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Case Report of Hyperhidrosis with Sympathicotonia Detected by Iris Diagnosis

        왕경석,채인철,박미소,손수아,박성일,유호룡,Wang, Kyeong-seok,Chae, In-cheol,Park, Mi-so,Son, Su-a,Park, Seong-il,Yoo, Ho-ryong The Society of Internal Korean Medicine 2021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42 No.5

        목적: 국소다한증 환자의 홍채진단을 사용한 변증 및 한의 치료에 대한 연구 방법: 국소다한증을 호소하여 내원한 환자에게 한의학 기본 진단법인 사진법을 사용하여 태음인임을 진단하였다. 그리고 카메라를 사용하여 홍채를 촬영하였고, 얻어진 이미지에서 교감신경항진과 관련된 표지인 권축륜의 선명하고 굵은 모습과 다수의 신경긴장선이 존재하는 모습을 통해 교감신경이 항진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태음인 체질방을 기본으로 교감신경 항진을 조절하는 약재를 가미한 한약처방을 1개월간 복용하도록 하였다. 결과: 다양한 치료에도 호전되지 않던 30년 가까이 된 수족 다한증이 한약치료를 통해 복약 4일차부터 감소하기 시작하여 6주 만에 치료 시작 전과 비교하여 80% 호전되었다. 결론: 만성적이고 다양한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던 수족 다한증에 한약 치료가 효과적일 수 있음을 이번 연구를 통해 보고한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case study was to describe a case of iris diagnosis of primary hyperhidrosis and the use of Korean medicine. Methods: A patient with symptoms of hyperhidrosis was diagnosed as having Taeeumin after assessment using the four basic Korean diagnostic methods. Iris diagnosis was used for further examination. The images obtained showed a remarkably defined collarette and increased nerve rings, which suggested an overactive sympathetic nerve system. Under the diagnosis of Taeeum, a Korean herbal medicine was prescribed with additional herbs to help alleviate the hyperactivity of the sympathetic nervous system. Results: The patient had been receiving treatment for hyperhidrosis for >30 years, with various medical attempts to relieve her symptoms, which were ineffective. She showed signs of improvement from day 4 into the treatment, and 80% of her symptoms were improved after completing a 6-week treatment course. Conclusion: The herbal medicine prescribed to the patient proved effective for reducing her chronic symptoms that had been unresponsive to previous medical treatments.

      • KCI등재
      • KCI등재

        통증관련 단어에 대한 주의편향이 만성통증 환자의 일일 통증강도와 일상기능 관계에 미치는 영향: 일지연구

        김혜지,정윤희,왕경석,조성근 한국건강심리학회 2020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5 No.5

        Attentional bias is a selective attention to specific information in the environment 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engagement and disengagement.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se two types of attentional bias impact the development and maintenance of chronic p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f the type of attentional bias in patients with chronic pain has a differential impact on their daily function. We recruited 33 patients with chronic pain in the Oriental medical clinic. The subjects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then performed an engagement-disengagement task involving pain-related and neutral word pairs and eye tracker. They completed the online diary for 14 days from the day following the task.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HLM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when the subjects’ engagement with pain-related words was slow, the greater the intensity of pain, the greater the avoidance of daily activities. Also, when the subjects’ disengagement from pain-related words was rapid, the greater the intensity of pain, the greater the avoidance of daily activities. Additionally, when the subjects’ attentional maintenance in pain-related words was longer than in the neutral words, the greater the intensity of pain, the greater the distractibility of daily activities.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type of attentional bias in chronic pain patients has different impacts on their daily func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atients with chronic pain who slowly engage with or quickly disengage from pain-related words may have difficulties in different areas of their daily function. 통증이 있는 경우, 위협이 되는 자극에 주의를 과도하게 지속하거나 회피하는 것은 통증을 만성화시키는 데 취약성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주의편향 유형이 만성통증 환자의 일일 통증강도와 일상기능의 관계를 차별적으로 조절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이에 대전 소재 한의원에서 만성통증 환자 41명을 모집했다. 연구 참여자는 설문지 작성 후, 아이트래커(eye-tracker)를 통해 주의개입-주의이탈 과제를 수행했고, 이후 14일 동안 매일 통증일지를 작성했다. 수집된 데이터를 HLM(Hierarchical Linear Modeling) 통계 프로그램으로 다층분석한 결과, 일일 통증강도와 일일 활동회피, 일일 집중곤란 간 주의편향의 조절효과가 유의했다. 구체적으로, 지속 주의과정에서 통증관련 단어를 느리게 응시하거나 빠르게 이탈할 때, 일일 통증강도가 높을수록 일상에서 활동을 더 많이 회피했다. 또한 통증관련 단어를 중립단어보다 오래 응시할 때, 일일 통증강도가 높을수록 일상에서 집중을 더 어려워했다. 반면, 초기 주의과정에서는 주의편향이 일일 통증강도와 일일 활동회피, 일일 집중곤란 간의 관계를 조절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만성통증 환자의 주의편향과 일일 통증강도, 그리고 일상기능 간의 관계를 보여주며, 만성통증의 예방 및 관리 개입에 대한 방향성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