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태원지>와 <경화연>의 해양 탐험담 비교 연구

        오화 한중인문학회 2014 한중인문학연구 Vol.42 No.-

        본고에서는 장서각본 소설 <태원지>와 중국 청나라 때 소설 <경화연>의 해양 탐험담에대해 비교 연구를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서 비슷한 시기에 향유되었던 두 작품의 해양 탐험양상을 고찰하고 해양 탐험담에 담겨진 두 나라 사람들의 인식 지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태원지>와 <경화연>의 해양 탐험담 개관을 살피면서 예비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다음으로 해양 탐험의 내용을 동기, 과정, 결과 세 부분으로 나누어 해양 탐험 양상을 살폈고 유사성과 변별성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해양 탐험담에 나타난 인식 지향을 밝혔다. 두 작품의 주인공들은 해양 탐험 초기에는 모두 중국 중심의 세계 인식을 기본으로 하고 있었다. 하지만 해양 탐험을 거쳐 <태원지>에서는 중화권을 벗어난 새로운 세계를 지향하고 있으며 그 세계와의 소통의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 이와 달리 <경화연>의 해양 탐험담은 여전히 중화주의인식을 고수하면서 기존 문화에 대한 자기반성과 비판 의식이 내재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In this work i shall compare the version of Taewonji sotred at the royalarchives in Korea and the chinese Qing writing Kyeonhwayeon. Through thiscomparative approach i will try to outline the peoples understanding of oceanexploration in both Qing China and Choson. First of all I shall collect all mygeneral observations of the outline to get a overall view. As next step I shalldivide the content of both into intention, process and result to understand thegeneral differnces and similarities. And lastly I tried to clarify how the oceanexploration was understood. In both novels the main characters are inmersedin a mainly chinese dominated world view and cultural background. Butthrough the ocean exploration the the original woldview is shattered and atransfer to a new understanding is beginning. Differently from thatChina-centered worldview in Kyeonhwayeon, some very intersting alterationsoccur in a rather critical and selfreflective way.

      • KCI등재
      • KCI등재

        <유소랑전>의 국적 문제에 대한 고찰

        오화 ( Hwa Woo ) 한민족어문학회 2014 韓民族語文學 Vol.0 No.67

        본고는 『신독재수택본 전기집(愼獨齋手澤本傳奇集)』에 유일본으로 전해지는 <유소랑전(劉少娘傳)>의 국적 문제를 검토하여 이 작품이 한국 소설임을 밝혔다. <유소랑전>은 기존 연구에서 원작의 출처나 원천을 중국에 두고 있다고 논의된 바 있는데 그 근거들을 검토한 결과 아직 국적 문제를 단언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또 중국 문헌에서 <유소랑전>과 유사하거나 혹은 원천이 될 수 있다고 확정할 수 있는 작품이나 관련 기록도 찾을 수 없는데 <유소랑전>의 국적 문제는 재론의 여지가 충분해 보인다. <유소랑전>의 국적 문제를 분명히 밝히기 위해서 본고에서는 텍스트에 주목하여 공간 배치 양상과 호칭 및 어휘 사용 면에서 단서를 찾아보았다. <유소랑전>의 공간 배치 양상은 중국의 실제 지리적 공간과 상당한 차이가 있다. 소설에 나오는 ‘남토(南土)’, ‘남주(南州)’, ‘남중(南中)’, ‘월계(越溪)’, ‘금릉부(金陵府)’와 같은 지명이나 명칭에 대한 작가의 착오적 인식, 광동(廣東)에서 남녕(南寧)까지 가면서 꼭 절강(浙江)과 금릉(金陵)을 경유해야 한다는 중국의 실제와 부합되지 않는 이동 경로 등을 고려해 볼 때 <유소랑전>의 작가는 중국의 지리·역사적 배경에 익숙하지 못한 외국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유소랑전>에 나오는 호칭과 어휘 중에는 중국의 언어적 관습에 부합되지 않는 부분들이 많이 보인다. 소설에서 유소랑은 자신을 겸칭하면서 ‘소녀(少女)’와 ‘소제(少弟)’라는 표현을 쓰고 있는데 이는 중국의 언어적 관습에 맞지 않는다. 이외에도 소설에는 ‘가돈(家豚)’, ‘노청(老靑)’, ‘제필출취침차(祭畢出就寢次)’ 등 중국의 언어적 관습과 차이를 보이는 어휘나 표현들이 많다. 이런 한국적 색채가 짙은 어휘와 표현들은 <유소 랑전>이 충분히 한국 소설일 수 있다는 실증적 증거가 된다. This study discussed the nationality issue of <Yusorangjeon (劉少娘傳)>, which is the only existing piece of 『 Sindokjaesutaekbon Jeongijip (愼獨齋手澤 本傳奇集)』 , to clarify that this novel is a Korean novel. Preceding studies have discussed that the source or origin of <Yusorangjeon> is China, but the evidence of those studies were not enough to conclude the nationality issue. Also, there is no piece or related record found in the Chinese literature that is similar to <Yusorangjeon> or can be its source. Therefore, the nationality issue of <Yusorangjeon> shall be rediscussed. In order to clarify the nationality issue of <Yusorangjeon>, this study concentrated on its text to explore the arrangement of space, names, and use of vocabularies for evidence. The arrangement of space in <Yusorangjeon> is considerably different from the actual geographical spaces of China. Considering the author``s misunderstanding of the names of places, such as ‘Namto (南土)’, ‘Namju (南 州)’, ‘Namjung (南中)’, ‘Wolgye (越溪)’, and ‘Geumneungbu (金陵府)’ in the novel, and the route of travel that does not match the actual route of China, e.g., Jeolgang (浙江) and Geumneung (金陵) must be passed to travel from Guangdong (廣東) to Namnyeong (南寧), it was found that the author of <Yusorangjeon> is a foreigner who is not familiar with the geography or history of China. Also, many names and vocabularies in <Yusorangjeon> do not match the linguistic customs of China. Yusorang in the novel call herself ‘Sonyeo (少女)’ and ‘Soje (少弟)’, but these expressions do not match the linguistic customs of China. Other vocabularies and expressions that do not follow the linguistic customs of China include ‘Gadon (家豚)’, ‘Nocheong (老靑)’, and ‘Jepilchulchui chimcha (祭畢出就寢次)’. These vocabularies and expressions that reflect Korean character are substantial evidence tht <Yusorangjeon> can possibly be a Korean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