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1970년대 호스티스물의 각색 양상 연구 -<모범작문>과 <여자들만 사는 거리>를 중심으로-

        용석원 ( Seok Won Yong ) 겨레어문학회 2012 겨레어문학 Vol.49 No.-

        1970년대 한국문화사에 있어서 ``호스티스물``은 하나의 ``붐``으로 기억된다. ``문예물에 대한 정책적 권장``, ``베스트셀러의 영화화``, ``호스티스물의 아류 제작``이 호스티스물의 붐이라는 문화 현상을 설명해줄 수 있겠지만,문예물로서의 호스티스물 각색의 심급에 대해서는 답해주는 바가 없다.이 연구는 조선작의 소설 「모범작문」과 이를 영화화한 <여자들만 사는 거리>의 각색 양상을 살피고, 각색 과정에 개입한 요소를 고찰하고자한다. 우선 원작을 살펴보면, 「모범작문」은 대화화된 주변자의 이질언어들과 자본주의의 복화술에 따른 다발화성을 지닌 화자를 내세워 당대 도시하위 계층의 삶을 전경화하고 있다. 이는 당대 사회적 현실에 대한 문제의식과 문학의 사회성에 주목한 결과이다. <여자들만 사는 거리>의 경우, 객관적인 카메라의 눈에 의해 소설 화자의 주관성이 무화됨에 따라 서사적 확장이 두드러진다. 특히 멜로드라마의 문법을 활용함으로써 멜로드라마에 대한 정서적 친밀감과 영화가다루고 있는 ``악인의 갱생 이야기``가 지니는 익숙함이 의해 도시 하층민으로서의 호스티스가 겪는 삶의 고초보다는 ``현대 여성의 성담론``, ``섹슈얼리티``, ``과감한 성적 묘사``가 부각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러한 각색의 결과는 리얼리티 묘사를 원천적으로 봉쇄했던 당대 검열 제도에 대한 반향이자, 반체제적 저항 담론으로 가치가 부여되었던 ``성모더니즘``의 영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It was remembered the literature for hostess in 1970`s created a boom in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Though ``political encouragement of literature``, ``filming the bestseller``, ``the tendency of production for the imitation`` could explain this boom of the literature for hostess, there is no answer on the depth of the dramatization for it as the literature. In this study, it was trying to examine the dramatization condition of 「example writing」and its movie, <the street lived only by women> and it was also trying to consider factors in this process. At first, if original literature, 「example writing」is examined, as using the speaker, who has the various features such as different languages of surrounding persons and the ventriloquism of the capitalism, it showed the life of low rank in the city at that time. That is, it focused on the critical mind on the social reality at that time and the society of the literature. In respect of <the street lived only by women>, through the view of objective camera, as deleting the subjectivity of the speaker of the novel, descriptive expanding of it is remarkable. Especially, as using the grammar of melodrama, it was possible to express emotional sense of closeness and the familiarity in ``the story rehabilitating bad characters`` treated by this movie, by which it didn`t expressed the troubles of hostess as the low rank of the city, but expressed ``the discussion of the sex of modern women``, ``sexuality``, ``drastic sexual description. It is seemed the result of this dramatization was the sensation on the censorship system, blocking the reality description at that time and was caused by the influence of ``sex modernism``, which is mainly considered as ``rebellious resistance discussion ``.

      • 매체 특질과 서사 구성요소의 선별에 따른 서사물의 의미 차이

        용석원(Yong, Seok-Won) 서사와문학치료연구소 2011 영화와문학치료 Vol.5 No.-

        이 연구는 소설『축제』와 영화 <축제>를 통하여 매체의 특수성과 창작자들 간의 상이한 서사 구성요소 선택에 따라 구조화된 서사물의 양상을 파악하고 구체화된 두 서사물이 지니는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축제’의 창작자들인 임권택 감독과 이청준 작가 모두 창작을 통해서 어머니에 대한 ‘죄스러움’을 승화하고 어머니를 기리기 위한 ‘창작 의도’를 공유하고 있다. 이처럼 동일한 의도 아래 창작 활동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두 ‘축제’의 ‘텍스트 기획’은 상이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이러한 서사적 차이는 수용자에게 텍스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텍스트 기획으로서의 ‘내포 작가’의 차이에서 오는 결과이다. 내포 작가의 차이는 매체적 특수성에 의한 규범과 선택의 제한, 상이한 서사적 추동력에 있음이 확인된다. 텍스트 구성 요소의 차이에 따라 두 ‘축제’는 상이한 구성 양상을 보인다. 이러한 차이에 의해서 내포 작가가 텍스트의 수용자들에게 제공하는 서사적 의미의 차이가 발생한다. 소설의 경우, 전통주의의 맥락에서 장례는 효라는 생활의 계율과 의식 규범의 재생산의 장인 동시에 삶을 지속시키는 긍정성으로 제시되고 있다. 영화 역시 텍스트의 의미가 전통주의의 맥락에 놓였지만, 전통주의에 의한 가족의 소통과 통합이란 의미에 중심을 두고 있다. This study adopts as its subjects the novel 『Festival』 and the movie <Festival> in order to figure out the aspects of structuralized narrative according to the media features and the selection of elements in narrative composition which are distinctive between the creators and also consider the specified meaning of the two narratives. Both of the creators of ‘Festival’, director Im Kwon Taek and writer Lee Cheong Jun, sublimate the ‘guiltiness’ to mother through creation and share the ‘Creative Intention’ to praise mother. Although they created them under the same intention like this, the ‘text planning’ of the two ‘Festivals’ develops in different ways. This narrative difference comes from the difference of the ‘implied author’ as the text planning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text to the audience. It can be found that the difference of the implied author lies in the limitation of norms and selection resulted from the media features and also the distinctive narrative driv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of elements of text composition, the two ‘Festivals’ show distinctive aspects of composition. Due to such difference, narrative meaning that the implied author provides to the audience of the text differs. In the novel, within the context of traditionalism, the funeral is suggested as the field of reproducing the precepts of life and ritual norms, so-called filial duty, and as the positivity that keeps life going at the same time. In the movie, too, the meaning of text lies in the context of traditionalism; however, it focuses on the meaning of the communication and integration of family based on traditionalism.

      • KCI등재

        이문구 『관촌수필』에 나타난 고향의 양상과 의미

        용석원 ( Yong Seok-won ) 겨레어문학회 2017 겨레어문학 Vol.58 No.-

        1970년대 초반부터 한국 소설에서 도시와 농어촌의 이항대립 구도가 나타나면서 고향의 위상이 달라진다. 이문구도 예외는 아니다. 그의 연작소설인 『관촌수필』은 이 변화의 흐름에 위치한다. 이 소설에서 이문구는 이전과 달리 노스탤지어로서의 고향을 등장시킨다. 이 글은 고향과 농어촌에 대한 그의 태도 변화를 이해하고자 그가 창조한 고향을 분석한 이후 그 의미를 재고했다. 이문구는 『관촌수필』에 이르러서야 과거 경험을 총체적으로 서사화하기에 이른다. 그는 회상을 통해 과거와 적극적으로 마주한다. 과거의 것들은 긍정성을 지니고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 현재와 미래보다 의미론적차원에서 우위를 점하게 되었다. 특히 과거-고향이 그렇다. 특권화된 과거-고향은 소파 고정점으로 기능하며, 의미화 차원에서 일종의 심급으로 작용했다. 그것은 현재-고향에 대한 비판의 준거가 되었다. 과거-고향이 특권화됨에 따라 고향은 세 가지 분열상으로 나타났다. 첫 번째는 전쟁 이전의 과거-고향이다. 그곳은 지금은 상실한 본원적인 `나`가 존재하는 장소로서 자기동일성의 실현이 가능한 장소이다. 두 번째는 전쟁 이후의 과거-고향이다. 이곳은 비록 자기동일성에 균열이 발생했지만 전후 복구 가능성으로 말미암아 복원에 대한 기대가 충만한 장소이다. 세 번째는 근대적 상징 질서에 의해 재편된 현재-고향이다. 흥미로운 것은 전쟁 전의 과거-고향이 그리움의 대상이지만, 이문구와 『관촌수필』은 전쟁 후의 과거-고향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관촌수필』에서 `할아버지`는 `시원적 아버지`로서 기능한다. 그는 주체의 부재를 증명하는 환상을 매개로 등장한다. 할아버지는 `나`의 자기동일성으로서의 향락과 결부되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할아버지의 세계를 따르겠다는 `나`의 선언은 일종의 자기동일성에 대한 요구로 해석된다. 할아버지가 담지한 지혜와 예도, 그리고 인정은 `나`의 자기 구성요소인 동시에 공동체를 지지하는 핵심요소이다. 특히 인정은 소파 고정점으로 기능하며, 이른바 인정주의로서 공동체를 꾸리기 위한 공생의 윤리와 나눔의 실천을 의미한다. 할아버지 외에도 `나`의 정체성을 보증하는 인물로서 `석공`과 `옥점이`가 있다. 이 인물들의 공통점은 근대화의 흐름과 무관하게 변하지 않는 모습과 행동을 보여주는 데 있다. 그들은 모두 공동체 지향적일 뿐만 아니라 과거-고향의 가치와 행위 가능성이 일치되어 있다. 그런데 이들의 서사에는 일종의 물신주의적 부인이 발견된다. 그것은 “그/그녀들은 노스탤지어로서의 고향이 복원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지만 마치 그것이 가능한 것처럼 행동할 것이다”로 요약된다. 이러한 이데올로기의 재현은 농어촌과 고향의 존속을 위한 이문구의 전략으로 읽힌다. 그는 현실성을 담지한 인물형을 창조하는 데에 역점을 두는 게 아니라 손상된 공동체를 복원할 수 있는 힘을 지닌 상징적인 인물을 구축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Since the early 1970s, the position of the hometown has changed with the emergence of a binary opposition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in Korean novel. Lee-moon-goo is not an exception. His serial novel, 『Gwanchon Supil』 is located in the flow of change. In this novel, unlike before, the hometown of nostalgia is introduced. This article reconsidered its meaning after analyzing the hometown that he created to understand his attitude change to his hometown and rural areas. Lee Moon - goo made narrative of the past experience through 『Gwanchon Supil』. Through his reminisce, he positively faces the past. As the value of the past has increased, it has become more dominant in semantics than present and future. Especially the past - home. The privileged past - hometown functions as a point de capiton and it acted as a sort of instance in the level of meaning. It became a criteria of criticism of the present-hometown. As the past-hometown became privileged, the hometown appeared in three divisions. The first is the past - the hometown before the war. It is a place where the original `I`, which is now lost, exists. And it is a place where self - identity can be realized. The second is the past - the hometown after the war. This is where self - identity cracked. However, it is a place full of anticipation for restoration due to recoverability. The third is the present-hometown reorganized by the modern symbolic order. What is interesting is that the past-hometown before the war is longing for, but 『Gwanchon Supil』 is highlighting the past-hometown after the war. In 『Gwanchon Supil』, `Grandfather` functions as a `primitive father`. He emerges through the illusion of proving the absence of subject. Grandfather is associated with the pleasure of my self - identity. Then the declaration of `I` to follow Grandfather`s world is interpreted as a kind of demand for self-identity. The wisdom, example, and acknowledgment carried by my grandfather is a self-component of I and a key element in supporting the community. In particular, warmth serves as a point de capiton and means the practice of symbiosis ethics and sharing in order to build a community as a paternalism. In addition to his grandfather, there are `Suk-gong` and `Ok-jum`, which guarantee the identity of `I`. The common features of these characters are to show their unchanging form and behavior regardless of the flow of modernization. They are not only community-oriented, but are also consistent with past-home values and behavioral possibilities. However, their narratives are found to deny a kind of fetishism. It is summarized as "he / she knows well that his hometown as nostalgia can not be restored, but it will act as if it is possible". This representation of ideology is read by Lee Moon-gu as a strategy for the survival of rural areas and hometowns. He does not emphasize the creation of realistic character figures but seems to have built a symbolic figure with the power to restore damaged communities.

      • KCI등재후보

        일제 암흑기 만보산사건과 소설적 재현 양상 연구

        용석원(Yong Seok Wo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통일인문학 Vol.50 No.-

        한국 근대문학사에 있어서 일제 암흑기 문학은 하나의 공백으로 자리한다. 그리고 이를 개진하기 위한 다분한 논의가 있었다. 재만문학과 탈식민주의 연구가 그것이다. 본 연구 역시 그러한 논의의 한 연장이다. 만보산사건은 일제말기 조선과 조선인들이 딛고 선 동북아시아의 좌표와 위상을 살펴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간헐적이지만 지속적으로 다루어져 왔다. 본 연구는 우선 만보산사건 자체에 주목함으로써 일제 암흑기의 동북아시아에서 조선인들이 인식한 자신들의 국제적인 위상이 어떠한 것인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만보산사건은 일제의 대륙침략의 구실과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정치·외교적인 책략이었다. 만주로 이주한 조선인들은 일본의 이중국적정책에 의하여 모호한 국적에 놓임에 따라 3중, 4중에 걸친 억압과 수탈을 받을 수밖에 없는 존재가 되었다. 만보산사건은 이러한 조선인의 국제적 위상을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민족적 비극이라 치부할 만한 만보산사건은 발생 직후에는 국내에 큰 반향을 일으키지 못했다. 이후 10년이라는 세월이 흘러서야 호명되기에 이른다. 이 시간적 거리는 민족 정체성과 디아스포라로서의 삶에 대하여 당대 지식인들로 하여금 성찰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리고 그 사유물이 이태준의 〈농군〉과 안수길의 〈벼〉인 것이다. 만보산사건에 대한 소설적 재현에 있어서 두 소설은 상이한 양상을 취한다. 이태준의 〈농군〉의 경우, 소설적 재현을 거친 만보산사건은 실제 사건과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조선인의 만주 이민사에 있어서 강제 이주의 시기에 발생한 만보산사건을 〈농군〉에서는 그 이전의 시기인 탄압기로 설정한 것이 그 하나이다. 또 다른 하나는 중국 정부와 일본 정부 간의 분쟁인 만보산사건을 중국 농민들과 조선 농민들 간의 갈등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만주를 탐방하였던 이태준이 이처럼 만보산사건을 왜곡한 이유는 창작 당시의 검열을 의식한 결과로 이해된다. 그런 까닭에 〈농군〉은 만보산사건을 다루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증언문학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지 않다. 그 대신타국에서 직면하게 된 생존의 문제에 대하여 능동적이고 강인하게 대처하는 조선의 농민상을 제시하고 있다. 반면 안수길의 〈벼〉는 당시 동북아시아의 정세를 반영함으로써 역사적 기록에 가깝게 만보산사건을 재현하고 있다. 이것은 〈벼〉의 결말이 실제 만보산사건과 맥을 같이한다는 점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따라서 〈벼〉는 만보산사건이 배면에 깔고 있는 조선·중국·일본 간의 정치·외교적인 역학관계를 적극적으로 반영한 소설인 것이다. 당시 재만 조선인들은 일제의 이중국적정책에 의하여 정치적으로 종국인인 동시에 일제 황국의 신민이기도 하며, 그러면서도 심정적으로는 조선인이라는 미묘한 위치에 놓여 있었다. 〈벼〉는 당대 재만 조선인들의 미묘한 국제적 위상을 재현함으로써 한국적인 디아스포라의 위상과 비애를 형상화하고 있다. Japanese colonial dark ages were a gap in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of Korea. There was a discussion to express this point. It resulted in the literature of Korean residents in Manchuria and de-colonialism studies. And this study is an extension of such studies. Manbosan Affair has been intermittently but continually dealt with because it provides a view on the coordinate and status of Northeast Asia on which Joseon and Joseon people stepped in the late Japanese imperialism.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national status of Joseon people perceived by themselves in Northeast Asia of dark ages by focusing on the Manbosan Affair. The Manbosan Affair was a political diplomatic intrigue to prepare the excuse and foundation of Japanese imperialists’ invasion into the continent. Joseon people who moved to Manchuria had vague nationality due to Japan’s dual nationality policy and so they had to receive triple or fourfold suppression and exploitation. Manbosan Affair which can be regarded to be ethnic tragedy did not arouse big echo when it happened. It could be called after 10 years had passed by Joseon’s writers of the time. Manbosan Affair would trigger critical mind to the intellectuals of that time regarding ethnic identity and the life as immigrants. And the thought was embodied in <Nonggun> -farmer- by Lee Tae Jun and <Byeo>-rice- by Ahn Su Gil. In the novelistic reproduction of Manbosan Affair, two novels take different attitudes. In case of <Nonggun> by Lee Tae Jun, reproduced reality is quite different with actual case. One of the differences, it sets up the time of Manbosan Affair, which actually happened in the time of forced immigration of Joseon people to Manchuria, into the previous time of suppression. For another difference, it treats the Manbosan Affair, which was dispute between Chinese government and Japanese government, as the conflict between Chinese farmers and Joseon farmers. It is understood that Lee Tae Jun, who visited Manchuria, distorted Manbosan Affair being aware of censorship. For such a reason, <Nonggun> does not have a characteristic of testimony literature even though it deals with Manbosan Affair. Instead, it suggests Joseon’s farmer image who strongly and actively handles the direct issue of existence away from home. On the other hand, <Byeo> by Ahn Su Gil reflected the situation of Northeast Asia of that time and reproduced Manbosan Affair similar to the historic record. It is clearly revealed that the ending of <Byeo>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the actual Manbosan Affair.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novel <Byeo> actively reflected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dynamics among Joseon, China and Japan reflected by Manbosan Affair. In that time, Joseon residents in Manchuria, due to the Japanese Empire’s dual nationality policy, politically belonged to China and subjects to Japanese Empire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they found themselves on delicate situation of being Joseon people in their mind. This way, <Byeo> reflected delicate international status of Joseon residents in Manchuria of that time embodying the status and sorrow of Korean diaspora.

      • KCI등재후보

        유신시대 ‘창녀·호스티스’ 서사의 의의

        용석원(Yong, Seok-won)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2 No.-

        유신체제기에 특이한 문화현상이 있다. 서사물의 제재로서 ‘창녀ㆍ호스티스’가 대유행을 한다. 교양과 문화로서의 문예에 대한 대중의 욕망과 서사시장의 조응, 지원 제도를 통한 정부의 문화산업에 대한 권력 행사 등이 창녀ㆍ호스티스 영화의 장기적 대유행을 어느 정도 규명해준다. 하지만 정작 이들은 왜 창녀ㆍ호스티스를 관심 제재로 다루었는지에 대해서는 답해주는 바가 없다. 이 글은 창작주체로서 신세대작가와 『영상시대』 동인이 창녀ㆍ호스티스에게 주목한 이유와 대중에게 재현상을 제시한 목적과 의도를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글은 서사물에서 창작주체가 발견한 창녀ㆍ호스티스의 특질을 살피고, 이를 규정한 의미 지평을 재구한다. 조선작은 창녀ㆍ호스티스를 통해 당대 변두리성의 모방과 끝나지 않는 상경을 재현한다. 이는 당대 사회적 현실에 대한 비판인 동시에, 타자로서 하위주체의 행위 가능성과 변두리에 대한 의미론적 잠재력을 매개로 새로운 권력이 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한 것으로 평가된다. 조선작이 재현한 상경, 즉 하위주체와 변두리는 당대 민족주의와 민중주의, 리얼리즘 등이 권력 공간의 구성 논리로 기능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한 것이다. 김호선ㆍ김승옥의 영화는 상경자로서의 창녀ㆍ호스티스를 성적 개방성을 지닌 청순가련형 여성으로 재현한다. 이는 고전소설과 신소설, 신파극, 그리고 대중소설로 이어지는 청순가련한 여성의 수난과 악인의 갱생을 모티프로 활용한 결과로 보인다. 익숙한 재현 양상이 가져오는 서사에 대한 관객의 자발적 불신의 중지는 영화의 주요 서사 요소보다 배경에 위치한 개방적 성문화를 전면화시킨다. 이는 당대 권력의 주요 독트린인 남성주의, 권위주의 등에 도전하기 위한 전략적 행위로 읽힌다. 성을 매개로 한 기성질서에 대한 저항은 1940~50년대 서구사회에서 유행한 성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보인다. 그렇다고 단순히 서구 사조의 추수는 아니다. 이는 일종의 경험 방식을 바꾸자는 시도로 보인다. 특히 창녀ㆍ호스티스 영화가 그렇다. 모든 영화가 서사적 인과성과 현실적 개연성을 무시한 채 해피엔딩으로 결말을 이룬다. 이는 상경자의 욕망인 정착에 대한 상연이다. 상경자로서 관객은 해피엔딩을 통해 그 자체로 불만족의 표현인 욕망, 이른바 정착의 불가능성을 목도함으로써 자기 의미, 즉 정체성을 재확인한다. 결과적으로 상경자이자 대중인 관객은 창녀ㆍ호스티스 서사물을 통해 정착에 대한 자기 욕망을 집단적 차원에서 확인하는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존재의 불안을 감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신의 행위 가능성을 자각하고 구체적인 실천을 매개로 자기 욕망의 진실을 깨달을 수 있는 계기를 가지게 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