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Indicatrixs에 관하여

        오춘영 麗水水産大學校産業技術硏究所 1997 産業基術硏究所 論文集 Vol.6 No.-

        Indicatrix들이 (pseudo) convex가 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여기서는 indicatrix가 convex가 되는 필요충분조건을 증명하고 indicatrix의 성질을 알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중등학교에서 수학적 모델링을 위한 모델링 문항 구성에 관한 연구

        오춘영 영남수학회 2020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36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o understand correctly for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s who have the wrong conception of mathematical modeling. We present the differences modeling problems and general application problems to identify between general application and modeling problems. We propose the entire process from modeling tasks development to solve the problems of mathematical modeling. Additionally, the entire process of the possible solutions was concluded for the presented modeling problems. We proposed what students and teachers should perform at each stage of each phase of the modeling cycle. The concrete tasks were suggested for teachers and students at each phase of modeling cycles, with the specific role of the teacher in the overall process for students’ modeling activities.

      • KCI등재

        1961년 문화재보존위원회 활동 재평가

        오춘영 국립문화유산연구원 2024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7 No.2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is an important organization that has been deliberating on important matters related to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the Republic of Korea for more than 60 years since 1962.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Committee was active in 1961, which was a short period of about a year, but the minutes prepared at the time confirmed that it had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of all, legally, it was meaningful in that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or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was us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in laws and regulations on the term of office of professional members. These matters became the basis for the operation of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the Cultural Heritage Committee. The following confirms that, unlike previously known activities, they were active despite political upheaval at the time. In spite of rapid regime change at the time, the committee had no change in its members, and the meetings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 At that time, there was an exclusiv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groups in relation to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his relationship was confirmed by the minutes that disappeared with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Bureau, which integrated these groups. Finally, the form of the minutes prepared then shows the form of documentation at the time, where it is confirmed that the traditional documentation format is changing into a new form. It can be good research material in terms of modern and contemporary bibliography. As discussed earlier, th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Committee of 1961 has histor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legal and actual activities. The reason why the committee’s activities were low valued is presumed to be that the minutes and related documents prepared at the time were not organized well due to the lack of a related administrative system. The minutes of th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Committee record various facts about cultural heritage policies and decisions at that time. Therefore, analysis and research on these contents can reveal more facts about the cultural heritage policies and perceptions of that time. 문화재위원회는 1962년부터 지금까지 60여년이라는 긴 시간 동안 대한민국의 문화재 보존에 관한 중요한 일들을 심의하고 있는 중요한 기구이다. 1961년에 활동한 문화재보존위원회는 1년 정도의 짧은 활동 기간이었지만,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었음을 당시에 작성된 회의록으로 확인하였다. 우선 법률적으로, 우리나라에서 문화재나 무형문화재의 개념을 법령에 처음 사용했다는 점과 전문위원 제도와 위원의 임기 규정을 최초로 사용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었다. 이런 사항들은 현재의 문화재보호법과 문화재위원회 운영의 기초가 되었다. 다음은 활동과 관련하여, 기존에 알려진 것과 다르게 당시의 정치적 격변에도 불구하고 활발히 활동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당시의 급격한 정권 교체에도 불구하고 위원회는 구성원의 변동이 없었고, 회의도 중단 없이 계속되었다. 그리고 당시 문화유산 보존과 관련하여 서로 다른 집단들의 배타적 관계가 있었고, 이 관계는 이들 집단들을 통합한 문화재관리국이 세워지면서 사라지게 되었음도 회의록으로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당시 작성된 회의록의 형태는 당시의 문서 작성 형태를 보여주는데, 여기에서는 전통적으로 이어오던 문서 작성 양식이 새로운 형태로 바뀌고 있는 현상이 확인된다. 근현대 서지학 측면에서 좋은 연구자료가 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1961년의 문화재보존위원회는 법률적 측면이나 실제 활동적 측면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의 미들을 가진다. 이 위원회의 활동이 낮게 평가된 이유는 당시에 작성된 회의록이나 관련 서류들이 관련 행정 체계의 미비로 잘 정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추정된다. 문화재보존위원회의 회의록에는 당시 문화유산 정책과 결정에 관한 여러 사실들을 기록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내용들에 대한 분석 연구로 당시 문화유산 정책과 인식에 대한 여러 사실들을 더 많이 밝혀낼 수 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문화재 정책 형성과정 연구 : 위원회 구성과 목록 변화를 중심으로

        오춘영 국립문화재연구원 201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1 No.1

        The Japanese colonial authority investigated and institutionalized Korea’s cultural properties for the purpose of governance. This process was conducted by Japanese officials and scholars, and systematized after making some changes. The Reservation Rule (1916) and th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in 1934 were actually the starting point for Korea’s current cultural property policy. In the view of lineup of ‘committee’ that consider all of cultural property and changing of ‘cultural property list’, this study discusses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implemented by Joseon’s Government-General,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seon’s Government-General formed a committee (Preservation Society) to formulate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and had the policy implemented by appointing Governor officials who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the total number of officials of the institution. Although some Koreans were concerned about this, they had no influence on the matter. Second, the cultural properties listed by Joseon’s Government-General are divid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the lists. The compilation of the first list was led by Sekino Tadashi, who represented the grading system (1909~1916); while that of the second list (1917~1933) was led by Guroita Gatsumi, who represented listing (1917~1933). Guroita Gatsumi tried to erase Sekino Tadashi’s list by formulating the cultural property policy and the list - a situation that was revealed in the system and the actual contents of the list. The third list was made as a list of designated cultural properties in 1934. This list also reflected the results of Sekino Tadashi investigation of the important cultural properties at existing temples that had been excluded from the previous regulations (1934~1945). In this way, a basic framework for the listing of Korean cultural properties was established in 1934. 일제는 그들의 통치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리 문화재에 대한 조사와 제도화를 하였다. 이러한 과정은 일본인 관료와 학자들을 중심으로 진행되었으며, 몇 번의 변화를 거쳐 체계화 되었고, 1916년에 제정된 「고적 및 유물 보존규칙」과 1934년에 지정된 문화재들은 현재 우리나라 문화재 정책의 시작점이 되었다. 이 글은 일제강점기에 조선총독부 주도로 진행된 문화재 정책을 문화재에 관한 전반을 심의하던 ‘위원회’의 인원 구성과 ‘문화재 목록’의 변화상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이러한 사항들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조선총독부는 문화재 정책을 입안하고 결정하기 위한 심의기구로 ‘위원회(보존회)’를 두었는데, 제도와 인적 구성 면에서 조선총독부 관료를 과반 이상 두도록 하여 조선총독부의 정책이 관철되도록 하였다. 이 속에서 조선인은 극소수가 참여하였는데, 그들마저 형식적인 구색 맞추기였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조선총독부가 조사하여 목록화한 문화재는 목록화 계기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구분된다. 첫 번째 목록(1909~1916)은 등급제로 대표되는 세키노타다시에 의해 주도되었고, 두 번째 목록(1917~1933)은 대장법으로 대표되는 구로이타가쓰미에 의해 주도되었다. 구로이타가쓰미는 문화재 제도를 입안하고 목록을 공식화 하면서 세키노타다시의 영향에서 멀어지려 하였는데, 이러한 정황이 제도와 실제 목록 내용에서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 목록(1934~1945)은 1934년 지정문화재 목록으로 만들어졌는데, 이 단계에서는 세키노타다시의 조사 성과도 반영이 되었으며, 종전의 규정에서 제외되었던 현존사찰의 중요 문화재도 포함이 되었다. 이렇게 1934년을 기점으로 현재 우리나라 문화재 목록의 기본적 체계가 만들어졌다.

      • KCI등재

        20세기 한국 문화재 인식의 이데올로기적 영향과 변화

        오춘영 국립문화재연구원 2020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3 No.4

        문화재 인식의 출발점이 되는 문화재 ‘선택’에는 당시 지배 권력의 문화적 이데올로기가 반영된다는 가정을 세웠고, 이를 20세기 한국의 사례를 통해 증명하였다. 먼저 대한제국 후기(1901~1910)에는 조선시대부터 가져오던 과거 유적들에 대한 관점을 거의 유지하고 있었다. 국가 가 중요하게 보호하려 한 대상은 왕릉과 왕실기록물들이었다. 이 시기에 한국 유적들에 대한 일본인들의 조사가 본격적으 로 시작되었고, 이에 자극받은 계몽주의 지식인들에 의한 주체적 문화재 인식 시도가 있었으나 제도화되지 못하였다. 일제강점기(1910~1945)에는 일본인들 주도로 문화재 조사와 제도화가 진행되었고, 이는 현재 한국 문화재 관리체 계의 출발점이 되었다. 당시 조선총독부가 주도한 고적 조사, 지정, 보호, 선양 활동은 일본 제국주의 지배를 합리화함과 동시에 식민주의 사관을 반영하는 것들이었다. 국내 민족주의자들이 계몽적 차원에서 고적애호 운동을 벌였으나, 이는 일본인들이 기획한 고적조사 성과에 기초하였다는 한계가 있었다. 해방 후(1945~2000)에는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에 기반하여 문화재 복구와 복원 활동들이 있었고, 여기에도 정권의 정통성을 공고히 하려는 의도가 내포되었다. 그리고 1997년의 ‘문화유산 헌장’ 제정은 문화재가 민족주의 이데올로기의 수단이 되는 것을 넘어 그 자체로 이데올로기가 되는 일이었다. 지난 20세기 동안 한국에서는 정치권력의 선택에 따라 문화재의 내용이 변하였다. 이 선택에는 당시 권력이 문화재 에 대해 가지는 문화적인 이데올로기가 반영되었다. 이런 문화재 선택의 배경에는 개념어와 사회의 상호 보완적 관계, 즉 집합기억의 이데올로기적 특성이 작용하고 있었다. 지배집단은 그들의 이데올로기를 피지배집단에 각인시키려 하는 데, 그 수단으로 정권의 정통성을 인식시킬 수 있는 전통문화에 관련된 집합기억, 즉 문화재 선정과 활용에 관여함으로 써 이를 실현하려고 했다고 볼 수 있다. An assumption can be made that, as a start point for the recognition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the “choice” of such would reflect the cultural ideology of the ruling power at that time. This has finally been proved by the case of Korea in the 20th century. First, in the late Korean Empire (1901-1910), the prevailing cultural ideology had been inherited from the Joseon Dynasty. The main objects that the Joseon Dynasty tried to protect were royal tombs and archives. During this time, an investigation by the Japanese into Korean historic sites began in earnest. Stung by this, enlightened intellectuals attempted to recognize them as constituting independent cultural heritage, but these attempts failed to be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1910-1945 Japanese occupation, the Japanese led investigations to institutionalize Korean cultural heritage, which formed the beginning of the current cultural heritage management system. At that time,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designation, protection, and enhancement activities l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not only rationalized their colonial occupation of Korea but also illustrated their colonial perspective. Korean nationalists processed the campaign for the love of historical remains on an enlightening level, but they had their limits in that the campaign had been based on the outcome of research planned by the Japanese. During the 1945-2000 period following liberation from Japan, cultural heritage restoration projects took places that were based on nationalist ideology. People intended to consolidate the regime’s legitimacy through these projects, and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Charter’ in 1997 represented an ideology in itself that stretched beyond a means of promoting nationalist ideology. During the past 20 centuries, cultural heritage content changed depending on the whims of those with political power. Such choices reflected the cultural ideology that the powers at any given time held with regard to cultural heritage. In the background of this cultural heritage choice mechanism, there have been working tradeoff relationships formed between terminology and society, as well as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memories. The ruling party has tried to implant their ideology on their subjects, and we could consider that it wanted to achieve this by being involved in collective memories related to traditional culture, so called-choice, and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 KCI등재

        문화재보호법 제정 이전 ‘문화재’ 개념의 형성과 변화

        오춘영 국립문화재연구원 2023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6 No.4

        This work began with the aim of examining the history of the concept “cultural property” that is expected to disappear, and the main subject of research was the history that preceded the spread of this notion throughout society. The phrase “cultural property” first appeared in the 1920s, and was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literature, history, music, and philosophy in the context of cultural resources. Until immediately following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meaning of cultural assets was widely applied in the range of “cultural resources,” and during this period, it was often used to help supplant the reality and history of Japanese occupation. Immediately after the Korean War, it was also employed for the purpose of ‘restoration of cultural resources through war’. Recognition of cultural property directly influenced by Japan’s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has occurred since 1950s. In the early 1960s, the enactment of various laws related to cultural propertie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aused the meaning of cultural property to be limited to ‘cultural heritage’. In this way, the definition of state-led cultural property has continued to apply to this day.It has not been clearly confirmed whether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ies was imported from Japan through means such as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Cases in which several Japanese students endorsed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within Korea serve to increase the likelihood that the concept was indeed imported from Japan. However, “coined language using multiple Chinese characters,” “the phenomenon of cultural complex words in the 1920s,”, and “cases of non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s using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also open up the possibility of their own occurrence. Apart from the general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cultural property, intellectuals at the time used this concept to promote internal development and the overcoming of colonial Joseon.In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the conceptual word cultural property was older and had a wider history than the general perception had indicated previously. The history of the conceptual term “cultural property” may appear to be more than 60 years old based on the enactment of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but in fact it is nearly 100 years old when traced back to on 1925, as established here. In general, the creation and disappearance of terms may proceed naturally with social change, but such terms may alternatively be created or erased through national policy. Identifying the origins of a phrase that is about to disappear represents a significant task for purposes of establishing its historical meaning. 이 글은 소멸이 예상되는 ‘문화재’라는 개념어의 역사를 살피고자 하는 취지에서 시작하였고, 이 개념어가 우리 사회에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이전의 역사를 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문화재라는 단어는 1920년대에 등장하였는데, 문화적자원이라는 의미 속에서 문학·역사·음악·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었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직후까지 문화재의 의미는 ‘문화적 자원’이라는 범위에서 많이 쓰였고, 이 시기에는 일제강점의 현실과 역사를 극복하려는 취지에서 사용된 사례가 많았다. 한국전쟁 직후에는 ‘전쟁으로 인한 문화적 자원의 복구’라는 취지에서 사용되기도 하였다. 일본의문화재보호법 영향을 직접 받은 문화재 인식은 1950년대부터 등장한다. 1960년대 초 문화재 관련한 각종 법령 제정과문화재관리국 설치는 문화재의 의미가 ‘문화유산’으로 한정되는 현상의 원인이 되었다. 이렇게 국가가 주도한 문화재의정의는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문화재 개념이 문화재보호법처럼 일본에서 수입되었는지 여부에 대해서는 분명하게 확인되지 않았다. 여러 일본 유학생들이 문화재 개념을 한국에 소개한 사례들은 이 개념이 일본에서 수입되었을 가능성을 높여준다. 하지만 ‘여러 한자를 사용한 조어’, ‘1920년대 문화관련 복합어의 발생 현상’, ‘비 일본권 유학자들의 문화재 개념 사용 사례’ 등은 자체적인발생 가능성도 열어준다. 문화재 개념의 수입 여부와는 별도로, 당시 지식인들은 이 개념을 사용하여 식민지 조선의 내적 발전과 극복을 도모하였다.이 글에서 문화재라는 개념어는 일반적인 인식보다 더 오래되고 폭넓은 시작의 역사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문화재’라는 개념어의 역사는 문화재보호법 제정을 기준으로 하면 60여년이 되지만, 그 발생인 1925년을 기준으로 하면100년 가까운 역사가 된다. 일반적으로 단어의 생성과 소멸은 사회적 변화와 함께 자연스럽게 진행되기도 하지만, 국가적 정책에 의해 만들어지거나 사라질 수도 있다. 사라질 예정인 단어의 시작이 어떠했는가를 알아보는 것은 이 단어의역사적 의미를 정리하는 일에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대만(臺灣)의 문화재 제도화 과정과 조선 비교

        오춘영 국립문화재연구원 2018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1 No.4

        Taiwan and Korea have common memories of colonization by Japan. Therefore, for researchers studying colonial times, the two countries are becoming good comparative studies. In this article, a comparison of cultural properties systems between Taiwan and Joseon revealed the following. First, from a legal point of view, Japan's internalism was reflected to some extent in Taiwan. Accordingly, Taiwan's "Enforcement regulations for Historical scenic spot scenic natural monument storage method(short, Enforcement regulations)" was subordinate to Japanese law, and the Joseon's "Enforcement ordinances for Treasure and Historical scenic spot scenic natural monument storage method in Joseon(short, Enforcement ordinances)" was less than the preservation order of Taiwan. But it is not possible to equate the two differences to Japan's oppressive levels. Second, while the Joseon's "Enforcement ordinances" enactment referred to relevant laws that were promulgated in Japan, it is highly likely that Taiwan's "Enforcement regulations" When establishing Joseon's "Enforcement ordinances" order,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all laws concerning cultural properties of Japan and Taiwan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aiwan and Joseon in the quantity and content designated as cultural properties was huge. The difference in the designated quantity between Taiwan and Joseon was the difference between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between the two regions, which led to 14 times more cultural properties designated in Joseon than in Taiwan. And while nearly half of Taiwan's history was the vestiges of Japan's ruling power, few of the ancient sites designated by the Joseon had traces of Japanese ruling forces. This is the result of a difference in the views that the two powers had on cultural properties. 대만과 한국은 일본에 의한 식민지 지배라는 공통의 기억을 가지고 있는 나라들이다. 그렇기 때문에 식민지 시기를 연구하는 연구자들에게 이 두 나라는 좋은 비교연구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대만과 조선의 문화재 제도 분야의 비교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첫째 , 법제도적 측면으로 보면 대만에서는 일본의 내지연장주의가 어느 정도 반영되었다 . 이에 따라 대만의「사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법시행규칙 ( 이하 시행규칙 )」은 일본의 법에 종속적이었고 , 조선의 「조선보물고적명승천연기념물보존령 ( 이하 보존령 )」은 대만보다는 독립적이었다 . 그러나 이 두 차이를 일본의 압제 수준의 차별로 등치시키기는 어렵다. 둘째, 조선의「보존령」제정에는 일본에서 공포되었던 관련 법령들이 참고되었으나, 대만의 「시행규칙」도 참고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조선의 「보존령」을 제정할 때에는 일본과 대만의 문화재에 관련된 모든 법령을 참고하였다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셋째, 문화재 지정 수량과 내용에서 대만과 조선의 차이가 컸다. 대만과 조선의 지정 수량 차이는 두 지역 간의 전통문화자원의 차이가 가장 크며, 이에 따라 조선에서 지정된 문화재가 대만보다 14배 정도 많았다. 그리고 대만의 사적 중 절반 가까이는 일본 지배세력의 흔적들이었던데 비해, 조선에서 지정된 고적 중에는 일본 지배세력들의 흔적이 거의 없었다. 이는 두 지역 통치세력이 문화재에 대해 가졌던 시각의 차이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 복소 geodesics에 대한 연구

        오춘영 麗水水産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6 産業基術硏究所 論文集 Vol.5 No.-

        Taut 영역과 임의의 영역상에 biholomophic사상이 존재하면 k-th 뫼비우스 함수, k-th Reiffen 준거리, 복소그린 함수와 Azukawa 준거리가 모두 동치가 됨을 보이고 몇가지 성질을 알아보고자 했다.

      • 실업계 고등학교의 현실과 수학교육

        오춘영,김영애 여수대학교 2002 論文集 Vol.1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the present condition of mathematical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 and the problems produced there through the answer investig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