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사진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 혼합연구 -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중심으로

        왕붕,김현미 (사)한국예술치료학회 2023 한국예술치료학회지 Vol.23 No.2

        본 연구는 사진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에서 집단미술치료가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를 SPSS 26.0 프로그램으로 검증하고 추후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를 통해 그들이 경험한 것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에 있는 2개 대학, 부산, 공주, 대구, 전주 각각에 있는 1개 대학에 재학 중인 재한 중국인 대학원생 24명 중 두 집단으로 구성된 실험집단 A, B에서 회기에 온전히 참석한 8명을 임의추출하고 그들의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이후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전, 사후검사에서 점수 차이가 많은 3인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에 따른 질적 분석을 시도하였다. 사진을 활용한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는 주 2회, 회기 당 90분씩 총 8회로 2023년 6월 30일부터 7월 26일까지 약 한 달간 연구자가 아닌 미술치료사가 진행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실험집단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측정도구 사후검사의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인 지각된 차별감, 향수병, 지각된 적대감, 두려움, 문화적 충격, 죄책감, 기타 모두에서 유의미한 감소가 나타나 비대면 집단미술치료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 효과가 있었다. 둘째, 개방 코딩 분석 과정을 통해 ‘회기에 점진적으로 적응해 나아감’,‘사진의 장점을 활용하여 쉽게 표현하는 자유를 누림’,‘사진을 통해 잊었거나 놓쳤던 것들이 되살아나며 새로운 의미가 됨’,‘집단미술치료 회기에서 연결감과 위로를 얻음’,‘나를 새롭게 보고 미래를 꿈꾸는 힘을 얻게 됨’으로 5개의 상위 범주, 12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 KCI등재

        베트남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의 입지결정요인 변화에 관한 연구

        왕붕,박준호,강명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4

        현재 베트남은 과거의 중국과 유사한 사회주의 체제 하에 시장경제를 도입하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현재 베트남 등의 개발도상국으로 진출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고 있는 기업과 같은 패턴을 보이며 투자를 철회할 수 있음을 내포하고 있다. 즉, 국내 기업의 베트남 진출에 있어 과거 중국시장에서와 같은 실패경험을 답습하지 않고 성공적으로 진출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현지시장에서의 전략적인 입지선택이 중요한데, 이는 향후 베트남이 발전함에 따라 현재의 투자환경은 중국과 마찬가지로 변화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여건 하에 현재 베트남의 경제성장을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외 다국적 기업의 투자 비율이 가장 높은 하노이와 호치민시를 중심으로 한국 기업의 분포 패턴 및 입지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것은 베트남 시장을 이해하는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하노이와 호치민시는 각기 자본주의와 공산주의 체제를 기반으로 성장한 도시로써 서로 다른 투자환경과 시장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향후 진출하는 한국기업의 입지 선정에 있어 지역별 투자여건에 대한 단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나아가, 최근의 세계화 과정 속에서 국가의 특성도 중요하지만, 최종적으로 기업이 입지할 도시 및 지역의 특성 또한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우선적으로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입지 패턴이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 종단연구를 통해 그 특성의 변화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베트남, 특히 호치민과 하노이를 중심으로 그 지역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러한 지역적 특성과 한국 기업들의 진출과의 관계를 입지 결정 요인을 중심으로 실증적으로 분석할 것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과제는 다음 몇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하노이와 호치민시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분포 패턴에 대해 분석하고 시계열적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산업분포의 집적도를 분석한다. 둘째, 세계경제의 산업 구조 변화와 거시경제 동향을 기준으로 기간을 구분하여 시점별 하노이와 호치민시에 진출한 한국 기업의 입지 결정 요인에 대해 분석한다. 셋째 산업별 입지 결정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다변화 하고 있는 산업적 특성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rms’ location choice in Vietnam. The spatial pattern of Korean firms’ location in Vietnam began at the Hanoi and Ho Chi Min, the major cities in Vietnam.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Korean firms’ location expanded until 2000, but it shrank back to the top two major cities. Vietnam's socio-economic conditions change with economic growth and globalization and Korean firms’ structural change with globalization and ICT technology have changed Korean firms’ location pattern over the last two decades. Low cost was highly important factor at the beginning, but agglomeration externalities became important factor now a days. Before 2000 Vienam’s major locational advantage was viewed as a good consumer market and low-cost labor-intensive manufacturing site. After 2000, as global economy bounce back from Asia financial crises, Vietnam’s agglomeration economy sta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Hanoi has an advantage in low labor costs and abundant labor; Ho Chi Minh has an advantage in agglomeration of FDI 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 Korean firms tend to cluster around Hanoi and Ho Chi Minh more than before.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as firms can benefit from the agglomeration externalities.

      • KCI등재

        Power Distance in Hofstede and GLOBE

        왕붕,왕효기,서 경,권종욱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9 경영경제연구 Vol.41 No.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ofstede’s and GLOBE’s Power Distances us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es. The Hofstede PDI (Power Distance Index) and the GLOBE PD (Power Distance) a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concepts, definitions, structures and validity.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fstede PDI and GLOBE PD is empirically studied. We find that the Hofstede PDI and GLOBE PD are different in their measurements of the cultural dimension. However, the Hofstede PDI and GLOBE PDP (Power Distance Practices) have certain similarities when comparing external variables, while the GLOBE PDV (Power Distance Values) does not. The limitation is that our research data are based on secondary data from Hofstede and GLOBE. The data sources will correspondingly limit the research. Therefore, researchers should carefully select the Hofstede or GLOBE scores that are most suitable for their own research according to the true meaning and purpose of their research, which will allow researchers to more clearly, more accurately and more logically explain national cultures.

      • KCI등재

        베트남에 진출하는 한국 기업의 입지결정요인 변화에 관한 연구

        왕붕(Wang, Peng),박준호(Park, Jun-Ho),강명구(Kang, Myoung-Gu) 한국지역개발학회 2015 韓國地域開發學會誌 Vol.27 No.4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firms’ location choice in Vietnam. The spatial pattern of Korean firms’ location in Vietnam began at the Hanoi and Ho Chi Min, the major cities in Vietnam.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Korean firms’ location expanded until 2000, but it shrank back to the top two major cities. Vietnam’s socio-economic conditions change with economic growth and globalization and Korean firms’ structural change with globalization and ICT technology have changed Korean firms’ location pattern over the last two decades. Low cost was highly important factor at the beginning, but agglomeration externalities became important factor now a days. Before 2000 Vienam’s major locational advantage was viewed as a good consumer market and low-cost labor-intensive manufacturing site. After 2000, as global economy bounce back from Asia financial crises, Vietnam’s agglomeration economy sta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to attract foreign investment. Hanoi has an advantage in low labor costs and abundant labor; Ho Chi Minh has an advantage in agglomeration of FDI and infrastructure improvement. Korean firms tend to cluster around Hanoi and Ho Chi Minh more than before. This trend is expected to continue for the time being as firms can benefit from the agglomeration externalities.

      • KCI등재

        港口爲腹地運輸系統淺探

        왕붕(Wang Pong) 한국항만경제학회 1996 韓國港灣經濟學會誌 Vol.12 No.-

        In this thesis the importance of harbour gathering and dispatching transport system is studied. The distribution of the comprehensive transport network of hinterland concerning about the port is offered. An effective method to research on harbour transport system---system dynamics.

      • KCI등재

        중국 중소제조기업의 환경지향성과 기업성과간의 관계에서 친환경공급사슬관리와 환경기술혁신의 매개 효과에 관한 연구

        왕붕 ( Wang Peng ),김문홍 ( Moon-hong Kim ) 한국유통경영학회(구 한국유통정보학회) 2018 유통경영학회지 Vol.21 No.5

        본 연구는 환경지향성의 개념을 도입하여 중국 중소제조기업의 환경지향성과 기업성과간의 관계에서 친환경공급사슬관리와 환경기술혁신의 매개효과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본 연구의 범위는 중국의 산동성에 위치한 중소제조기업 위주로 414개 기업을 직접 방문하여 조사하였고 이상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기업의 자료는 제외하였다. 응답기업 중에서 최종적으로 379개의 응답을 실증분석에서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가설검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환경지향성과 기업성과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서는 환경지향성이 친환경공급사슬관리와 환경기술혁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지향성은 환경성과와 경영성과에도 정(+)의 영향을 미친다. 친환경공급사슬관리 및 환경기술혁신은 환경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다. 친환경공급사슬관리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환경기술혁신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분석에서는 친환경공급사슬관리와 환경기술혁신은 환경지향성이 환경성과에 미치는 영향경로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경로에서 친환경공급사슬관리와 환경기술혁신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orientation and corporate performance of Chinese small and medium - sized manufacturing enterprises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environment orientation. The scope of this study was made by visiting 414 small and medium manufacturing enterprises mainly located in Shandong province, China. Companies which are judged with abnormal values are exclude by the sources. Finally, 379 responses among the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ing were obtaine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Environmental orientation positively affects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implementation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innovation. Also, environmental orientation directly affects environmental performance and management performance. The implementation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innov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implementation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has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mediating effect analysi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innovation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tendency of environmental orientation toward environmental performance. The effect of environmental orient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was found to have no mediating effect on green supply chain management implementation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innovation.

      • KCI등재

        Power Distance in Hofstede and GLOBE

        Peng Wang(왕붕),XiaoQi Wang(왕효기),Jing Xu(서경),Jong-Wook Kwon(권종욱)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19 경영경제연구 Vol.41 No.4

        본 논문의 목적은 Hofstede와 GLOBE의 권력거리 문화차원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분석해보는 것이다. Hofstede와 GLOBE의 권력거리 문화차원은 동일한 문화차원으로 알려져 있지만 측정방법, 측정문항 등이 상이하여 이 두 가지 차원이 동일한 것을 간주해야 하는지 아니면 상이한 것인지 혼란스러운 상황이다. 따라서 Hofstede와 GLOBE의 권력거리 문화차원을 개념, 정의, 구조 차원에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 두 가지 차원은 유사성도 있지만 상이성도 있음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결과변수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해서 사용할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Hofstede’s and GLOBE’s Power Distances using theoretical and empirical analyses. The Hofstede PDI (Power Distance Index) and the GLOBE PD (Power Distance) a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concepts, definitions, structures and validity. Nex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fstede PDI and GLOBE PD is empirically studied. We find that the Hofstede PDI and GLOBE PD are different in their measurements of the cultural dimension. However, the Hofstede PDI and GLOBE PDP (Power Distance Practices) have certain similarities when comparing external variables, while the GLOBE PDV (Power Distance Values) does not. The limitation is that our research data are based on secondary data from Hofstede and GLOBE. The data sources will correspondingly limit the research. Therefore, researchers should carefully select the Hofstede or GLOBE scores that are most suitable for their own research according to the true meaning and purpose of their research, which will allow researchers to more clearly, more accurately and more logically explain national cultures

      • KCI등재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and Cultural Distance

        Peng Wang(왕붕),Yong-Feng Zhang(장영봉),Jong-Wook Kwon(권종욱) 충남대학교 경영경제연구소 2021 경영경제연구 Vol.4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언어적거리와 문화가치관 차이의 관계를 분석하여 언어적 거리가 문화가치관을 대체하여 사용 가능한지를 분석해보는 것이다. 기존 연구에서 문화가치관 차이는 홉스테드 모형을 활용하고 있지만 IBM이라는 단일 기업측정과 이론적 기반이 부족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대규모 국가간 가치관 차이 분석은 비용이 많이 들고 비교 경영론적 방법론도 까다롭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West & Graham (2004)의 연구를 기초로 몇 가지 차별적인 노력을 추가하였다. 조사 대상 국가를 95개 국가로 확대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를 조사하여 언어거리를 측정하는 다양한 측정방법을 본 연구에 적용시켜 보았다. 언어거리를 측정하는 기준 언어에 따라 결과가 달라질 수도 있다, 따라서 영어 외에도 독일어, 네덜란드어, 아랍어, 중국어 일본어를 기준으로 언어별 거리를 측정하여 추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적거리가 문화가치관 차이를 반영해주는 적절한 대리변수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후속연구에서 언어거리의 활용성을 높여주었고 해외진출 다국적기업에게 의미이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distance and the difference in cultural values, so as to explore whether linguistic distance can be used as a substitute for cultural values. In the previous study, the difference in cultural values is using the Hofstede model, but it is pointed out that there is insufficient theoretical background and data from only single enterprise. In addition, analysis of large-scale multinational values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s expensive and the comparative management methodology is also difficult. Under this context, this study extended West & Graham (2004)’s work. The surveyed countries were expanded to 95 countries. In addition, various measurement methods for measuring linguistic distance were applied to this study. Meanwhile, additio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measuring the distance including German, Dutch, Arabic, Chinese and Japanese besides English. Research results have indicated that linguistic distance can be a proxy variable that reflecting differences in cultural values. Therefore, it has improved the utility of language distance in subsequent studies so that providing meaningful basic data for multinational enterprises expanding overseas.

      • KCI등재

        The Effect of Individual’s Personal Characteristics,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Adaptive Flexibility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Peng Wang(왕붕),JuSung Jun(전주성)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8 Global Creative Leader Vol.8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which variables affect the adaptive flexibility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This study focuses on two research questions: (1) How do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individual’s person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adaptive flexibility of Chinese students in South Korea? (2) Are there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daptive flexibility amongst China students in South Korea in accordance with differences in individual’s personal characteristics? Two hundred and five students from S University, including undergraduates, graduate students, exchange students and langua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questionnaire to measure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daptive flexibility scales.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own-way ANOVA were conducted.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both affected the adaptive flexibility of Chinese students. Second, there are mean differences in social support, self-efficacy, and adaptive flexibility by gender, age, ethnicity, educational level, and TOPIK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대학에 재학중인 중국 유학생들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는 첫째, 사회적지지, 자기 효능감 및 개인 특성이 중국 유학생들의 적응유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성별, 연령, 민족, 교육 수준 및 TOPIK 수준에 따라 중국 유학생의 사회적지지, 자기효능감 및 적응유연성에 차이가 있는가? 등이다. 연구자료는 서울 소재 S 대학에 재학중인 중국인 학부생, 대학원생, 교환학생 및 언어연수생 205명으로부터 얻었다. 연구자료 분석은 상관 분석, 다중회귀분석, 두 독립집단 t-test와 일원 분산분석을 이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지지와 자기효능감 은 중국 유학생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사회적 지원, 자기 효능감은 적응유연성이 성별, 나이, 민족, 교육 과정, 그리고 TOPIK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