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과학중점학교의 과학 관련 비교과 체험활동 운영 실태

        오혜란,김희백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1 현장과학교육 Vol.5 No.2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extra curricula science-related hands-on experience programs were implemented in science-focused high schools and what are the teachers opinions and the difficulties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s. In order to examine the realities and the challenges of the implementation, the operating plans were collected from the 53 science-focused schools. In addition, a survey of 43 teachers who were charged with managing the experience programs at each individual science-focused school was administrated. As a result, the extra curricula science-related hands-on experience programs were composed with the activities which are easy to plan and manage rather than those which could give the students authentic experiences in the different real context. The teachers claimed to suffer from the burden of the required hours, the limitation of educational circumstances, and the shortage of preparing time. The study might offer implementation for the effective settlement of the hands-on activity programs in the secondary schools. 2010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과학중점학교의 교육과정에서는 학생들이 과학과 관련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60시간의 비교과 체험활동을 의무적으로 요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중점학교에서 시행을 시작한 과학・수학 관련 비교과 체험활동 운영 실태와 학교 현장 적용의 문제점 파악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해 전국의 53개 과학중점학교를 대상으로 과학중점학교 운영계획서를 수집하였으며, 각 학교에서 체험활동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에게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은 운영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질문과 체험활동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보기 위한 질문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로 학교마다 운영하고 있는 체험활동들이 대부분 유사하였으며, 계획과 운영이 용이하고 교내에서 활동 가능한 체험활동이 많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외 활동의 경우에는 일반 과학교육기관 탐방에 한정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많은 학생들이 단체로 할 수 있는 활동이 제한되어 있고 교과 시간 외의 시간을 확보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운영상의 어려운 점으로는 60시간이라는 과도한 시간 배정, 학교 여건상의 한계, 인솔교사에게 주어지는 부담 등을 들었다. 2011년부터 모든 학교에서 창의적 체험활동(2009년 개정 교육과정)을 실시해야 하는 상황에서 과학중점학교에서의 체험활동 운영 실태 분석은 체험활동이 학교 현장에 효과적으로 정착하는데 현실적인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ICT 활용 교육이 과학,기술,사회(STS) 관계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 고등학교 과학 "탐구: 단원을 중심으로

        오혜란,노태희,성을선,홍정림,김희백 韓國生物敎育學會 2004 생물교육 Vol.32 No.1

        In this research ICT-base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for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unit of 'Inquiry'. 135 first year male students from a high school in Seoul were selected for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on-line with ICT instructional materials,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in a traditional way of instruction with textbook and hand-outs. Before and after teaching this unit, students' view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the interest of science classes and the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were examined using the View On Science-Technology-Society(VOSTS), the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TOSRA), and the Constructivist Learning Environment Survey(CLES) respectively.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hose views of STS improved from naive perspectives to realistic ones were more than ones whose views were changed oppositely at 5 items of the VOSTS. However such effect was shown at only 2 items of the VOSTS in the control group. Students' perception of learning environment was more constructivistic at one scale of the CLES, i.e. 'student negoti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higher score at an item of the TOSRA, i.e. 'teaching materials were interesting'. It is thought that more communicative interaction and the positive attitude on ICT- based materials had a positive impact on students' views of science, technology and society.

      • KCI등재

        바람직한 식사패턴 작성을 위한 국과 찌개 음식군의 연구 - 청소년의 섭취량과 기호도 자료 활용한 대표영양가 산출 -

        오혜란,김영남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015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Vol.27 No.2

        The target pattern is introduced for practicing a balanced dietary menu planning, but Korean soup and stew, cooked with several kinds of materials, have a problem with food group assignment in the target pattern. This study thus set out to calculate the representative nutritional values of Korean soup and stew based on intake(by 2010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ge group of 13~19) and preference(by select the 3 kinds of favorite soup and stew each). Total of 235 middle school students were participated by way of questionnaire, and data were analyzed. Representative energy value of vegetable soup and stew by intake were 65㎉ and 116㎉, respectively, which were very much different with the vegetable group representative energy value of 14㎉ in target pattern. Representative energy value of meat·fish·egg·legume soup and stew by intake were 149㎉ and 211㎉, respectively, which were very much different with the representative meat·fish·egg·legume energy value of 94㎉ in target pattern. As result, it is not proper to assign vegetable soup·stew to vegetable food group and meat·fish·egg·legume soup·stew to meat·fish·egg·legume food group. Representative energy values of soup and stew by preference were not much different except meat·fish·egg·legume soup(149㎉ by intake, 218㎉ by preference). As conclusions, it maybedesirable to categorize soup and stew as independent food group. For more accurate energy adjustment in menu planning, devide soup and stew, and further divide to vegetable and meat·fish·egg·legume groups may necessary. 균형 잡힌 식단의 구성을 목적으로 권장식사패턴이 마련되었다. 그러나 국, 찌개와 같이 다양한 종류의 식품들이 혼합되어 조리되는 음식의 경우에는 식품군 및 권장섭취횟수의 배분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찌개 음식의 대표에너지와 대표영양가를 산출하였다. 섭취량과 기호도 조사 자료를 근거로 산출하였으며, 섭취량 자료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13~19세 청소년 자료, 기호도 자료는 전국 7개 특별시와 광역시 중학생 23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섭취량에 의한 채소류 국과 찌개의 대표에너지는 각각 65㎉, 116㎉로 권장식사패턴의 채소류군 대표에너지 14㎉와 비교하여 커다란 차이가 확인되었다. 섭취량에 의한 고기・생선・계란・콩류 국과 찌개의 대표에너지는 각각 149㎉, 211㎉로 권장식사패턴의 고기・생선・계란・콩류군 대표에너지 94㎉와 비교하여 큰 차이가 확인되었다. 따라서 국, 찌개 같이 몇 가지 식품군의 재료들이 혼합되어 조리되는 음식의 경우 현재의 권장식사패턴을 적용하는 식단 구성 방법은 정확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국과 찌개를 별도의 음식군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호도 분석에 의한 국과 찌개의 대표에너지는 섭취량 분석 결과와 차이가 거의 없었으며, 다만 고기・생선・계란・콩류국의 차이가 가장 컸다(섭취량: 149㎉, 기호도: 218㎉). 결론적으로 채소류국, 고기・생선・계란・콩류국, 채소류찌개, 고기・생선・계란・콩류찌개의 4개 음식군으로 분류하는 식사패턴을 고안한다면 식단의 에너지 제공량을 보다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 KCI등재

        환경과학 행위주체성 함양을 위한 데이터 기반 탐구프로그램 개발

        오혜란 ( Hyeran Oh ),손미현 ( Mihyun Son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4 현장과학교육 Vol.18 No.2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과학 행위주체성을 함양하기 위한 데이터 기반 탐구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환경과학 행위주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와 데이터 기반 탐구 모형을 고찰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단계는 ‘도입-탐색-실행-평가-확장’으로, 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탐구 문제를 설정하고 실제적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한 후, 탐구 결과를 공동체와 공유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이를 서울에 위치한 고등학교 1학년 6명의 학생에게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프로그램 탐구를 수행하면서 환경과학 및 데이터 분석 관련 지식을 능동적으로 습득해 나가고 각자 자신 있는 전문 영역을 형성하여 책임 있는 역할을 맡는 모습을 보였다. 탐구 문제와 관련된 환경 문제를 자신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문제로 인식하고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친환경적 행동을 해야겠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실제적 데이터를 근거로 한 탐구 결과를 공유하는 것이 중요한 과정이며 공동체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토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환경과학 행위주체성 함양에 영향을 미친 프로그램의 중요 요소는 ‘환경 문제와 관련된 탐구 주제 설정’, ‘실제적 데이터 분석’, ‘참 탐구에 가까운 개방형 탐구’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학생들의 환경과학 행위주체성을 함양하는 데 본 연구에서 개발한 데이터 기반 탐구프로그램이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미래 사회 핵심역량인 행위주체성을 함양할 수 있는 데이터 기반 탐구프로그램을 제안하고 현장 적용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환경과학 행위주체성을 포착할 수 있는 행위를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apply a data-based inquiry program to foster environmental science agency (ESA) and verify its effectiveness. This study developed an authentic data driven inquiry program focused on environmental issues. The program consisted of activities such as setting inquiry problems, analyzing data, drawing conclusions, and sharing the research with other community members. The program was applied to 6 Grade-10 students for 10 sessions. This study led to four conclusions. First, students actively developed the science content and inquiry related to environmental science and data science. Second, students positioned themselves by taking on specific roles and identifying themselves as having expertise in specific areas such as science inquiry or data analysis. Third, students recognized the environmental problem related to the research problem as an important problem that could affect them personally. Fourth, by grasping meaningful data, students recognized themselves as actors of environmental problems. The key process of the program that impacted ESA were ‘setting research topics for environmental issues’, ‘using authentic data’, and ‘open inquiry close to authentic sci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posed a data-based inquiry program that can develop agency, a core competency of future society,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field application, and identified behaviors that can capture agency in environmental sci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