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자기개시의 남녀차 ー회화 데이터 분석으로부터ー

        오현영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2 日本語敎育 Vol.- No.99

        본 연구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어화자의 남녀를 대상으로 자기개시의 발화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여성은 남성보다 자기개시를 하는 겨향이 보였고, 여성도 남성도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가 개시하는 경향이 보였다. 또한 자기개시의 내용은 평가적 자기개시 보다 기술적자기개시 출현 수가 많았다. 장면의 차를 보면 여성은 접촉장명에서 많고 한국인 남성은 접촉장면, 일본인 남성은 모어장면에서 자기개시 출현 수가 많았다. 마지막으로 남녀의 출현 수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도 일본어 모어화자도 여성의 출현 수가 많았지만 한국인 남성은 경우는 기술적 자기개시만 유의차가 보였다. 일본어 모어화자의 경우 여성의 출현 수가 많았지만 모어장면에서는 기술적 자기개시도 평가적 자기개시도 남성의 출현 수가 많은 결과였다. 이처럼 양국의 차가 보이며 이문화 사람과의 대화에서 서로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며 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온라인 수업 평가에 미치는 중요 요인 분석 -일본어 교과 수업을 중심으로 -

        오현영 한국일본어교육학회 2023 日本語敎育 Vol.- No.103

        본 연구는 일본어 회화와 작문 수업을 중심으로 온라인 수업 평가에 미치는 중요 요인과 교과별로 중요시되는 요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가에 미치는 중요 요인으로는 요인1 상호작용, 요인2 기기조작, 요인3 학습효율, 요인4 수업편이성 요인이 도출되었다. 다음으로 교과별로 각 요인에 대한 평균치와 차이를 보기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의차가 보인 요인1 상호작용은 회화수업에서 더 중요시되는 것을 알 수 있고, 요인4 수업의 편이성 요인은 작문 수업에서 더 중요시되는 결과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교과에 상관없이 온라인 수업 평가에 상호작용, 기기조작, 학습효율, 수업편이성이 평가에 미치는 큰 요인으로 생각되며 온라인 수업 개선을 위해서는 위의 4가지 항목에 대해 좀 더 다양한 질문지를 작성해야 할 것이다. 또한 교과별로 평가에 미치는 요인이 다르다는 점에서 수업 평가에도 교과에 따라 상이한 질문지를 제시하거나 질문지 항목의 내용을 교과에 맞게 작성하는 것이 온라인 수업의 개선으로 이어질 것이다.

      • KCI등재

        日本語教科のオンライン授業に対する認識調査

        오현영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22 일본언어문화 Vol.59 No.-

        This paper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about online lessons, focusing on Japanese class.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regarding online class in general, students are (1) emphasize three factors largely technical, interacting,Physical aspects. Next (2) Real-time online class are recorded lessons It is possible that it cannot be solved with, but in the case of writing class (J3), Real-time online class. However, there is not much problem in the progress of the lesson, and the efficiency of the lesson is improved to make up for the weaknesses in the class. There is also a point to be gained. In the case of the last conversation class (J1, J2), (3) Recorded class will be launched. It is possible to repeat the practice of pronunciation and listening, but feel uneasy about practicing alone. It was seen that it could be supplemented by online lessons. Therefore, the conversation class will be recorded on the grammar side,and can be conversation practice easier. But on the other hand, feel anxious about pronunciation and practice. In online lessons, the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professors depended on the quality of the lessons.

      • KCI등재

        허가요구의 이메일 구조와 표현의 특징 -일본어 모어화자와 일본어 학습자 중심으로-

        오현영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22 일본언어문화 Vol.60 No.-

        本研究は、日本語の母語話者と日本語学習者を対象に許可を求める際のEメールにおける談話構造と表現を比較分析した。本研究の分析結果をまとめると次のとおりである。まず、許可を求める際の談話構造は、日本語母語話者(5パターン)より日本語学習者(10パターン)のパターンが多様であった。次に、日本語母語話者の許可求めは定型化された表現があり、日本語学習者は謝罪表現を多用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日本語母語話者が多用するのは[欠席させていただきます。][休ませていただきます。]で定型化されているのにくらべ日本語学習者は[欠席させていただきたいと思います。]の表現を多用することがわかった。 次に謝罪する際、日本語母語話者は謝罪表現と共に用件を言及する傾向があり、日本語学習者は謝罪だけを言及する傾向が見られた。これは日本語母語話者は状況の緩和を重視し、日本語の学習者は丁寧さを重視するものと考えられる。

      • KCI등재

        初対面場面における自己開示に関する意識調査 - 韓国人日本語学習者と日本語母語話者を対象に -

        오현영 한국일어일문학회 2020 日語日文學硏究 Vol.112 No.-

        In this study,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eal what kind of rituals the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nd the native speaker of Japanese are making conversation with first-timers while giving consideration to first-timers. Until now, prior research has focused only on language and nonverbal elements. In addition, the focus is on the ignition itself, such as the consideration needed to actively carry out the dialogue and the consideration needed to make the other party understand more deeply, but the specific method is not studied until further. There, the main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n self-initiated fires. The questionnaire prepared 21 items on self-initiated and 10 items on self-initiated recipients. The assessment was assessed in Step 7 to the extent of relevance for 31 items. In order to avoid the learning effects that can be done while answering questions, we prepared a reversal from the first half of the question. The survey collaborators targeted 70 Japanese students enrolled in Japanese universities (one in Ibaraki Prefecture), 15 of them male, 55 female, 70 Japanese language students enrolled in Korean universities, 20 of them male, 50 female, and those who have no experience studying abroad. The average age of a Japanese student (J) is 20 years old. What was revealed in the survey was a marked difference in consideration of ignition rather than as a listener. Specifically, compared to J, who cares about the other person, it is either an interest in the opponent or an activism that serves as a consideration for K. However, the question remains whether it will appear in the conversation as it is a survey of consciousness, not a real conversation. Therefore, it is thought that there is a need to conduct both dialogue and questionnaires investigation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와 일본어 모국어 화자를 자기개시 발화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통해 어떤 의식을 바탕으로 초면인 사람과 배려를 하면서 대화를 하는지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지금까지의 선행연구에서는 언어, 비언어적 요소에만 집중되어왔다. 또한, 대화를 적극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배려와, 상대방에게 자신을 보다 깊게 이해시키는 배려 등 발화 자체에 집중되어있는 것도 있지만,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까지는 연구되어 있지않다. 거기서, 본연구에서는 자기개시의 발화에 관한 질문지 조사를 실시했다. 질문지는 자기개시에 관한 항목 21개, 자기개시의 받는이에 관한 항목 10개를 준비했다. 평가는 31개 항목에 대해서 어느 정도 적합한지를 7단계에서 평가받았다. 질문에 답하는 동안 할 수 있는 학습효과를 피하기 위해 문항의 전반과 역전시킨 것을 준비했다. 조사 협력자는 일본 대학(이바라키 현 1개)에 재적하는 일본인 70명, 그 중 남자 15명, 여성 55명, 한국 대학에 재적하는 일본어 전공 학생(이하 K)70명, 그 중 남자 20명, 여성 50명, 유학 경험은 없는 사람을 대상으로 했다. 평균 연령은 일본인 학생(이하 J)20.5살 한국 학생은 20세이다. 이번 조사에서 밝혀진 것은 초면에 상대에게 듣는 사람으로서의 배려보다 발화에 관한 배려의 차이가 현저하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는, 상대를 배려하는 J에 비해, 상대에게 흥미를 나타내는 것이나 적극성이 K에게는 배려로 작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의 대화가 아니라 의식에 대해 조사한 것이기 때문에 그대로 회화에도 나타날지 의문이 남는다. 따라서 대화와 질문지 조사를 병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 KCI등재

        Removal of Heavy Metal Ions from Wastewater by Polyacrylonitrile based Fibers: A Review

        오현영,이재훈,라즈쿠마파텔 한국막학회 2019 멤브레인 Vol.29 No.3

        Environmental pollution caused by the presence of heavy metal ion from growing industrialization or from leaching is increasing area of concern. There are several area of water purifications but among them adsorption on the functionalized polymer fibers is efficient and cost-effective method. Polyacrylonitrile (PAN) is exciting polymer due to the presence of excessive functional group which can be easily transformed for metal ion adsorption. PAN can be easily electrospun to prepare nanofiber that have higher surface area leading to better metal ion removal. Composite PAN fiber is yet another type of polymer covered in this review for waste water treatment.

      • KCI등재

        정신치료와 신경생물학적 연구결과의 관계

        오현영,박용천,Oh, Hyun-Young,Park, Yong-Cho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2 생물정신의학 Vol.19 No.1

        The mechanism of psychotherapy is explained by the recent developments in neuroscience and neuroimag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psychotherapy and to discuss the future of psychotherapy improvement with the help of advances of the neurobiological findings in psychotherapy. For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wide range of materials. We searched for various researches on psychotherapy, brain, and neurobiology.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psychodynamic psychotherapy, we investigated research findings on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interpersonal psychotherapy and eye movement desensitization and reprocessing (EMDR). Moreover, based on the actual experiences of treating patients, we speculated the neurobiological mechanisms of the process and results of psychotherapy. With the development of neuroscience, we are now able to understand the personal consciousness, unconsciousness and developmental process. Also subdividing the disease is made possible. Personalized treatment has become available, and we are able to predict the prognosis of patients. Our memories are composed by implicit memory and explicit memory. By psychotherapy, we can consciously remember explicit memory, and it becomes easier to explore implicit memory through free association. Through psychotherapy, we will also be able to learn the effect of acquired environment and experience. Psychotherapy is able to correct human behaviors by modifying the memories. Through the regulation of emotions, it becomes possible to modify the memories and correct the behaviors. In this process, doctor-patient relationship is the main factor which cause positive treatment effects. Furthermore imagination therapy or unconscious, non-verbal stimuli could bring about positive treatment effects. Now psychotherapy could be explained and studied by neuroscientific researches. In this sense, we could provide the direction of future advances in neuroscience by the neurobiological understanding of psychotherapy.

      • KCI등재
      • KCI등재

        話題導入と展開における自己開示

        오현영 일본어문학회 2019 일본어문학 Vol.86 No.-

        In the present research, based on the conversational data of the first meeting, I analyze (1) the way in which Korean Japanese learners (KJ)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J) introduce a topic, (2) the types of topic and contents of self‐disclosure, and (3) the structural changes of each topic. As a result, KJ has many self‐disclosure and questions for introduction of topics, while J has self‐disclosure and questions to develop the topic. The type of topic is that conversation of KJ is twice as many as J. In KJ, while the topic does not long in the conversation, J has a long topic. KJ's topic development pattern is diverse, and there are only patterns that appear in KJ.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while KJ tries to shorten the distance with the partner rapidly, J tries to make it progress gradually. 本研究では初対面場面の会話データを基に韓国人日本語学習者(以下KJ)日本語母語話者(以下J)の①話題導入の提示方法②話題の種類及び自己開示の内容③話題ごとの構造の変化を考察した。その結果、KJは話題の導入のために自己開示を行う一方、Jは1つの話題を派生させるため自己開示を使用すること、自己開示と質問をKJは話題導入の時に多く使い、Jはある話題をさらに派生させるために多く使うという違いがあった。話題の内容は、Jは話題を多くして相手の情報を収集するよりもむしろ、話題の数は少ないが、1つの話題から相手の情報を徐々に進展させていくことが見られた。一方、KJは初対面の時から相手の情報を多く収集しようとし、話題の種類も多く、話題の展開が早い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しかし、接触場面では、母語場面に出現した話題が同様に出るが、互いの共通点を探すため母語場面では出現しないような話題を取り上げることが観察された。これらの結果から、KJは相手との距離を急速に縮めようとするのに対して、Jは徐々に進展させていこうとすることが示唆された。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