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착식 후 설치 앵커로 연결된 캔틸레버보에 대한 실험적 평가

        오홍섭,박성락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학회 2011 한국구조물진단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Vol.2011 No.9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expanded sidewalks for bridges within the country. This paper deals with how to optimize the sections of existing cantilever part through the evaluation study of the structured behavior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sections is established and the cost cutting of the volume for the unnecessary need of anchor bolts is expected. In its final analysis, it is supposed that there would be some possibilities to improve workability, safety, and economics compared to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s.

      • KCI등재

        차량 충돌을 받은 콘크리트 방호벽의 비선형 해석에 관한 연구

        오홍섭,김영환,심재원,오광진,Oh. Hongseob,Kim. Young Hwan,Sim. Jae-Won,Oh. Kwang-ChinJin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5

        도로방호시설의 설계는 차량과 탑승객의 안전뿐만 아니라 안전시설의 손상에 따른 이차 사고 역시 고려하여야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안전시설의 파괴현상에 대한 연구들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방호벽에 14ton 트럭 충돌 실험을 실시하고, 비선형 유한요소해석을 실시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콘크리트 강도 및 철망 보강과 같은 상세에 대한 변수해석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 콘크리트 방호벽 상면에 폭 50 cm, 높이 15 cm 정도의 파손이 발생하였으며, 해석에서도 실험결과를 잘 모사하였다. 다른 조건들에 대한 해석결과 콘크리트 강도가 높아질수록 방호벽의 손상 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철망의 보강 높이는 국부손상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Design of barrier should be consider the secondary accident caused by a fracture of road safety facilities as well as the safety of vehicles and passengers, but few researches have not conducted on the failure phenomenon of the safety facilities. In this study, the impact test of a 14-ton truck to a concrete barrier was conducted, and then analyzed non-linear behavior of a barrier by FEA. This work also investigates the fracture phenomena of concrete barriers on different detailing such as concrete strength and reinforcement of wire mesh. The collision tests revealed that local fracture with 50 cm in width and 15 cm in height was found in the upper part of a concrete barrier, and the result of analysis was well simulated the test. Also, the interpretations on the different parameters showed that, with respect to concrete strength, the higher the strength of a concrete barrier was, the lower the width of its local fracture and scaling damage was, and that the height of wire-mesh insignificant affected a reduction in local fracture width of a protection wall and its fracture height.

      • KCI등재

        공용중 교량 비파괴시험 결과에 기반한 경험적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방법의 제안

        오홍섭,오광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6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0 No.4

        Rebound hammer test, SonReb method and concrete core test are most useful testing methods for estimate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of deteriorated concrete structures. But the accuracy of the NDE results on the existing structures could be reduced by the effects of the uncertainty of nondestructive test methods, material effects by aging and carbonation, and mechanical damage by drilling of core. In this study, empirical procedure for verifying the in-situ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is suggested through the probabilistic analysis on the 268 data of rebound and ultra-pulse velocity and core strengths obtained from 106 bridges. To enhance the accuracy of predicted concrete strength, the coefficients of core strength, and surface hardness caused by ageing or carbonation was adopted. From the results, the proposed equation by KISTEC and the estimation procedures proposed by authors is reliable than previously suggested equation and correction coefficient. 반발경도법과 복합법에 의한 현장비파괴 시험과 코어강도의 평가는 노후화된 구조물의 상태평가를 위하여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러나 비파괴 시험방법의 불확실성과 함께 재료의 재령, 탄산화와 코어채취시의 물리적 손상 등에 의하여 현장강도 추정시의 정밀도를 낮추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106개 교량에서 수집된 268개의 비파괴시험결과와 코어압축강도 결과를 사용하여 현장 압축강도 추정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코어강도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하여 수정계수를 적용하고자 하였으며, 노후콘크리트의 반발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탄산화 또는 재령에 의한 수정계수를 적용하여 현장 강도 추정결과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KISTEC의 제안 추정식과 수정계수를 적용한 경우 기존의 추정방법과 비교하여 신뢰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비구속 파형강판 합성단면의 압축 및 휨 소성해석방법에 관한 분석

        오홍섭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22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6 No.3

        For the composite section of corrugated steel sheet and concrete, which is often used in soil structures, a conservative design method based on the ultimate strength state is still applied due to the difficulty of the analysis of compatibility condition. In this study, plastic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flexural and axial strength of the composite section using two limit state design methods, LRFD and LS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LRFD analysis value was interpreted as a conservative results for compressive strength, and it was analyzed that the effect of the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was greater than the steel ratio of the steel plate. The flexural strength was analyzed to be in good agreement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by the LSD analysis. From the parametric analysis on the design variables, the hogging moment, which is affected by the tensile strength of the steel plate, slightly decreased the increasing rate of the strength due to the influence of the bolts connection, but the sagging moment linearly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ment of steel reinforcement ratio. 지중구조물에 많이 사용되는 파형강판 콘크리트 합성단면은 단면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아직까지 보수적인 설계방법을 적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RFD와 LSD의 두가지 한계상태 설계방법을 사용하여 합성단면의 휨과 압축에 대한 소성해석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실험결과에 대한 분석결과 압축강도는 LRFD 해석값이 보다 안전측으로 해석되었으며, 강판의 강재비 보다는 콘크리트 압축강도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휨강도는 LSD에 의한 해석치가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강판 인장강도의 영향을 받는 Hogging moment는 연결부 등의 영향에 의해 강도증가율이 감소하였으나, Sagging moment는 강재비에 따라 선형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FRP 보강콘크리트 보의 휨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오홍섭,안광열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08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2 No.3

        혹독한 자연환경하에서의 구조물의 내구성이 주요한 관심사도 대두되면서 건설분야에서 섬유강화폴리머의 사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FRP bar를 휨부재의 휨보강근으로서의 적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휨실험을 수행하였다. 탄소섬유, 유리섬유 및 탄소와 유리섬유를 혼합한 hybrid 섬유 보강근을 사용하여 보강량을 변화시킨 12개의 실험체를 제작하여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그결과는 파괴형태, 모멘트-변위, 휨강도, 연성지수 및 단면에서의 변형율분포 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결과는 ACI 기준에 제시된 모델과 비교하였으며, 전체적으로 보의 휨강도는 강도설계이론에 의한 결과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처짐의 경우에는 유리섬유의 경우는 이론이 과대평가 되었으며, 탄소섬유는 과소평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use of fiber reinforced polymer (FRP) composites is significantly growing in construction and infrastructure applications where durability under harsh environmental conditions is of great concern. In order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FRP rebar as a reinforcement in flexural member, flexural tests were conducted. 12 beams with different FRP materials such as CFRP, GFRP and Hybrid FRP and reinforcement ratio were tested and analyzed in terms of failure mode, moment-deflection, flexural capacity, ductility index and sectional strain distribution. The test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theoretical model represented in ACI 440.1R06. Test results indicate that the flexural capacity of the beams reinforced by FRP bars can be accurately predicted using the ultimate design theory. They also show that the current ACI model for computing the deflection overestimates the actual deflection of GFRP series and underestimates the deflection of CFRP series.

      • KCI등재

        항만준설토 혼입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및 염소이온 투과저항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오홍섭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3

        Recently the dredged soil steadily increased due to the expansion and maintenance of harbour, but indirect environmental contamination problem might be raised because the most of dredged soil are dumped at the ocean or used as a backfill material. An utilization of dredged soil as a substitution material of fine aggregate were evaluated experimentally, bu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the material characteristic of dredged soil depending on the harbor location and seabed ground. Compressive strength test and chloride ion penetration test on the concrete in which two different dredged soils composed with silty sand and inorganic silt, respectively, are used as a substitution material of fine aggregate, are performed. The volume fraction of dredge soil and slag, and cement type are selected as experimental variables. From the test, the 28-day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mixed dredged was lower than normal concrete, while the 90-day strength is slightly higher than the normal concrete. The total passed charge of concrete with dredged soil is similar or slightly smaller than it of normal concrete. 최근 항만의 증설 및 정비 등에 의하여 준설토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나, 대부분 해양투기 또는 지반 성토재로 활용하고 있어 이차적인 환경오염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재료로서의 해양준설토의 활용가능성을 실험적으로 평가하고자 하였다. 항만준설토는 항만의 위치 및 해양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재료 특성을 일반화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각 실트질 모래와 무기질실트 성분의 준설토를 콘크리트에 잔골재 대체재로 혼입하여 압축강도 및 염소이온 투과시험을 수행하였으며, 잔골재 대체율과 시멘트 종류, 슬래그 혼입율을 실험변수로 하였다. 압축강도 실험결과, 28일 강도에서는 준설토 혼입 콘크리트의 강도가 낮았으나, 90일 강도는 일반콘크리트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염소이온 투과시험결과 준설토 혼입 콘크리트의 28일에서의 통과전하량은 일반콘크리트와 유사하거나 약간 작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 KCI등재

        급속 보수용 마그네슘 인산염 모르타르의 경화 및 강도특성

        오홍섭,이인희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9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23 No.3

        Damage to the pavement system due to various causes will be required rapid repair work for reopening the vehicle traffic. The magnesium oxide phosphate composite(MPC) has a short curing time and is capable of early compressive strength development, is suitable for rapid repair material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hardening and compressive strength characteristics of MPC according to the water-binder (W / B) ratio and magnesium-phosphate(M / P) ratio in order to develop repair materials consisted with light burned magnesia and potassium dihydrogen phosphate. In order to ensure the workability in the field application, the difference of mechanical properties according to standard sand and ordinary sand and performance of retards were evaluated. The mix proportion with W/B ratio was about 35% and the M/P ratio was about 1.0 ~ 1.2 has a superior perfomance with strength and hardening condition. Especially, the strength of composite at only 1 day curing with W/B ratio of 0.35 and the M/P ratio of 1.2 was shown the higher than 25.0 MPa. Boric acid as a retarder was found to be suitable for ensuring the working time, and the purity of magnesium oxide was about 90 ~ 95%, which is effective for ensuring curing time and strength. 다양한 원인에 의한 포장체에 손상이 발생하면 신속한 통행재개를 위한 급속보수가 필요하게 된다. 산화마그네슘인산염복합체의 는 경화시간이 짧고, 조기 강도발현이 가능하여 급속보수재료로 적합한 특성을 갖고 있다. 연구에서는 경소마그네시아와 제1인산칼륨을 결합하여 보수재료로 개발하기 위하여 물-결합재(W/B)비, 마그네슘-인산염(M/P)비 등의 배합비를 조정하면서 경화와 강도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장 적용시의 작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표준사와 일반모래에 따른 거동차이와 지연제별 특성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물-결합재비는 35%내외와 마그네슘-인산염비는 1.0~1.2 내외가 강도측면에서 가장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W/B비 0.35, M/P비 1.2 변수에서 1일강도 25.0MPa 이상 발현되어 조기 보수재료로서 활용가능성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작업시간 확보를 위해서는 붕산을 지연제로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산화마그네슘의 순도는 90~95%내외가 경화시간 확보를 위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재령과 코어의 영향을 고려한 향상된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기법의 경험적 제안

        오홍섭,오광진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2015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Vol.19 No.6

        콘크리트의 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반발경도법과 초음파속도법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재료의 상태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재령, 성숙도 및 손상도 등에 따라 예측강도와 현장의 실제강도가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표준공시체와 현장에서 드릴링에 의하여 채취하는 코어공시체의 압축강도는 드릴링하는 동안 기계에 의한 교란이 발생하여 압축강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반발경도 및 초음파속도의경우에도 콘크리트의 재령 및 성숙도가 변화함에 따라 표면의 경도와 내부 미세조직의 변화에 의해서도 변화하게 된다. 저자들은 재령와 코어의 영향을 비파과시험결과에 반영하기 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코어 및 콘크리트 재령에 의한 영향을 압축강도 실험 및 예측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To evaluate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rebound test and ultra pulse velocity methods as well as core test were widely used. The predicted strength effected by age, maturity and degradation of concrete, is a slight difference between in-situ concrete strength. The compressive strength of standard cylinder specimens and core samples by obtained from drilling will have a difference since the concrete is disturbed during the drilling by machinery. And the rebound number and ultra pulse velocity are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age and maturity of concrete that effected to the surface hardness and microscpic minuteness. The authors performed the experimental work to reflect the age and core effect to the results from NDE test. The test results considering on the core and age of concrete were compaired with the proposed equation to predict the compressive streng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