관계를 연역적 서술이 아닌 귀납적 방법으로 해명하여 방어한 역할도 담당하였다. 이러한 스펜서의 지적 계보를 이은 옌푸는「서학」가운데 특히 과학의 보편성을 확신하고, 중국의 부국강병의 성공을 위해「인간의 능력은 지·덕·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개인의 지적 도덕적 육체적 수준과 사회진화의 정도는 상관관계」라는 스펜서의 사회유기체설을 원용하여「민의 지적 도덕적 육체적 증진」을 통한 중국의 변혁을 주장한 것이다. 이는 성인의 지혜에 의한 우민정책과 전통적인 숭문이념에서 벗어 나 중국 전통 이학의 유심주의적 인식론에 충격을 주었던 것이다. 그리고 당시의 서학중원설·중체서용론의 양무파와 서양제국의 제도적 배경에 착안하여 의회제도의 도입과 한(漢)혁명을 주장한 부회론적 유신변법파와도 달리, 옌푸는 과학적 법칙인 사회유기체론을 일체의 영역에 관철시켜 사회·국가·개인의 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옌푸의 사상 자체에 대한 연구 경향이 지배적이며 스펜서로부터 어떠한 사상적 영향 하에서 있었나에 관한 연구가 아직 미답지인 연구 환경에서 의의를 가진다고 하겠다. This article aims to explain that the theory of “Achieving Prosperity by Improving People’s Intellectual Moral Physicality”that was advanced by Korean, Chinese, and Japanese modern political theorists as a policy of national self-strengthening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early 20th century had originated from Spencer’s Social Organism Theory, and by focusing on YenFu who first adopted it in China. Spencer, based on the theory of individualistic social organism, claims that evolution is evolution of the social structure and order, and this is laissez-faire social evolutionism that relies on the evolution of the individuals’“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evolution and has a belief that social evolution can be maximized by respecting laissez-faire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This explained the outbreak of society as not by contract but growth by evolution and it also explained the essence of society as a dynamic organism and not static and mechanic, and had the role of defending the causal relationship of social evolution pattern by explaining inductively not by deductive description. YenFu, who followed Spencer’s intellectual pedigree, was especially convinced by the universality of science among “Western Learning”and argued “China’s revolution by people’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improvement,”by claiming Spencer’s Theory of Social Organism which says “People’s ability is composed by the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and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an individual’s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level and the degree of social revolution.”This was different from the Revitalizing Reform group (유신변법파) who claimed the introduction of a parliamentary system and Han revolution. YenFu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society, state and individual with the Theory of Social Organism which was a scientific law. This became the origins of the policy of developing national power by “Increasing People’s Intellectual Moral Physicality”by “independence”thinkers in Korea in the late 1890s.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field by first explicating on the philosophical influence of Spencer on YenFu.

      • KCI우수등재

        오오가키 다케오(大垣丈夫)의 자조론 연구

        우남숙(Woo Namsook) 한국정치학회 2017 한국정치학회보 Vol.51 No.4

        본 논문은 오오가키 다케오의 자조론을 검토하여, 과연 이는 한국 근대 자조론의 형성에 어떠한 가교 역할을 하였는지를 정치사상사적 관점에서 살펴본 것이다. 즉 그의 자조론은 인종주의적 사회 진화론과 결합하여 한국독립가능론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으며, 그가 「자강」ㆍ「독립」 운동에 참여한 것은 조국인 일본을 위한 함정 파기였다는 기존의 부정적 평가를 극복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자조론을 수용한 지식인들이 주권을 상실한 이후, 어떻게 자주 독립의 이론적 기반이었던 자조론을 세속적 입신출세 지향인 성공주의로 전환해 갔나에 대한 정치사상사적 연구의 선행 연구로서도 의의를 가진다 하겠다. 나아가 다음 주제의 연구를 가능하게 하는 파급효과도 가져 올 수 있다. 즉 ‘동아시아 삼국에서의 자조론의 역사적 수용과 수용 양식의 비교 연구’라는 주제의 한 축이 될 수가 있으며, 통시적인 고찰로서는 자조론이 해방 이후 남한의 새마을운동과 북한의 천리마운동에 이르기까지 어떻게 현대 한국사회에서도 지속적 생명력을 가질 수 있는가에 대한 연구도 가능해질 수 있다. This paper considers the influence of Ogaki Dakeo’s concept of “self-help” on Korean self-strengthening movement. In particular it was focused on the role of bridge which Japanese self-help played from the viewpoint of the nascent Korean self-help movement in the modern period. This study is expected to lead to additional areas of inquiry in the future. The present study considers five issues. First, we seek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help theory and social Darwinism. Secondly, we will use this report to define clearly how self-help has been considered as an admirable national thought. This research makes a significant addition to the existing scholarly literature by reassessing the national characteristic of self-help movement in Korea. Thirdly, we could enlarge the research to the theme of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self-help when it was introduced to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Korea, China and Japan, and into the comparative investigation of the patterns of the process. This would be the main theme of the study of self-help. Fourth, we expect to proceed a political and historical research about how right-wing intellectuals adopted self-help as a spiritual basis of the Independence for a worldly success since the Independence Movement of March 1st in 1919. Fifth, a diachronic survey permits us to investigate how self-help could evolve into a strong and sustainable organization such as New Village Movement in South Korea and Cheollima Movement in North Korea.

      • KCI등재후보

        신채호의 근대국가사상 연구

        우남숙(Woo, Namsook)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6 문화와 정치 Vol.3 No.2

        본 논문은 신채호가 이른바 「자강」·「독립」사상 시기에 제시한 「입헌공화제」국가론에 관한 연구이다. 신채호의 국가사상이 스펜서의 사회진화론적 국가 기원론, 량치차오의 정치체제 진화론, 루소의 공화주의, 블룬칠리의 국가유기체론 등의 중층적인 기원에 의해 이루어졌음을 정치사상사적으로 해명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 본 신채호의 근대국가사상의 특질은 국가를 정치공동체로서 인식하고 국가의 기원을 생존경쟁에 의한 사회진화, 국가진화는 정체진화론으로 인식한 점이다. 이는 국가를 유교의 혈연적인 가(家)의 확대 개념으로 이해하는 종래의 국가발생론에서 벗어나 전근대적 요소에 머무르지 않는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신채호는 근대 국가의 진화 모델로서 루소의 공화주의에 기반한 대내적 주권국가로서의 국민국가론을 제시하였고, 대외적 주권의 확립을 위해서는 「국가주의」(민족주의 nationalism)에 기반한 「민족」국가 재건론을 주장하였다. 특히 이민족을 배제하는 종족적 순수성에서 출발하고 있어 종족적 민족주의(ethnic nationalism)의 성립도 용이하게 이룰 수 있었다. 따라서 세계사적으로 보면 그의 근대국가사상은 19세기에 전개된 정치적 단위의 국가와 민족적 단위의 국가를 동일한 궤적에 놓은 이른바 근대 국민(민족)국가에로의 편성임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present multiple grounds of Shin Chaeho’s theory of constitutional republic.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history of political thoughts we can find Shin Chaeho’s theoretical bases: Spenser’s theory of socio-evolutionary origin of nation, Rangchichao(梁啓超)’s evolutionary theory of governmental forms, Rousseau’s republicanism, J. K. Bluntschli’s theory of national organism. His theory of nation might be presented in several aspects. With no difficulty he accepted western modern thoughts of nation, broke away the concept of blood-tied nation, which is originated from the Confucian viewpoint that nation is no more than a big family. Rather, he thought that the origin of nation is a struggle for existence, believing that the evolution of nation might be realized by the form of government. To establish the internal sovereignty of a nation he developed the theory of people’s nation from Rousseau’s republicanism. On the other hand, for the establishment of external sovereignty, he asserted an ethnic nationalism influenced by Bluntschli’s theory of national organism. His thought of nation is characterized by the ethnic nationalism for the reconstruction of traditional ethnic concept in modern nation. He used to equate the people’s nation and ethnic entity.

      • KCI등재후보

        미국 사회진화론과 한국 근대

        우남숙(Woo, Namsoo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2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미국 사회진화론이 한국 근대에 끼친 사상적 영향을, 문명개화와 자강에 관한 근대 대표적 지식인의 한사람이자 사회진화론의 절정기인 19세기 말 인종 차별이 심한 미국 남부의 대학에 유학한 윤치호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미국에서의 사회진화론의 흥망성쇠는 혁신주의 사회개혁 운동과 맞물린 19세기 후반에서 1914년 1차 세계대전 참전 직전까지로, 19세기 말까지는 주로 다윈과 스펜서의 무신론과 개인주의적 자유방임주의적 사회진화론을 계승한 섬너와 카네기 등이 주류였으며, 진화를 신의 이지적 설계로 해석한 유신론적 사회진화론도 유행하였다. 그러나 20세기를 맞이하며 국내의 정치적 상황 등에 커다랗게 좌우 되어 발상지와 다른 수정현상을 보여주게 된다. 즉 정통적 진화론을 강자의 입장에서 해석하여 자연선택이 아닌 인위선택, 강자의 개량이 아닌 약자의 도태가 중심인 네거티브 우생학, 앵글로색슨 우월주의에 의한 인종주의, 적자생존에 의한 열등인종의 정복으로 이해한 제국주의, 이를 기독교 복음화의 수단으로 선택한 제국주의적 기독교가 지배적이었다. 한편 미국 유학 이전부터 열렬한 기독교인인 윤치호는 부강한 문명의 토대가 된 기독교를 직접 체험하며 신앙의 깊이를 더 해갔을 뿐만 아니라 강자 입장인 미국 제국주의적 기독교 입장에서 자민족의 문화적 열등을 탓하고 강자인 일제의 지배에 대해 복종하였으나, 조선의 독립으로 자신의 믿음이 배치되는 순간, 자결로서 생을 마감하여 그의 친일행각이 변절자의 길이 아닌 일생을 엄밀하게 지켜온 사회진화론적 기독교를 자신이 관철한 것임을 변증한 것이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ideological influence of American Social Darwinism on Modern Korea through the tireless efforts of Yun Tchiho, a prominent Korean intellectual who studied in America during Social Darwinism’s apotheosis in the late 19th century. From the 1870s through the early 20th century, Charles Robert Darwin’s Darwinism and Herbert Spencer’s Social Darwinism were more popular among the American public than in their birthplace of England. Among the ranks of Social Darwinism’s American acolytes were the academic William Graham Sumner and industrialist Andrew Carnegie, who praised Spencer’s concepts of individualism and laisser faire. However,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First World War, it was the second stage of Social Darwinism determined by Hofsteder’s categories and the America-centered theist Social Darwinism that became the dominant perspective, reinterpreting Social Darwinism by the law of negative eugenics, racism, imperialism, struggle for survive, and survival of the fittest. Yun Tchiho, who was a devout Christian even before going to America, came under the influence of the second stage of American Social Darwinism, and appreciated it as God’s law, not as a political ideology. Thus, he is the Social Darwinist in the strictest sense; he perceived his own country’s cultural inferiority from this dominant perspective, submitted to Japan’s colonization of Korea, and committed suicide when his belief was proved wrong.

      • KCI등재후보

        사회진화론의 동아시아 수용에 관한 연구

        우남숙(Woo Namsoo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1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10 No.2

        본 논문은 근대 한국·중국·일본 삼국의 사회진화론 수용 양식의 비교 연구를 위한 선결과제인 역사적 수용과 이론적 원형을 각기 비교해보는 것이다. 사회진화론은 사회의 장기적 변화를 진화 혹은 진보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의 총칭으로, 초기 사회진화론으로써 스펜서의 개인주의적 사회진화론과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을 사회에 적용한 사회다위니즘이 대표적 이론이다. 다윈 역시 진화적 생물학에만 집착하지 않고『인간의 계보』를 통해 생물학의 범위를 넘어 자연선택이론을 사회에 적용하려는 시도를 본격화하여 사회진화론을 전개하였다고 볼 수 있다. 사회진화론의 수용 시기는 서구열강과 동양 삼국의 만남의 시기이기도 한 19세기 후반으로, 비서양 후발사회인 삼국은 서구로부터의 무력정복·불평등조약·영토분할·정치적 압박·경제적 침략이 강제된 냉혹한 역사에 대응하기 위한 근대화 과정의 하나로, 서양사상과 제도를 주체적으로 수용하는 시기이기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사회진화론은 당시 각국이 지향하고 있던 정치사회적 목표인 부국강병에 의한 근대화와 자주독립을 동시에 달성가능하게 하는 최신 사회과학 이론으로 인식되어 크게 공명된 사상이었다. 수용이 1870년대 일본을 선두로 자발적인 동시에 용이하게 이루어졌던 이유는 서구와 같은 오랜 기독교적 신학의 전통이 결여되어 있었을 뿐만 아니라, 당시 최신 생물학을 기반으로 한 최신의 사회과학이론을 제공한 스펜서와 다윈의 이론에 삼국의 사상가들은 큰 지적 매력을 느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독일학의 개척자인 加藤弘之가 선두주자로, 이외의 메이지 지식인들도 자신들의 정치적 사회적 종교적 입장과 관계없이 사회진화론의 큰 영향하에 있었다. 중국의 경우 역시 1880년대 이미 스펜서의 저서가 번역되었다. 그러나 본격적인 전파는 청일전쟁의 패배 이후인 1890년대로, 영국 유학생 출신이며 교육자와 져널리스트로 평생을 견지한 嚴復과 실천적 변법운동가이자 14년의 일본 망명을 통해 폭 넓은 서양사상을 흡수한 후발주자 梁啓超가 중심이다. 한국의 경우는 일본 및 미국 유학생 출신의 1880년대 유길준이 최초 수용자이며, 본격적인 전파는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해 가는 과정에서의 사상적 대응 운동이라 할 수 있는 1890년대 후반의「자강」·「독립」사상의 선두주자였던 박은식 장지연 신채호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삼국의 사상가들 다윈의 생존경쟁과 적자생존에 의한 진화의 법칙, 스펜서의 인간의 지덕체의 성쇠에 의한 사회진화에 관한 해석, ‘약육강식’과 ‘우승열패’의 생존경쟁 법칙을 새로운 국제질서 인식의 틀로 받아들여, 중화문명에 대한 압도적인 자신감인 화이우열론을 토대로 하여 서양사회의 부강의 원인을 기술문명에 한정하는, 일본의「和魂洋財」론 중국의「中體西用」론 한국의「동도서기」론을 파산시키고 각국의 독자적인 사회진화론 수용 양식을 전개하게 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compare historical acceptance and original type of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of Korea·China·Japan in modern century. Social Darwinism, a term that explains longterm changes of society in the view of evolution or advance, is a representative theory of social evolutionism, as a initial social Darwinism, in which Individual social evolutionism of Spencer and Biological Evolution of Darwin are applied to the society. Three countries accepted from Japan in 1870’s with easy and spontaneously, despite their lack of traditionally old christian theology, Original type of social Darwinism of three countries was greatly influenced by Darwin and Spencer and the concern of thinkers was not Biological Evolution, but social Darwinism from the beginning. In case of Japan, a front-runner, Katohiroyuki(加藤弘之), a pioneer of German study, and other Meizi intellectuals was under the influence of social Darwinism irrespective of their political, social and religious stand. In case of China, a book of Spencer was already translated in 1880s. Full scale of propagation was on 1890s following defeat at China-Japan war and was centered by Yenfu(嚴復), a British studied educator and journalist and a next-runner Liangizao(梁啓超), an activist who assimilated a broad western ideology through 14 years-exile in Japan. In case of Korea, Kil-Jun Yu, a Japan and America studied, is the first in 1880s and full scale of propagation was centered by Eun-Sik Park, Ji-Yeon Jang, and Che-Ho Shin, front-runners of ‘Self Strength’ · ‘Independence’ ideology in later of 1890s, which was a defensive ideological movement during a fall into Japanese colony They accepted interpretation of natural selection by ‘struggle for existence’ and ‘survival of the fittest evolution of Darwin and social evolution by human intellectual, moral, and physical education of Spencer.

      • KCI등재후보

        유길준과 에드워드 모스 연구

        우남숙(Woo Namsoo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10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유길준과 그의 스승이며 미국의 저명한 진화론자인 에드워드 모스(1838-1925)와의 사상적 교류를, 보관된 1884년부터 1897년까지의 유길준의 영문편지와 모스의 사회진화론적 한국문명 비평 논문인〈Korean Interviews〉(1897)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 근대 정치사상사의 문맥에서 밝혀보자는 것이다. 근대과학의 확립으로 메이지 일본 근대화에 지대한 영향력을 끼쳤던 모스가, 동시기에 일본과 미국에서 유학 했던 유길준에게 과연 어떠한 사상적 영향을 끼쳤는가에 대한 사상사적 연구는 아직 연구된 바 없는 주제이다. 모스는 다윈의 생물학적 진화론의 지지자인 동시에, 한국에서의 「유교문명」과 「중국지배」는 「부적자 생존(unfittest survival)」과 「비자연선택 (unnatural selection)의 비참한 결과」이므로 「유교문명」과 「중국지배」를 벗어나야 한다는 사회진화론적 문명론자이기도 하였다. 유길준 역시 모스로부터의 직접적인 지도, 다윈과 스펜서의 사회 진화론이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던 19세기 후반의 일본과 미국의 유학, 그의 저술에 나타난 사회진화론적문명관, 동시대의 미국 유학생과 달리 기독교로 개종하지 않은 점 등으로 그는 분명 초기 사회진화론의 한국 최초 수용자였음이 분명하다. 또한 1880년대 초기 미국의 민주주의를 직접 체험할 기회를 가진 그는 효과적인 정치참여방법으로서의 선거, 투표, 정치적 평등이 보장되는 민주적 정치체제와 그 토대가 되는 분별력 공공정신 독립심과 같은 국민성을 그가 개혁관료로서 주도한 가산관료체제에서 근대적인 합리적 법행정체제로의 이행을 위한 갑오개혁에 투영하였음을 알 수 있다. This research traces the origins of ideological exchange between Yu Gil-chun and Edward S Morse, the famous America’s evolutionist, by their recorded correspondence from 1884 to 1897 and an article 〈Korean Interview〉 in the context of the history of modern political thoughts in Korea. How Morse influenced his student Yu, who studied in early Meiji Japan at a time when Morse’ Anthropology of Archeological population heavily influenced Meiji modernization, is a new ideological research topic. Morse was biological evolutionist and social Darwinist at the same time as he argued in 〈Korean Interview〉 that in order for Korea to become one of the “fittest” and survive the process of “natural selection,” Korea had to escape from “Confucianism” and “China’s domination,” since “Confucianism” and “China’s domination” rendered the country “unfit” for “natural selection.” Also Yu Gil-chun was directly influenced by Morse because he and studied in Japan and the U.S., where Darwin and Spencer’s social Darwinism were highly influential in the 19th century. As social Darwinistic thinking in his writings and the fact that he did not convert to Christianity differ from other foreign students in the U.S. demonstrate, it is certain that he was the first adaptor of social Darwinism in Korea. Also, he showed his willingness to adopt America’s Democratic political system that guarantees election, which is effective participation, and political e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