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4학년 아동과 어머니가 인지한 아동의 신체만족, 건강상태, 부모-자녀애착과 아동의 건강행위와의 관계

        오진아 한국아동간호학회 2011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Vol.17 No.3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xamine body satisfaction of children, self-rated health of children and parent-child attachment as perceived by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relation to children’s health behavior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health behavior of children. Ultimate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data to develop health promotion programs for children. Methods: Participants were 140 couples, 4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mothers residing in Busan. Data collection was done during June 1 and July 31, 2010.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ith PASW 18.0 program. Results: Children and mothers rated body satisfaction of the child differently. Children’s responses for body satisfaction of child and parent-child attachment were associated with health behavior of children. Self-rated health perceived by children was also a factor affecting health behavior, as were body satisfaction perceived by children and mothers’ perception of body satisfaction of child in that order. These variables explained 18.2% of the total variances in health behavior of children. Conclus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body satisfaction and self-rated health of children are important variables to target within intervention research and treatment programs for health promotion behavior of children at home and school.

      • KCI등재

        지구과학 MBL 수업의 과학 탐구와 논의적 의사소통에 관한 사례 연구

        오진아,이선경,김찬종 한국지구과학회 2008 한국지구과학회지 Vol.29 No.2

        Microcomputer Based Laboratory (MBL), by offering accurate and effective data collection and real-time graphs, enables students to reduce experiment time and, thereby, have deeper discussions concerning experimental results. This helps to emphasis the essential aspect of scientific inquiry; the process communication.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secondary school earth science MBL lessons with regards to the five basic aspects of scientific inquiry: “Asking”, “Evidencing”, “Explaining”, “Evaluating” and “Communicating”. It then investigated the level of argumenta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students and teachers and also among the students themselves. For this study, three classroom activities were observed and videotaped, and teaching materials, textbooks and students’ notes were collected. The transcribed data were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scientific inquiry level and argument fram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ientific inquiry levels of the three classes were similar, except for the “Communicating” aspect, which appeared in only one episode. “Asking” was carried out by the teacher and then students were directed to collect certain data in the “Evidencing” stage. Furthermore, students were given possible ways to use evidence to formulate explanations and connections through the “Explaining” and “Evaluating” stages. In the argumentation analysis, most argumentative communication was identified as being associated with a given procedure, rather than with any scientific phenomena. In only one episode, did “Communicating” relate directly to any scientific phenomena. It can be concluded, that although MBL places emphasis on communication for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the environment required for such inquiry and argumentative communication can not be easily created in the classroom. Therefore, in order for authentic inquiry to take place in the MBL classroom, teacher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develop meaningful argumentation and scaffolding abilities. MBL은 학생들에게 정확하고 효율적인 데이터 수집과 실시간 그래프를 제공함으로써 실험 시간을 단축시켜, 실험 결과에 대한 깊이 있는 토론을 가능하게 함으로 탐구의 본질적 특징인 의사소통과정을 강조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탐구와 탐구의 본질적 특징인 의사소통의 관점에서 중등학교 지구과학 MBL 수업의 양상을 살펴보았다. 3개의 MBL 수업을 녹화한 비디오 테잎을 주된 자료원으로 하였으며, 수업 녹화물과 전사본을 교실탐구 기본요소와 논의요소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실탐구의 기본요소는 “문제제기”, “ 증거수집” , “설명형성”, “과학지식과의 연결”, “이론의 발표”의 5가지이다. 연구 결과로 첫째, 세 수업은 각 진행 단계별로 탐구 요소와 그 수준에서 유사한 양상을 보여주었다. 학생들은 교사 주도적 문제 제기로부터, 절차에 따른 증거 수집을 하고, 교사의 지도에 따라 설명을 형성하며, 특정 과학지식을 사용하도록 안내되었다. 하지만, 이론의 발표 요소는 1개의 수업에서만 관찰되었다. 둘째, 탐구의 본질적 측면으로서 논의적 의사소통은 매우 드물게 나타났다. 논의 과정을 포함한 담화 에피소드는 과학적 현상을 다루기보다 실험 과정이나 절차적 측면에 관해 이루어졌다. 이론의 발표가 진행된 수업에서 1개의 에피소드만이 과학현상과 관련된 활발한 논의적 의사소통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MBL 자료가 탐구의 본질적 특징인 의사소통을 강조한다 하더라도, 실제 수업에서 진정한 탐구의 모습을 구현하는 일은 쉽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MBL 수업에서 탐구 및 논의적 의사소통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논의의 기회 제공과 더불어 논의를 유의미하게 개진할 수 있는 교사의 적절한 도움이 필요하다.

      • KCI등재

        델파이 조사를 활용한 놀이치료자 발달수준 척도 문항 개발

        오진아,이소연 한국놀이치료학회 2023 한국놀이치료학회지(놀이치료연구) Vol.26 No.4

        본 연구는 델파이 조사 방법을 활용하여 놀이치료자 발달수준 척도 문항을 개발하고 내용타당도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놀이치료자 발달수준 척도 문항 개발을 위해 놀이치료 전문가 및 교육전문가로 슈퍼바이저 자격을 취득한 후 현장에서 놀이치료를 하고 있는 전문가 12명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문헌고찰을 바탕으로 개념화되고 구성된 놀이치료자 발달수준 척도의 개념적 정의, 구성영역, 영역별 하위요인의 적합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1차 조사 결과 전문적 발달과 인간적 발달의 2개의 구성 영역과 10개의 하위요인이 도출되었다. 2차 조사는 1차 조사 결과를 반영하여 수정한 하위요인의 적합도에 관한 전문가 의견 수렴 및 선행연구와 기존 척도 고찰을 바탕으로 추출한 113개의 문항의 적합도에 관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 106문항이 도출되었다. 3차 조사는 이 문항들의 적합도를 검증하고 전문가의 의견수렴을 위해 실시되었고, 최종적으로 100문항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보 놀이치료자에서 숙련 놀이치료자로 발달해가는 과정에서 발달시켜야 할 요소들과 태도에 대한 학문적 합의를 잠정적으로 도출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개발의 기초자료를 제안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erify the items of a play therapist developmental level scale using the Delphi survey method. 12 play therapy experts participated in this Delphi survey three times,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The results showed that 10 factors and 100 items were identified: 9 items for Knowledge of play therapy, 27 items for Play therapy techniques and intervention skills, 9 items for Awareness, 9 items for Play Comprehension and Assessment, 8 items for Case Conceptualization, 9 items for Parent Counseling Intervention and Understanding the Child Environment, 8 items for Therapeutic Attitude, 8 items for Ethical Attitude, 6 items for Self-understanding and Integration, 7 items for Play Therapist Identity. Through this study, there was one interesting and meaningful observation. This was that of an academic consensus on the factors and attitudes which were seen to be necessary to be develop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from a novice play therapist to a skilled play therapist. This was tentatively drawn out and basic data for scale development were proposed to measure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