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Effectiveness of a Behavioral Intervention Program for Urinary Incontinence in a Community Setting

        오현수,김미경,서화숙 한국간호과학회 2005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5 No.8

        Purpos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a behavioral intervention program combining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with bladder training for urinary incontinence and also to conduct follow-up assessment after self-training.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60 middle-aged women (control group, n=30; intervention group, n=30) who experienced an episode of urinary incontinence at least once a week. The program was run over a 4 week period (once a week) and composed of urinary incontinence education, pelvic floor muscle exercise, and bladder training. Results. Overall,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urinary incontinence symptoms and psycho-social wellbeing related to urinary incontinence between the treatment and control group. Of the variables, weekly leakage frequencies, leakage amounts on each occasion, leakage index, frequencies of nocturia, and quality of lif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Follow-up assessment (9th week) indicated that overall incontinence symptoms and psycho-social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posttest and follow-up assessments. Most variables of incontinence symptoms and psycho-social well-being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t follow-up assessment versus posttest. Conclusions. The program was overall effective in terms of relieving symptoms and improving psycho-social well-being related to urinary incontinence, and this effect continued after a 4-weeks self-training period. In the respect that this is a community-based application study, the results can be meaningful and applicable.

      • 간호대학생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과 발달수준 비교연구

        오현수,김향선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06 에니어그램연구 Vol.3 No.2

        이 연구는 에니어그램에 대한 이론을 탐색하고, 이를 간호분야의 간호대학생들에게 적용해 보 고자 전북지역 K대학 간호대학 신입생 246명과 서울의 A대학 신입생 214명의 에니어그램 성격 유형과 발달수준을 비교하기 위해 실행되었다. 에니어그램에 대한 이론적 탐구와 성격유형 검사결 과를 보면, 첫째, 간호대학생의 약 46%는 장중심에 속하였고, 약 32%는 9번 유형에 속하며 이 중 약 85%(전체의 26%)는 1번 날개를 지녔다. 전체적으로 244명(53%)이 분열의 방향에 속해 있다. 발달수준은 5수준에 해당되며 건강수준은 92.5%가 보통 범위에 해당한다. 두 대학 신입생 사이의 발달수준의 평균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불건강의 범위(7수준)에 속하는 약 3%의 학생들을 포함하여 전체 학생들의 현재 대학생활에서의 긴장이나 스트레스의 요 소를 다양하게 문석하고 이를 감소시킬 수 있는 대책마련 내지는 에니어그램을 통한 집단상담 프 로그램 개발 등이 요구된다. 결과적으로 에니어그램은 개인의 현재 심리적 건강 상태를 밝혀줄 뿐 만 아니라 발달수준의 저하를 예방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음으로 나타났다. 각 개인은 자신 의 성격적 분열 상태를 막기 위해 통합의 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며 각 유형이 갖는 행동의 숨은 동기를 이해하고 각 유형이 갖는 본질적 두려움이 무엇인지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에게 우 세하게 나타나는 성격적 특성의 장, 단점을 이해하고 내면에 잠재되어있는 다른 유형과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함으로써 발달 수준을 높여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ompare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 and developmental level indicator of 246 nursing students of K college with 214 nursing students of A college and explore how the enneagram which suggests a way to understand oneself and self-growth can be concretely applied in the area of nurs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stribution of three centers of nursing students shows that gut center have 46.0% of 246 nursing students of the K college and that gut center have 45.8% of 214 nursing students of the A college, indicating that the gut center takes the biggest group. 2. The distribution of nursing students' Enneagram type shows that the largest group has type 9(37.4%, 24.3%), with type 6 having 18.3%, type 7 having 12.2% and type 2 having 10.8% of the K college, type 1 having 16.5%, type 4 having 14.0% , and 2type having 12.6% of the A college, and the least group has type 3. 3. As for the nursing students' Enneagram Type and Wing, the largest group has type 9w1(31.7%, 20.6%), with type 6w5(10.2%), type 6w7(8.1%) of the K college, and type 2w1(11.7%), type 1w9(11.2%) of the A college in this order. 4. The direction of energy turns towards disruption(53.7%, 52.3%), and the developmental level of personality reaches the 5th level(M=4.55) of the normal health level. To conclude, Enneagram differs from other personality types because it does not stop at classifying personality types and explaining them and it offers a concrete direction of treatment and growth and an insight into the direction of pathological regression. By putting together the above results the enneagram theory can be applied in connection with nursing education with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1. The enneagram can be used to develop the essence of personality types and potentiality of nursing students and nurses, and will be applicable to the spiritual nursing. 2. The research to develop an enneagram educational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is required to help them understand self as well as others patients. Further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enneagram workshop programs is necessary

      • KCI등재

        고조선 예맥교섭망의 변동 양상 연구 ― 『염철론』‘조선’ 기사의 분석을 중심으로

        오현수 한국국학진흥원 2013 국학연구 Vol.0 No.22

        The entries regarding ‘Joseon(朝鮮)’ in the Yantielun(『鹽鐵論』) seem to show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 state and Qin(秦)‧Han(漢) empires invaded Go-Joseon(古朝鮮). The trade system of Go-Joseon underwent fluctuations at various times whenever Chinese powers invaded. At first, Zhengjiawazi-typeculture’s Go-Joseon encompassed indigenous forces and formed the trade system called the Weimo-trade-network(濊貊交涉網), in the Liaodong(遼東) area before the invasions by the Yan state. However, when the Yan state invaded Go-Joseon in the 4th century B.C., the Weimo-trade-network centering on Go-Joseon collapsed and the Liaodong commandery of the Yan state took over the role of Go-Joseon in the Liaodong area. Then, when the Qin empire invaded Go-Joseon, she forced the inclusion of the west side of the Amnok(鴨綠) river with the Liaodong commandery and ruled over it. Finally, when Go-Joseon was destroyed by the Han empire, the 'Weimo-trade-network' trade system completely collapsed. 『염철론』의 ‘조선’관련 조문은 중국의 연‧진‧한이 고조선을 침공했던 역사적 사실을 보여 준다. 이들 기사들을 분석해 보면, 중원 세력의 침략으로 고조선이 여러 차례 변동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연나라의 침공 이전 고조선의 중심지는 심양 일대였다. 이 시기에는 요동 지역의 토착 세력들이 정가와자유형의 고조선과 문화적으로 동질적인 관계가 되면서 ‘예맥교섭망’을 형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원전 4세기에 연나라가 침입해 오면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무너지고, 고조선의 역할을 연나라의 요동군이 대체하였다. 다음 진나라가 침공했을 시기에는 이전 연나라와는 달리 압록강 이서 지역 전반을 요동군에 포함시켜 직접 통치하였다. 이때 고조선은 청천강 이북 지역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력을 상실하여 요동 지역 예맥과의 관계는 단절된다. 다행히 진나라가 얼마 지나지 않아 멸망하고, 고조선은 진‧한 교체라는 혼란을 틈타 요동 지역에 재진출한다. 이때 요동 지역에서는 중국 유이민 세력이 고조선 지역으로 대거 이동해 왔다. 이들 세력중에서 위만은 준왕의 왕위를 찬탈하여 위만조선을 개창하였다. 위만조선은 이전의 예맥교섭망을 회복하고, 이를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흉노와의 연결을 도모하였다. 이것은 한나라와의 마찰을 가져왔고, 양국은 전쟁에 돌입하게 된다. 조‧한 전쟁은 한제국과 이에 맞선 위만조선을 중심으로 한 범 예맥계 세력 사이의 대결이었다. 결국 한나라가 최종적인 승리를 거둠에 따라 고조선의 예맥교섭망은 완전히 붕괴되었다. 이상으로 연나라‧진나라‧한나라의 침입에 따른 예맥교섭망의 변동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연나라 침입시, 고조선 중심의 예맥교섭망은 붕괴되고, 요동 지역의 예맥 세력은 연나라 요동군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역 체계에 포괄되었다. 다음 진나라 침입시, 진나라의 요동군에 대한 직접 통치는 이 지역의 예맥 세력 간 상호작용력을 진나라라는 단일 체체에 완전히 귀속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마지막으로 한나라 침입시, 한나라는 고조선과 예맥 지역을 한사군으로 편입시켜 이를 중국 중심의 공고한 체제로 확립하였다. 이러한 예맥교섭망의 변동 과정에서 위만조선의 중요한 역할을 찾아 볼 수 있다. 위만조선은 예맥교섭망을 재건하였는데, 이는 이전 정가와자유형 시기의 예맥교섭망이 경제 교류적 차원이었던 것을 뛰어넘어 정치적 연합적인 관계로까지 진행시켰다는 점이다. 이러한 관계로 인해 조‧한 전쟁시 위만조선의 저항력이 크게 작용하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위만조선의 정치 역학적 역할은 한계가 있었다. 조‧한 전쟁에서 위만조선의 패배는 집권 세력이 주위의 소국들을 예맥교섭망을 통해 간접적으로 통제하는 것에 머물렀던 이러한 한계에 기인한다. 즉 위만조선은 해당 지역에서 군현 체제와 같은 강한 정치적 합일을 이루어 내지 못했다. 그러므로 이 예맥교섭망은 시기적 조류에 따라 얼마든지 붕괴될 수 있는 느슨한 통합체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예맥교섭망의 체계속에서 이후 부여와 고구려 및 옥저가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는 매우 크다.

      • KCI등재

        내담자의 상담요청 결정과정에 관한 질적 연구

        오현수,김진숙 한국상담심리학회 201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24 No.4

        This study us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to explore psychological experiences during decision making about seeking counseling among clients in Korea. The current study aimed to generate a substantive theory which explains the process and subjective experiences of deciding whether to or not to seek counseling. For this purpose, in-dept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adult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grounded theory methods(Strauss and Corbin, 1996). The decision to seek counseling was made by following the 3 steps: (1) recalling counseling as an alternative option to “pursue a better life”, (2) experiencing approach-avoidance conflict concerning receiving counseling service, and (3) finally determining to seek counseling with the help of self-encouragement and self-talk affirming the potential benefits of counseling. The core category of the process of decision making about seeking counseling turned out to be the process of ‘exploring efficient professional help in order to pursue a better life’. 본 연구는 내담자의 상담요청 결정과정의 심리적 경험을 탐색한 질적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Strauss와 Corbin(1996)의 근거이론 방법을 적용하여 이미 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거나 현재 상담을 받고 있는 내담자 15명을 심층면접함으로써 그들의 상담요청 결정과정을 설명하는 실체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 분석 결과는 우선, 내담자들은 문제의 복합성이나 반복성으로 인해 주관적 심각성과 고통감을 자각할 때 상담요청을 결정하고 있었다는 것이다. 상담요청 결정은 상담 외 비전문적인 도움이나 전문적인 도움의 한계와 불만족을 경험하거나 혹은 외부로부터의 상담권유나 상담과제를 부여받을 때 활성화되고 있었다. 내담자의 상담요청 결정과정은 ‘지금보다 더 나은 삶의 추구’를 한 것이었으며, 상담 떠올리기, 상담에 대한 접근-회피 갈등하기, 상담요청 여부 결정하기의 3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요청 결정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조건들은 다양하였으며, 상답요청 결정에 있어서 상담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긍정적 인식의 중요성이 발견되었다. 가장 분명하게 나타나는 상담요청 결정의 결과는 상담에 대한 기대와 희망이 발생되는 것이었다. 상담요청 결정과정의 핵심범주는 ‘더 나은 삶의 추구를 위한 효율적인 전문적 도움 모색’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논의와 후속 연구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단군부정론과 고조선 영역축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중심으로-

        오현수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69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Japan sought to find the legitimacy of the Korean peninsula rule by distorting Dangun and Dangun Joseon. Japanese scholars who led the distortion of history of Dangun and Dangu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clude Oda Shogo and Imanishi. Oda Shogo said that Dangun myths were fabricated by Buddhist figures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re was no related record before that. The Dangun myths described in the Samguk Yusa are accompanied by Buddhist, but this happens naturally because the recorder, Ilyeon, was a monk. Anyone can reflect their personal perception, feelings, and ideological background when describing history book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Dangun myths contains not only Buddhism but also Taoism, Confucianism and traditional religious elements.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of Dangun myth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mythology, archaeology and literature. There were studies on the bear totem mythology, ancient mother mythology,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tombs in the Jian area, and the faith of 'Jecheon and Jeho' in Dongye. On the other hand, Imanishi Ryu said that Joseon was overwhelmed by the forces of the Yan Dynasty and retreated to the south of the Daedong River, and Yan and Jin occupied the north of the Daedong River. He is a complete disregard for the history of Gojoseon. However, the fact that Gojoseon already existed before the Gojoseon-Yan war has been proven in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studies. The record of 'Baljoseon' described in Guanzi and the non-wave-like bronze sword culture in northeast China tell the historical situation of Gojoseon before the Chosunhou' rule period. And the boundary between Gojoseon and Yan is the manpanha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manishi Ryu's view to limit the area of Gojoseon to some parts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wrong.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d no interest in restoring the history of Dangun, Dangun Joseon, or Gojoseon. Today, Korean historians can say that most of the remnants of colonial history have been liquidated, but the critical review of Japanese scholars' distortion of history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일제강점기 일본은 한국사 왜곡을 통해 한반도 통치의 정당성을 찾고자 하였다. 통칭 ‘식민사관’으로 통하는 역사작업 중 일제가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 분야는 단군과 단군조선에 대한왜곡이었다. 이 작업에 가장 앞장섰던 일본인 학자로는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들 수 있다. 오다 쇼고의 단군전승에 대한 언급 중에서 주목해서 검토할 만한 주장은 고려 후기 불교계인물이 날조했다는 것, 충렬왕 이전에 단군전승에 대한 기록이 있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말한부분이다. 우선, 오다 쇼고의 주장처럼 『삼국유사』에 기술된 단군전승에는 불교적 윤색이 가미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삼국유사』의 기록자가 일연이라는 승려였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누구라도 역사서를 기술할 때 자신의 개인적 인식이나 감정, 사상적 배경이 반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삼국유사』 이전에 단군전승을 기록한 문헌이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리 학계에서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신화학, 고고학, 문헌학 방면에서 이를 극복할만한 많은 연구 업적들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마니시 류는 조선이 전국시대에 연나라의 세력에 압도되어 열수, 즉 대동강 남쪽까지 후퇴했고 연나라와 진나라는 대동강 북쪽까지 점유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이전 고조선의역사는 철저히 무시되었다. 그렇지만 고조선-연나라 항쟁 과정 이전에 고조선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은 문헌과 고고학 방면의 연구에서 입증되고 있다. 『관자』에 기술된 발조선과 아울러중국 동북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는 춘추시대 혹은 전국시대 초반 고조선의 존재를 알려준다. 그리고 고조선과 연나라의 경계에 대해서는 『위략』에서 만번한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현재만번한은 문현과 번한현의 합성어로 보고 있는데, 이는 『한서』 「지리지」의 <요동군>조에 나오고 있다. 그리고 연나라의 침입 이전 고조선은 요동 지역에서 정가와자유형의 문화를 기반으로하였다는 점에서 고조선의 영역을 한반도 서북부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려는 이마니시 류의견해는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은 단군과 단군조선 혹은 고조선에 대한 역사 복원에는 아무런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식민사관에 입각하여 단군조선의 역사성을 부정하고, 이 또한 연나라와 항쟁하던 전국시대 후반의 사실만을 인정하는 선에 그치고 있다. 오늘날 고조선사학계는식민사학의 잔재를 대부분 청산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인 학자들의 역사 왜곡에 대한 분석과 비판적 검토 작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고조선사의 진면목이 더욱 부각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Development of Transmission Line Employing Graphene-silver Nanowire/PET Structure for Application in Flexible and Wearable Devices in X-b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오현수,정수연,윤영,정승열 한국전자파학회 2024 Journal of Electromagnet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24 No.1

        In this study, we fabricated a coplanar waveguide using a novel graphene-silver nanowire composite structure (GNCS) on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ubstrate and then investigated its radio frequency (R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measured results, the coplanar waveguide employing GNCS exhibited a substantially lower loss of transmission line than conventional waveguides. Furthermo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graphene-based coplanar waveguide, the proposed structure allowed for lower skin depth and higher conductivity, resulting from the high electric conductivity of the silver nanowire. In addition, repetitive bending tests, which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lectric stability of the graphene-silver nanowire, showed that the coplanar waveguide employing GNCS offered substantially better electrical stability than the conventional graphene-based coplanar waveguid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graphene-silver nanowire structure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application in flexib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Notably, this is also the first study to investigate the RF performance and electrical stability of a graphene-silver nanowire/PET structure.

      • KCI등재

        일본 근대기 단군전승의 전설화 작업에 대한 비판적 검토

        오현수 한일관계사학회 2023 한일관계사연구 Vol.80 No.-

        일제강점기 전후 일본인 고대사 학자들은 한국사 역사왜곡의 일환으로 단군전승과 고조선사를 부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건국신화로서의 단군전승을 부정하였고, 이를 후대시기에 창작되었거나 혹은 일종의 구전된 전설을 엮어 고려시대에 기록으로 남겼다는 것이다. 우선, 일제강점기를 전후로 한 대표적인 일본인 사학자인 시라토리 쿠라키치, 미우라 히로유키, 다카하시 토오루, 오다 쇼고, 이나바 이와키치, 아오야기 난메이, 이마니시 류 등이 주장하는 단군전설론를 파악해 보았다. 이들이 말하는 단군전설은 고려시대의 승려 일연이 당시의 황당무계한 전설을 채록하여 창작했다는 것이다. 반면에 자국 일본에서 전하는 기기(記紀) 신화는 일본의 건국신화로서 당시 일왕가와 각 지역의 역사를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기기 신화는 형성된 당시 사람들의 사상, 신념, 풍속, 습관, 정치상의 상태에 대한 기록으로 사실일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건국신화는 한 국가의 성립 과정을 전하는 신화이다. 일본인 학자들은 자국의 전승에 대해서는 건국신화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는데, 그들은 20세기 전반기 신화의 유무가 문명의 척도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군전승에는 일반적인 한국 고대국가의 건국신화적 요소들이 여럿 보인다. 단군전승은 단군의 출생, 건국과 천도, 어국, 최후, 수명을 포함함으로써 내용의 완결성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배경이 국가인가의 문제가 있고, 건국자의 개국 활동을 지원해주는 신하가 등장하며, 나라를 통치하는 형벌이 만들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고대의 건국신화에는 국가 개창의 주체세력이 이주민 세력이며, 주체의 핵심 인물이 하늘 혹은 신성한 곳, 좀 더 발달된 문화 환경에서 새로운 미개척지로 이동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고대국가의 건국신화의 주인공들은 신적 존재, 나라를 건국한 신성한 존재라는 점과 아울러 일반적인 한국의 초기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제사장과 통치자가 일치하는 제정사회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건국신화적 요소를 띄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단군전승의 건국신화적 요소는 수없이 연구되어 온 바 있다. 이제는 단순한 학술적 차원을 넘어서 이를 국제적으로 홍보하고 보급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우리만의 담론이 아니라 국제적 차원에서 건국신화로서의 단군전승이 받아들여진다면, 일본에서의 역사왜곡은 설 자리를 상실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공유리더십과 발언행동과의 관계에서 팀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 조직공정성(분배, 절차)의 조절효과: 팀 수준분석

        오현수,조윤형 대한경영학회 2022 大韓經營學會誌 Vol.35 No.5

        The function of leadership in teams is to take care of whatever needs to be done to allow the team to accomplish its objectives and represents a condition of mutual influence embedded in the interactions among team members. This study examined team level of relationship between shared leadership, team-based self-esteem, organizational justice and voice behavior. After whole theoretical literature review, we build up the research hypothesis of main effect, mediating effect, moderating effect and moderated mediation effect hypothesis. To empirical test of hypothesis, survey method were performed. To overcome common method bias problem, we gathered multi-source responds by supervisor and employees, and then total 196 teams, 764 employees of questionnaires a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major finding are as follows. First, shared leadership have directly positive impact on team based self-esteem and voice behavior. Second, team based self-esteem directly positive impact on voice behavior. Third, team based self-esteem mediate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voice behavior. Fourth, distributive justice moderate between shared leadership and team based self-esteem. However, procedural justice have not moderate those of relationship. Finally, the mediate effect of team based self-esteem more amply under high on distributive justice which conditionally indirect effect are supported. Our research findings that shared leadership are critical determinant of voice behavior and team based self-esteem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shared leadership by revealing that behaviors experienced within a team. We therefore suggest that organizations should focus on ways to develop strong shared leadership patterns within their groups in order to boost team members’ voice behavior. Also it is clear that the amount of rewards of distributive justice have substantial impact. We would that key aspect of reward systems involves not only the what of rewards that justice theory has emphasized, but also the how emphasized by work on distributive justice. 본 연구는 팀수준 연구로 공유리더십이 발언행동에 미치는 영향력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들 변수들과의관계에서 매개변수와 조절변수의 역할을 규명하려는 목적에서 수행되었다. 매개변수로는 팀기반자긍심, 조절변수로는 조직공정성 중 분배와 절차공정성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은 직접효과,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설문을 통해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는데 개인 응답을 팀 수준으로 분석할수 있는지를 점검하였으며, 동일방법편의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응답원을 팀장과 팀원으로 구분하였다. 광주, 전남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총 764명, 196개 팀을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공유리더십은 팀기반자긍심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발언행동도 높이고 있었다. 둘째, 팀기반자긍심은발언행동을 높이고 있었다. 셋째, 팀기반자긍심은 공유리더십과 발언행동과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었다. 넷째, 조직공정성 중 분배공정성은 공유리더십과 팀기반자긍심과의 관계를 조절하고 있었다. 분배공정성이 높은경우 두 변수와의 긍정적 관계가 더욱 확대되고 있었다. 그러나 절차공정성의 영향력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모두 반영한 조절된 매개효과와 관련하여 분배공정성으로 조절된팀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가 나타나고 있었다. 즉, 팀기반자긍심의 매개효과는 분배공정성이 높은 경우 더욱크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첫째, 팀 수준으로 분석한 결과 공유리더십이발언행동의 중요한 선행변수이며, 발언행동으로 이어질 때 팀기반자긍심이 이를 매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유리더십의 영향력에 대한 과정측면에서 팀기반자긍심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둘째, 맥락측면에서 분배공정성이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통해 조직에서의 분배의 몫에 대하여 공정성을확보할 수 있어야만 공유리더십의 긍정적 영향력이 더욱 확대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실무적의의를 가질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